DOI QR코드

DOI QR Code

Volcanic Geomorphology of Gonaengisool-oreum, Bonggae-dong, Jeju

제주시 봉개동 고냉이술 오름의 화산형태학적 특성

  • Lee, Jeong-Hyun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
  • Yun, Sung-Hyo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 이정현 (기상청 국립기상연구소) ;
  • 윤성효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지구과학교육과)
  • Received : 2011.07.05
  • Accepted : 2011.08.09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The geology of the Gonaengisool-oreum, Bonggae-dong, Jeju consists of Yeongpyeong-dong basalt, Shinan-dong basalt, Bonggae-dong basalt and cinder in ascending order. Yeongpyeong-dong and Shinan-dong basalt is situated at the mid-mountain slope in southern part of the Gonaengisool-oreum, and Bonggae-dong basalt is located at the Gonaengisool-oreum area and nortgbern low foot of the mountain. Bonggae-dong basalt is aa lava flows with thick clinker. The Gonaengisool-oreum is isolated small volcano, that is, a lava shield having wide crater in the summit with several small pit craters. The average basal elevation of the Gonaengisool-oreum cone is 297.5 m(highest 300 m and lowest 295 m), and the highest summit is 304.5 m, average cone basal width is 597.5 m and cone height is 7.9 m, and mean slope of $1.5^{\circ}$ for the flank of the shield cone.

제주시 봉개동의 고냉이술 일대의 지질은 오래된 것으로부터 영평동현무암, 신안동현무암, 봉개동현무암 및 분석층으로 구성된다. 영평동현무암과 신안동현무암은 고냉이술 오름의 남쪽 중산간 지역에 위치하고, 고냉이술 오름과 그 북부 저지대 일원에는 봉개동현무암이 분포한다. 봉개동현무암은 아아 용암으로 주로 구성되며, 용암 켜 사이에 두터운 클링커를 협재하고 있다. 고냉이술 오름은 화산지형학적으로 하나의 독립된 소화산으로 만들어져 있으며, 고냉이술 오름의 산정부에는 낮은 외륜산릉으로 둘러싸여 있는 넓은 분화구를 가지고, 그 내부에는 분지형 함물지인 여러 개의 피트 분화구(pit carter)를 가지는 용암순상화산이다. 고냉이술 오름의 저면 고도는 295 m에서 300 m (평균 297.5 m)이며, 최고봉의 고도는 304.5 m, 저면의 지름은 평균 597.5 m, 비고는 7.9 m로 사면경사각은 $1.5^{\circ}$이다.

Keywords

References

  1. 농업진흥공사, 1971, 1/10만 지질도.
  2. 박기화, 이병주, 조등룡, 김정찬, 이승렬, 김유봉, 최현일, 황재하, 송교영, 최범영, 조병욱, 1998, 제주 애월도폭 지질보고서(1:50,000), 제주도, 290p.
  3. 양만식, 문종헌, 강순석, 현경식, 장영진, 1997, 제주의 오름, 제주도, 483p.
  4. 이정현, 2009, 제주도에 분포하는 제4기 단성화산체의 형태학적 분석,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4p.
  5. 이정현, 윤성효, 2011, 제주시 봉개동 고냉이술 오름의 화산지질학적 특성, 한국지구과학회 2011년 춘계학술발표회 초록집.
  6. Haraldur, S., Bruce, F.H., Stephen, R.M., Hazel, R. and John, S., 2000, Encyclopedia of Volcanoes. Academic press, 1417p.
  7. Joseph, G.M., 2006, A morphological analysis of Quaternary cinder cones, Potrillo Volcanic Field, New Mexico. Thesis for Master of Science, Department of Geological Sciences, The University of Texas at El Paso, El Paso, Texas, 63p.
  8. Lockwood, J.P. and Hazlett, R.W., 2010, Volcanoes: global perspectives. Wiley-Blackwell, 541p.
  9. Lopes R., 2005, The Volcano adventure guide. Cambridge, New York, Melbourn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52p.
  10. Wood, C.A., 1980, Morphometric evolution of cinder cones, Journal of Volcanology and Geothermal Research, 7, 387-413. https://doi.org/10.1016/0377-0273(80)90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