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Case Study on the Space Characteristics Focused on the Dang and Oreum of the Seashore.Inland Villages in Jeju Island  

Choi, Jai-Ung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Kim, Dong-Yeob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Sungkyunkwan University)
Jo, Lock-Whan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Kim, Mi-Heui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Ahn, Ok-Sun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v.30, no.2, 2012 , pp. 101-109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raditional village forests in Jeju Island represent unique cultural landscape with a history of more than several hundred years as a national cultural asset in Korea. In this paper,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traditional village forests in Jeju Island was compared with the Dangsan and Bibo forests at inland. There are 368 Oreums, parasitic volcano, and 391 shrines of Dang(Divine place) in Jeju. Life, culture and tradition of rural villages are all connected with the Dang and Oreum in Jeju. It has been found from this study that the village in Jeju were established as a cultural landscape on the surface of natural landscape. The features of traditional villages focused on the Dang and Oreum in Jeju Island were similar to the Dangsan and Bibo forestsat inland villages. The Oreum represents mountain and the Pojedan forest is newly found in Sangmyung-ri. The seashore areas are covered by vaocanic rocks in Jeju and large scale windbreaks are hardly found. The stone tower at Sinheung-ri built for blocking sand movement represents Bibo forest. The special attribute of the Dang in Jeju is that it is close to real life and believers are still remain. In 2009, the Jeju Chilmeoridang Yeongdeunggut ritual was nominated as 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by UNESCO. The shrine of Dang, however, has been degraded fast by construction of seashore road and Jeju Olle trail path. As for the world cultural heritage discussed at international conferences, it is important that there is sustainability on the right to enjoy cultural heritage. Integrated efforts from local residents, local governments and national government are needed to set up a management scheme for the Dang culture. Rural villages in Jeju with the Dang and Oreum are expected to get an international attention as to have traditional cultural landscapes of Korea.
Keywords
Dangsan Forest; Dang Ritual(Shamanic Ritual of Dang); Pojedan Forest; Oreum(Parasitic Volcano); Village of Jeju Island;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205022303025&code=950201
2 http://www.cha.go.kr
3 http://www.hani.co.kr/arti/culture/culture_general/169226.html
4 http://www.ihalla.com
5 http://www.international.icomos.org/charters/venice_e.htm
6 http://www.jeju.go.kr
7 http://www.storyjeju.com
8 최재웅, 김동엽(2006). 농촌 문화경관 관련시책과 마을숲․당산숲의 위상 제고를 위한 기초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4(3): 41-58.
9 강경희(2010). 마을의 안녕.풍요.화합을 기원하는 제의. 유네스코 제주 세계자연유산마을 성산리. pp. 96-110. 제주특별자치도.(사)제주역사문화진흥원 간행물.
10 강성현(2010). 自然-景觀의 調和와 濟州.濟州오름. 제주: 도서출판 열림문화.
11 김순이(2010). 신화의 보금자리인 신당의 위기, 어찌할 것인가. 제주문화원 발행 제주문화 16, pp. 113-114.
12 강영은(2012). 한국 농촌경관 변천 특성 연구: 1950년대 이후 농촌개발사업의 경관 영향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강현경, 방광자, 이승제, 김학범(2004). 생육환경 분석을 통한 마을숲의 관리방안: 경상도와 강원도의 주요 마을숲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2(2): 63-74.
14 국립민속박물관(2007). 한국의 마을신앙(上.下). 국립민속박물관 보고서.
15 김순이(2011). 제주신화집 2. 제주문화원 간행물.
16 김승태, 한동호(2008). 제주의 오름 368(1.2). 제주: 대동출판사.
17 김종원, 임정철(2007). 전통 마을숲과 식물사회학.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 총서20 마을숲과 참살이, pp. 133-188. 계명대학교 출판부.
18 김학범, 장동수(1994). 마을숲-韓國傳統部落의 堂숲과 水口막이-. 서울: 열화당.
19 남연화, 윤영활(2002). 시대적 배경을 통해 본 마을 숲의 변천과 보존: 성남리 성황림 지역을 대상으로. 한국정원학회지. 20(2): 23-32.
20 농림수산식품부(2011). 농촌다움 제고를 위한 五感경관 만들기. 농림수산식품부 보도자료(2011. 12. 23).
21 농림수산식품부(2012a). 농어촌 고유의 자원을 살려 색깔 있는 마을 만든다. 농림수산식품부 보도자료(2012. 1. 19).
22 농림수산식품부(2012b). 농식품부, 농어업 유산(遺産)제도 본격 도입-지자체 신청을 통해 국내 유산 지정, FAO 세계농업유산 등재 추진-. 농림수산식품부 보도자료(2012. 4. 4).
23 농촌진흥청(2010). 스토리가 있는 우리 마을 당산숲. 농촌진흥청 간행물.
24 문화재청(2005). 마을숲 문화재 자원조사 연구보고서 III: 전라남도 도서지역. 문화재청 보고서.
25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2008). 부산 구포동 팽나무 명칭 및 유형 변경. 천연기념물분과위원회 제10차 회의 내용 및 결과(2008. 11. 12).
26 문화재청(2009). 전통 마을숲 보존관리 지침. 문화재청 훈령 제189호.
27 문화재청(2010). 문화재청, 생생(生生)사업으로 문화재를 살린다-문화재 활용 우수사업 20건 선정, 5억원 지원-. 문화재청 보도자료(3. 16).
28 문화재청(2011). 세계유산 역사마을 하회.양동, 「민속마을 장인」이 전통의 맥을 지켜 나간다. 문화재청 보도자료(12. 7).
29 박재철(1998). 전북 농어촌 지역 마을숲과 해안숲의 비교 고찰. 한국조경학회지. 26(2): 133-142.
30 북제주문화원(2007). 新興里誌. 文化院發刊資料 14.
31 신상섭(2004). 전통정주지의 환경적 건전성과 지속성에 관한 기초연구: 외암마을과 낙안읍성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2(1): 27-38.
32 안계복(2005). 풍류의 정원, 樓.亭.臺.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3(1): 150-157.
33 양영자(2010). 神堂, 이루 말할 수 없는 숭고함과 경이로움. 제주문화원발행 제주문화 16, pp. 70-81.
34 이상해(2012). 세계문화유산 등재 요건과 한국의 불교사찰. 동국대학교 사찰조경연구소 학술회의-한국사찰의 세계문화유산등재, 무엇이 필요한가-자료집. pp. 1-13.
35 제주특별자치도, (사)제주전통문화연구소(2008). 제주신당조사 2008 제주시권. 제주특별자치도 간행물.
36 제주특별자치도, (사)제주전통문화연구소(2009). 제주신당조사 2009 서귀포시권. 제주특별자치도 간행물.
37 주강현, 장정룡(1993). 朝鮮땅 마을지킴이. 서울: 열화당.
38 채혜성(2011). 농촌경관요소 가치 평가 연구: 경관보전직접지불제 확대시행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9 최원석(2004). 한국의 전통적 경관 보완론(서울대 환경계획연구소편, "한국의 전통생태학"). 서울: 사이언스북스. pp. 76-103.
40 최재웅, 김동엽(2000). 마을숲문화가 있는 농촌 마을숲의 구조 및 보전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정원학회지. 18(3): 51-64.
41 최재웅, 김동엽(2009). 농어촌마을 당산숲의 입지 및 구조 특성.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1): 35-47.
42 최재웅, 김동엽, 김미희(2009). 농어촌마을 당산숲.비보숲의 형태지수 특성.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3): 30-38.
43 최재웅, 김동엽(2010). 천연기념물 지정 당산숲.비보숲의 명칭 부여 및 지정 물량 실태 고찰. 문화재. 43(1): 28-55.
44 최재웅, 김동엽, 김미희, 조록환(2012). 완도군 서성리 당산숲.당산제공간의 전통생태경관적 특성 및 의미 고찰.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0(1): 135-145.
45 Choi Jai-ung(2012). Korea's Beautiful Sacred Forest: Dangsan Forest. http://www.koreabrand.net/net/kr/book.do
46 FAO(2010). Globally Important Agricultural Heritage Systems-A Legacy for the Future, FAO 자료집.
47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810051751465&code=950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