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apanese game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35초

A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Japan's Video Games Focused on the Connection of Japan's Traditional Play Culture

  • Oh, Dong-Il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7권3호
    • /
    • pp.29-37
    • /
    • 2011
  • This research discusses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Japanese video game from the cultural viewpoint of Japan's traditional play. It starts with the possibility that Japanese video game can share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Japanese play. Accordingly, this research first considers the connection between play and video game for a theoretical background, by comparing their theoretical definitions and characteristics. Particularly, it shows the research direction from the viewpoint of Ludology that approaches video game from the aspect of play.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Japanese play are examined in connection with Japan's inherent animism culture. Based on such characteristics, the common characteristics and backgrounds of Japanese video game and traditional Japanese play are discussed from the 'spatial' aspect of game, from the 'identity' aspect of game characters, and from the 'motive' behind playing game.

한국과 일본 온라인 게이머의 게임 만족도, 신뢰도, 온라인 게임커뮤니티 인식에 관한 실증적 비교연구: 멀티그룹 공분산 구조분석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Players' Satisfaction, Trust toward Game Publishers, and Roles of Community in Korean and Japanese Online Game markets)

  • 엄명용;김태웅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16권1호
    • /
    • pp.103-125
    • /
    • 2006
  • Online game business has emerged as the most lucrative entertainment industry, with over 10 million players in South Korea and over 30million in Japan in 2005. While the interactive entertainment market continues to expand, with many new online game publishers entering the market, relatively little theory has been developed about which factors influence online gamers' behavioral intentions (i.e., loyalty, satisfaction, words of mouth, etc.) in this area.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gamers' satisfaction, trust toward game publishers, the role of online game community, social reputation, and the managerial support of game publishers. We als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gamers concerning the relationships of these key success factors. The structural model is tested with the data from entire data samples (i.e., Korean and Japanese gamers pooled together) and each of the sub-samples (i.e., Korean and Japanese gamers taken separately). Properties of the causal paths, including standardized path coefficients, the significance of difference, and variance explained for Trust and Satisfaction in the hypothesized model, are presented. Following the model test, we conduct a test of the differences in path coefficient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gamers. Statistical results show that, compared to Japanese gamers, Korean gamers had a greater salient effect on Social Reputation in determining. Trust, in addition to placing a greater emphasis on Support of Game Publishers in determining Social Reputation. Other interesting results concerning game Publishers' strategy are also presented.

일본 게임에 나타난 한국 역사의 왜곡사례와 대응방안 연구 (The Study of Countermove and Distorted Instances about Korean History in Japanese Game)

  • 고병희
    • 게임&엔터테인먼트 논문지
    • /
    • 제2권2호
    • /
    • pp.1-8
    • /
    • 2006
  • 최근 일본의 역사교과서 왜곡문제와 과거 침략에 대한 망언과 함께 올해 끊임없이 제기되는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으로 한일관계가 악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본 논문은 일본의 상용화된 게임 속에 나타난 한국의 역사왜곡 사례에 대해 연구하였다. 게임 속에서 역사 왜곡 사례는 일본, 중국, 서양 게임들 모두에서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특히 일본 게임에서 한국역사의 왜곡과 일본 역사의 미화 정도가 심하게 나타나고 있다. 현재는 인터넷의 발달과 일본 문화 개방의 영향으로 국내 청소년들과 외국인들이 한국의 역사를 왜곡한 일본 게임을 쉽게 접할 수 있어 한국에 대한 잘못된 역사인식을 심어줄 위험성이 있으며 그에 대한 대책과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 PDF

일본 게임속에 나타난 한국 역사의 왜곡 사례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Distorted Instances of Korean History in Japanese Game)

  • 고병희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6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512-516
    • /
    • 2006
  • 최근 일본의 역사교과서 왜곡문제와 과거 침략에 대한 망언과 함께 올해 끊임없이 제기되는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으로 한일관계가 악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본 논문은 일본 게임 속에 나타난 한국의 역사왜곡 사례에 대해 연구하였다. 게임 속에서 한국 역사의 왜곡 사례는 일본, 중국, 서양 게임들 모두에서 나타나는 현상이지만 그 중에서도 특히 일본 게임에서 그 정도가 심하게 나타나고 있다. 현재는 인터넷의 발달과 문화 개방의 영향으로 국내 청소년들과 외국인들이 역사를 왜곡한 게임을 쉽게 접할 수 있어 한국에 대한 잘못된 역사인식을 심어줄 위험성이 있으며 그에 대한 대책과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 PDF

귀신문화에 기반한 일본풍의 캐릭터 디자인 분석 및 캐릭터 제작 연구 - 중국 모바일 게임 <음양사>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Japanese-style Character Design combined with Ghosts and Gods Culture and the Development of Contents according to Proposal - Focused on Chinese mobile game 'Onmyoji')

  • 왕혜영;이동엽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119-128
    • /
    • 2022
  • 본 논문은 귀신문화에 기반을 둔 일본풍 캐릭터 디자인을 게슈탈트 시지각 법칙을 사용하여 분석한 연구이다. 중국에서 성공한 일본풍 모바일 게임 <음양사>의 식신(Shikigami) 캐릭터의 디자인 요소를 정리하고 분석하였다. 형태는 부분이 아니라 전체적인 체계화를 통해 지각되며 작은 디자인적 요소가 전체 스토리에 영향을 미치는 방식을 확인하였다. 캐릭터의 디자인적 요소가 시각화 되는지를 분석하고 스토리에 관련성이 있다는 것을 확인 하였다. 디자인적 요소가 이야기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통해 새로운 캐릭터 디자인을 제안하고 이를 실증 분석하였다.

한국 기업의 일본 인터넷 시장 진출 전략: 멀티그룹 구조분석(MSEM)을 이용한 한국과 일본의 온라인 게임 충성도 비교를 중심으로 (Strategy of Market Penetration in Japanese Internet Market: Comparing Online Game Loyalty between Korea and Japan with MSEM)

  • 김남희;이상철;서영호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1-41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if psychological temptation, site quality and sense of community influence user's flow and addiction and if causalities among flow, addiction,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are different between Korean and Japanese online games. To perform our research, we use MCSF(Multi-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MSEM(Multi-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empirical results of SEM(Structural Equation Model) including high-order factor analysis indicate that all of paths in our model are the same for both countries. Therefore, site quality and sense of community have impacts on the flow, while on the other hand, psychological temptation has impacts on the addiction. Customer satisfaction and loyalty are positively related not with the addiction but with the flow. In addition, customer loyalty i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flow and the customer satisfaction. In Conclusion, the empirical results of MSEM(Multi-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 indicate sense of community to flow, flow to loyalty and customer satisfaction to loyalty are different between Korea and Japan. This indicates that companies to penetrate into Japa online game industry should have a concern with Japanese Social and Cultural features and to develop strategies which correspond with Japanese culture.

온라인게임 사용자의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한국, 일본, 중국 온라인게임 시장 비교 (Determinants of Effecting Customer Loyalty : Comparison among Korean, Japanese and Chinese Online Game Market)

  • 이상철;상균영;구자철;서영호
    • 경영과학
    • /
    • 제23권2호
    • /
    • pp.41-57
    • /
    • 2006
  •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identify causalities among flow and customer loyalty In Chinese online games, and to identify the factors by which flow are influenced. This research tests the model with Chinese on-line game users and compare this result with Korea and Japanese results which were conducted by Lee's research. These implications are thought to be helpful for Korean online game companies to understand the Chinese online game user and to develop the penetration strategi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significant Path coefficients to flow were the convenience of operator, the provision of information, the reality of design. The results indicated that significant path coefficients to customer loyalty were the involvement of virtual community and flow. The involvement of virtual community to flow was not significant but to customer loyalty was significant. The provision of information was negatively influenced on flow. The result of comparison indicated that the path coefficients were different among nations. Korea online game companies need to develop the indigenized online game and to Provide the information to their Chinese partner correctly and quickly.

모에화 게임 벽람항로에 나타난 섹시즘 - 여성 캐릭터 노출도 및 의상에 나타난 국가별 고정관념 (Sexism in Moetic Game Azur Lane - Female Character Exposure and Nationality Stereotype in Character's Attire)

  • 송두헌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32-235
    • /
    • 2019
  • 일본풍의 중국 모에화 게임들이 최근 수년 간 한국 모바일 게임 시장에서 성공을 거두고 있다. 소녀 전선 등에서 시작된 이런 움직임은 2018년 벽람항로로 이어졌다. 함선 의인화 게임인 벽람항로 등은 여성 캐릭터의 선정적인 일러스트가 특징이며 소녀 전선 등의 과도한 노출과 선정성은 등급 재분류 제재를 받기도 했다. 벽람항로는 상당수의 청소년 남성 사용자층을 갖고 있어 여성 캐릭터의 과도한 선정성은 유해하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은 벽람항로 게임에 나타난 300여 종의 여성 캐릭터 스킨을 분석하여 여기에 나타난 섹시즘이 단순히 특정 부위의 노출 뿐 아니라 캐릭터의 소속 국가별로 의상이 정형화 되어 있음을 밝힌다. 즉, 중국과 일본은 기모노나 치파오 같은 전통 의상이 중심이고 영국은 제복과 메이드복의 비중이 상당하고, 독일은 제복을 주로 착용하게 함으로써 해당 국가 여성의 성적 오브젝트화와 고정관념을 조성할 수 있다. 또 이런 기본 스킨이 수영복으로 유료 전환되면 상당한 노출이 이루어져 선정성을 특히 강조한다는 점에서 19금 게임이라 해도 이런 과도한 섹시즘은 여성에 대한 부정적 성 대상화 우려가 있다.

  • PDF

미국과 일본 게임의 플레이어 캐릭터 나이와 성별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Age and Gender of Player Character : Focusing on The USA and Japanese Video Games)

  • 남기덕;윤형섭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91-100
    • /
    • 2017
  • 게임 플레이어 캐릭터는 사건의 중심에 있으며 몰입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미국과 일본 게임 시장의 소비자를 이해하기 위해 플레이어 캐릭터 기초 특성인 나이와 성별을 비교분석할 필요가 있다. RPG와 어드벤처 장르에서 미국과 일본의 15년간 게임어워드 수상작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나이와 성별을 분류하고 비교분석하였다. 일본 게임은 나이와 성별을 명시한 설정된 캐릭터 비율이 94.3%, 88.6%로 압도적으로 높았으나 미국 게임은 나이를 명시하지 않고 설정된 캐릭터가 가장 높았다. 본 연구는 미국과 일본 게임의 플레이어 캐릭터 나이와 성별에 설정에 차이가 있다는 점을 인식하게 하고 플레이어 캐릭터 설정의 가이드라인이 되어 게임 디자인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Reconsideration on the Agglomeration Factors of Cultural Industries

  • 반택 성사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375-388
    • /
    • 2008
  • The early studies on the cultural industries had mainly emphasized the viewpoint of "efficiency" based on the "flexible specialization" theory, but they have gradually shed light on the viewpoint of "creativity": creative human resources and various networks generating creative energies. Despite the importance of these studies, it is impossible to explain every cultural industrial agglomeration phenomena from specific and few viewpoints due to the diversity of each cultural industry. This study describes the dissimilarity of agglomeration factors between the Japanese animation and home video game industries which form salient agglomeration in the same region. Both industries share similar characteristics with industrial agglomeration of SMEs in Tokyo and close inter-firm relationships. However, they differ in their historical development paths and each firm's behavior and strategy because of their own distribution systems and production processes. In particular, the difference in distribution systems clearly affects whether a company values "efficiency" factors of agglomeration advantage or "creativity" factors of that in case of locational choice. The distribution sector of the cultural industry, compared with the production sector, has a tendency to value profitability rather than creation itself. Therefore, a cultural industry with the strong distribution sector tends to form the industrial system emphasizing profitability. The Japanese animation firm is apt to choose its lo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efficiency, which easily contributes to profitability, because television broadcasting stations are strong distribution sector. Conversely, the Japanese game firm chooses its lo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reativity due to the absence of strong distribution secto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