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48

검색결과 1,472건 처리시간 0.027초

Roadmapping technique in the hybrid operating room for the microsurgical treatment of complex intracranial aneurysms

  • Juan Luis Gomez-Amador;Cristopher G Valencia-Ramos;Marcos Vinicius Sangrador-Deitos;Aldo Eguiluz-Melendez;Gerardo Y Guinto-Nishimura;Alan Hernandez-Hernandez;Samuel Romano-Feinholz;Luis Alberto Ortega-Porcayo;Sebastian Velasco-Torres;Jose J Martinez-Manrique;Juan Jose Ramirez-Andrade;Marco Zenteno-Castellanos
    • Journal of Cerebrovascular and Endovascular Neurosurgery
    • /
    • 제25권1호
    • /
    • pp.50-61
    • /
    • 2023
  • Objective: To describe the roadmapping technique and our three-year experience in the management of intracranial aneurysms in the hybrid operating room. Methods: We analyzed all patients who underwent surgical clipping for cerebral aneurysms with the roadmapping technique from January 2017 to September 2019. We report demographic, clinical, and morphological variables, as well as clinical and radiological outcomes. We further describe three illustrative cases of the technique. Results: A total of 13 patients were included, 9 of which (69.2%) presented with subarachnoid hemorrhage, with a total of 23 treated aneurysms. All patients were female, with a mean age of 47.7 years (range 31-63). All cases were anterior circulation aneurysms, the most frequent location being the ophthalmic segment of the internal carotid artery (ICA) in 11 cases (48%), followed by posterior communicating in 8 (36%), and ICA bifurcation in 2 (8%). Intraoperative clip repositioning was required in 9 aneurysms (36%) as a result of the roadmapping technique in the hybrid operating room. There were no residual aneurysms in our series, nor reported mortality. Conclusions: The roadmapping technique in the hybrid operating room offers a complementary tool for the adequate occlusion of complex intracranial aneurysms, as it provides a real time fluoroscopic-guided clipping technique, and clip repositioning is possible in a single surgical stage, whenever a residual portion of the aneurysm is identified. This technique also provides some advantages, such as immediate vasospasm identification and treatment with intra-arterial vasodilators, balloon proximal control for certain paraclinoid aneurysms, and simultaneous endovascular treatment in selected cases during a single stage.

Structural analysis,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the main water-soluble acidic polysaccharides (AGBP-A3) from Panax quinquefolius L berry

  • Zhihao Zhang;Huijiao Yan;Hidayat Hussain;Xiangfeng Chen;Jeong Hill Park;Sung Won Kwon;Lei Xie;Bowen Zheng;Xiaohui Xu;Daijie Wang;Jinao Duan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8권5호
    • /
    • pp.454-463
    • /
    • 2024
  • Background: Panax quinquefolius L, widely recognized for its valuable contributions to medicine, has aroused considerable attention globally. Different from the extensive research has been dedicated to the root of P. quinquefolius, its berry has received relatively scant focus. Given its promising medicinal properties, this study was focused on the structural characterizations and anti-inflammatory potential of acidic polysaccharides from the P. quinquefolius berry. Materials and methods: P. quinquefolius berry was extracted with hot water, precipitated by alcohol, separated by DEAE-52-cellulose column to give a series of fractions. One of these fractions was further purified via Sephadex G-200 column to give three fractions. Then, the main fraction named as AGBP-A3 was characterized by methylation analysis, NMR spectroscopy, etc. Its anti-inflammatory activity was assessed by RAW 264.7 cell model, zebrafish model and molecular docking. Results: The main chain comprised of α-L-Rhap, α-D-GalAp and β-D-Galp, while the branch consisted mainly of α-L-Araf, β-D-Glcp, α-D-GalAp, β-D-Galp. The RAW264.7 cell assay results showed that the inhibition rates against IL-6 and IL-1β secretion at the concentration of 625 ng/mL were 24.83 %, 11.84 %, while the inhibition rate against IL-10 secretion was 70.17 % at the concentration of 312 ng/mL. In the zebrafish assay, the migrating neutrophils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number, and their migration to inflammatory tissues was inhibited. Molecular docking predictions correlated well with the results of the anti-inflammatory assay.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d the structure of acidic polysaccharides of P. quinquefolius berry and their effect on inflammation, providing a reference for screening anti-inflammatory drugs.

Monoclonal antibody-based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for quantification of majonoside R2 as an authentication marker for Nngoc Linh and Lai Chau ginsengs

  • Jiranan Chaingam;Le Van Huy;Kanta Noguchi;Poomraphie Nuntawong;Sornkanok Vimolmangkang;Varalee Yodsurang;Gorawit Yusakul;Satoshi Morimoto;Seiichi Sakamoto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8권5호
    • /
    • pp.474-480
    • /
    • 2024
  • Background: Recent years have witnessed increasing interest in the high amount of ocotillol-type saponin in Panax vietnamensis, particularly in relation to majonoside R2 (MR2). This unique 3%-5% MR2 content impart Ngoc Linh and Lai Chau ginsengs with unique pharmacological activities. However, in the commercial domain, unauthentic species have infiltrated and significantly hindered access to the authentic, efficacious variety. Thus, suitable analytical techniques for distinguishing authentic Vietnamese ginseng species from others is becoming increasingly crucial. Therefore, MR2 is attracting considerable attention as a target requiring effective management measures. Methods: An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was developed by producing monoclonal antibodies against MR2 (mAb 16E11). The method was thoroughly validated, and the potential of the immunoassay was confirmed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ultraviolet spectroscopy. Furthermore, ELISA was applied to the assessment of the MR2 concentrations of various Panax spp., including Korean, American, and Japanese ginsengs. Results and conclusions: An icELISA using mAb 16E11 exhibited linearity between 3.91 and 250 ng/mL of MR2, with detection and quantification limits of 1.53 and 2.50 - 46.6 ng/mL, respectively. Based on this study, the developed icELISA using mAb 16E11 could be a valuable tool for analyzing MR2 level to distinguish authentic Ngoc Linh and Lai Chau ginsengs from unauthentic ones. Furthermore, the analysis of the samples demonstrated that Ngoc Linh and Lai Chau ginsengs exhibit a notably higher MR2 value than all other Panax spp. Thus, MR2 might be their ideal marker compound, and various bioactivities of this species should be explored.

Mechanism of Panax notoginseng saponins modulation of miR-214-3p/NR1I3 affecting the pharmacodynamics and pharmacokinetics of warfarin

  • Yuting Yang;Zhenyu Zhai;Huiming Yao;Ling He;Jun Shao;Zirong Xia;Juxiang Li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8권5호
    • /
    • pp.494-503
    • /
    • 2024
  • Background: With the prevalence of dietary supplements, the use of combinations of herbs and drugs is gradually increasing, together with the risk of drug interactions. In our clinical work, we unexpectedly found that the combination of Panax notoginseng and warfarin, which are herbs that activate blood circulation and remove blood stasis, showed antagonistic effects instea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rug interaction between Panax notoginseng saponins (PNS) and warfarin, the main active ingredient of Panax notoginseng, and to explore the interaction mechanism. Methods: The effects and mechanisms of PNS on the pharmacodynamics and pharmacokinetics of warfarin were explored mainly in Sprague-Dawley rats and HepG2 cells. Elisa was used to detect the concentrations of coagulation factors, HPLC-MS to detect the blood concentrations of warfarin in rats, immunoblotting was employed to examine protein levels, qRT-PCR to detect mRNA levels, cellular immunofluorescence to detect the localization of NR1I3, and dual luciferase to verify the binding of miR-214-3p and NR1I3. Results: PNS significantly accelerated warfarin metabolism and reduced its efficacy, accompanied by increased expression of NR1I3 and CYP2C9. Interference with NR1I3 rescued the accelerated metabolism of warfarin induce by PNS co-administration. In addition, we demonstrated that PNS significantly reduced miR-214-3p expression, whereas miR-214-3p overexpression reduced NR1I3 and CYP2C9 expression, resulting in a weakened antagonistic effect of PNS on warfarin. Additionally, we found that miR-214-3p bound directly to NR1I3 3'-UTR and significantly downregulated NR1I3 expression. Conclusion: Our study demonstrated that PNS accelerates warfarin metabolism and reduces its pharmacodynamics by downregulating miR-214-3p, leading to increased expression of its target gene NR1I3, these findings provide new insights for clinical drug applications to avoid adverse effects.

MIA 유도 골관절염 랫드에 Natural Eggshell Membrane (NEM)이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atural eggshell membrane (NEM) on monosodium iodoacetate-induced arthritis in rats)

  • 심부용;박지원;이해진;전지애;최학주;권창주;김화영;;;김동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8권4호
    • /
    • pp.310-318
    • /
    • 2015
  • 본 연구는 난각막 추출물 (NEM)이 골관절염 동물 모델에서 골관절염 유발 인자에 대한 예방과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실험동물인 6주령의 랫드에 NEM을 골관절염 유발 2주전부터 농도별 (52 mg/kg, 200 mg/kg, 400 mg/kg)로 경구 투여하였으며, 2주간의 경구 투여 실시 후 정상군 (normal)을 제외한 대조군과 NEM 경구 투여군에게 3.0 mg/mL의 농도로 MIA를 주사하여 골관절염을 유발하였다. 골관절염 유발 후 4주간 경구 투여를 지속적으로 실시한 후 혈액 및 관절, 조직 등을 이용하여 골관절염 유발 인자들을 확인하였다. NO 생성량은 NEM 200, 400 (mg/kg)에서 유의성 있는 감소를 나타내었으며, $PGE_2$ 생성량은 모든 농도에서 유의성 있는 감소를 나타내었다. 사이토카인 IL-$1{\beta}$와 IL-6 생성량은 IL-$1{\beta}$에서는 모든 농도에서 유의성 있는 감소를 보였으나, IL-6에서는 400 mg/kg 농도에서만이 유의성 있는 감소를 나타내었다. hs-CRP 생성량은 모든 농도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는 감소를 나타내었으며, MMPs 생성량과 $LTB_4$ 생성량을 모든 농도에서 유의성 있는 감소를 나타내었다. 또한, COMP 및 CTX-II 검사를 통해 골관절염의 진행 억제에 유의성 있는 감소를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관절과 연골을 micro-CT 및 조직 염색을 실시한 결과, NEM 경구 투여군은 연골량 및 관절 조직의 변형, 연골세포의 손상도가 대조군에 비하여 손상이 적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NEM은 농도 의존적으로 골관절염 유발 인자를 감소시켜 관절 및 연골에 효능이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NEM이 골관절염에 대한 예방과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의 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체외생산된 한우 배반포기배로부터 송아지 생산을 위한 체계 I. 체외생산된 한우 배반포기배의 초자화 동결보존 (Systems for Production of Calves from Hanwoo(Korean Native Cattle) IVM/IVF/IVC Blastocyst I. Hanwoo IVM/IVF /IVC Blastocyst Cryopreserved by Vitrification)

  • Park, S. P.;Kim, E. Y.;Kim, D. I.;Park, N. H.;Y. S. Won;S. H. Yoon;K. S. Chung;J. H. Lim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49-357
    • /
    • 1998
  • 본 실험은 체외 생산된 한우 배반포기배의 생존능이 초자화동결 융해 후에도 유지될 수 있는지를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한우 배반포기배는 2 단계로 초자화동결되었는데, EG20에 3분간 평형 그리고 EFS40에 노출한 후 L$N_2$에 초자화되기까지 30~45 초간 처리하였다. 체외에서의 생존능은 융해 후 24시간째의 re-expanded 와 48시간째의 hatched 발달율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2번의 반복실험으로부터 체외 수정 후 체외 배양 7일째에 52.5% 의 배반포기배가 생산되었다. 배의 생존에 동결액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던 바, 대조군 (100.0, 87.0%) 과 비교하였을 때 동결액 노출군 (100.0, 73.8%) 에서 유의한 독성은 확인되지 않았다. 그러나, 배반포기배가 초자화동결되었을 때, 높은 생존능(86.2, 55.4%) 은 확인되었지만 그 결과는 노출군과 대조군에 비교하여 볼 때 유의하게 낮은 것이었다.(p<0.05). 배 발달단계와 배양날짜가 초자화동결된 난자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던 바, 배양날짜와 상관없이 빠르게 발달한 난자군에서 유의하게 높은 생존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p< 0.05). 또한, 같은 발달단계라 하더라도, 배양 7일째 배의 (re-expanded: 75.0~87.5%, hatched: 21.4~66.7%) 생존능이 배양 8일째 배의 (re-expanded: 58.6~78.3%, hatched: 10.3~52.2%) 생존능보다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에서 볼 때 체외에서 생산된 한우 배반포기배는 EFS40 동결액을 사용하는 간편 2 단계 초자화방법으로 성공적으로 동결되어질 수 있으며 특히 배양 7일과 8일째의 expanded 배반포기배와 early hatching 배반포기배에서 더욱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마우스 수정란의 체외발달에 미치는 소와 돼지의 난관상피세포와의 공배양 효과 (Effect of Co-culture with Bovine and Porcine Oviductal Epithelial Cells on In Vitro Development of Mouse Embryos)

  • 이성;허의종;석호봉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39-146
    • /
    • 1997
  • 소와 돼지의 난관 상피세포가 마우스 초기배의 발달 에 미치는 영향과 체외배양에 있어 최적의 배양조건을 알아보기 위하여 ICR 계통의 마우스에 PMSG 7.5 IU와 hCG 7.5 IU를 각각 복강주사하고 자연교미하여 48시간 경과 후에 난관에서 2-세포 초기배를 D-PBS로 관류하여 회수하였다. 회수된 배아는 소와 돼지의 난관 상피세포와 공배양하여 그 효사를 배반포 발달율과 핵의 수를 조사하였다. 또한 생체내와 실험 관내의 발육상태를 비교하기 위하여 hCG접종후 120 시간동안 생체내에서 발육시킨 신선 배반포배를 자궁 에서 채취하여 그 핵수를 계산하였다. 마우스 초기배는 TCM 199, Ham's F-10, Medicult IVF 배양액에서 소 난관 상피세포 또는 돼지 난관 상피세포와 공배양할 경우 91-97%의 높은 배반포 발달율을 보였으며 난관 상피세포간의 차이는 나타 나지 않았다. 각 배양조건에 따라 배양된 배반포의 핵수는 체내에서 자란 배반포에 비해 체외에서 배양한 배반포에서 유의적으로 적었다. 체외배양중 핵수는 공배양하지 않은 TCM 199, Ham's F-10, Medicult IVF medium 에서 각각 68.1${\pm}$6.00, 67.3${\pm}$4.49, 66.4${\pm}$5.64개로 나타났으며 BOEC와 공배양하였을 경우에는 94.3${\pm}$8.61, 92.5${\pm}$7.60, 92.1${\pm}$6.107B, POEC와 공배양하였을 때는 93.3${\pm}$5.80, 92.9${\pm}$6.53, 92.3${\pm}$7.35개로 체내에서 배양된 배반포의 경우의 107.2${\pm}$7.43개보다 적었다. 이상의 결과로 난관 상피세포인 BOEC와 POEC는 마우스 초기배야와의 체외공배양시 배아의 발달과 분화에 이로운 영향을 주어 발달율과 부화율를 향상시키나 핵수 증가에서는 체내조건보다 미홉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한우의 번식형질에 대한 환경요인의 효과 (Effects of Environmental Factors on Reproductive Traits in Korean Cattle)

  • 한광진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2호
    • /
    • pp.191-200
    • /
    • 2002
  • 본 연구는 1986년부터 1995년도 사이에 한우개량단지의 한우 암소에 대하여 조사된 번식성적에 근거하여 한우의 번식형질에 미치는 환경요인의 효과를 추정하기 위하여 실시하였으며, 분석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평균능력에서 초종부일령은 466.11${\pm}$5.72일, 초임일령은 480.10${\pm}$6.15일, 초산일령은 742.79 ${\pm}$7.48일, 분만후 초종부일령은 64.97${\pm}$1.42일, 공태일수는 72.06${\pm}$1.73일, 번식간격은 355.93 ${\pm}$1.92일, 임신기간은 285.38${\pm}$0.42일 및 수태당 종부회수는 1.21${\pm}$0.02회였다. 2) 지역별 각 형질에 대한 범위는 초종부일령은 447.62${\pm}$5.94-490.72${\pm}$5.94일, 초임일령은 464.27${\pm}$6.38-505.20${\pm}$6.39일, 초산일령은 721.91 ${\pm}$ 7.85-772.75${\pm}$7.80일, 분만 후 초종부일령은 62.27${\pm}$1.55~68.97${\pm}$1.74일, 공태일수는 69.74${\pm}$ 1.97-74.36${\pm}$2.27일, 번식간격은 352.71${\pm}$2.18-359.64${\pm}$2.09일, 임신기간은 284.52${\pm}$0.42-286.04 ${\pm}$0.47일 및 수태당 종부회수는 1.11${\pm}$0.02-1.30 ${\pm}$0.02회였다. 3) 초종부일령은 혈통등록우가 가장 길었고 상위등록일수록 일령이 빨라지는 경향이 있 었다. 수태당 종부회수는 상위등록우로 갈수록 종부회수가 많게 추정되었다. 4) 분만후 초종부일수는 2산차에서 가장 길었으며 산차가 진행될수록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수태당 종부회수는 산차가 진행될수록 적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5) 분만년도가 1987년부터 1995년까지 경과할수록 분만후 초종부일수, 공태일수 및 번식 간격이 길어지고 수태당 종부회수는 많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6) 분만후 초종부 일수, 공태일수 및 번식간격은 봄과 여름에 분만한 소들에서 가을과 겨울에 분만한 소들에 비하여 다소 짧게 추정되었다. 수태당 종부회수는 봄과 여름에 분만한 소들에 비하여 가을과 겨울에 분만한 소들에서 더 많은 경향이 있었다.

돈 분뇨 액비에 미생물 첨가가 배추의 발아지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icrobial Inoculant to Pig Liquid Fertilizer on Germination Index of Chinese Cabbage)

  • 김태일;유용희;정의수;;양창범;김민균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35-146
    • /
    • 2005
  • 본 연구는 돈 분뇨 액비에 미생물 첨가가 배추의 발아지수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기 위해서 수행하였다. 돈 분뇨 액비는 107일 동안 폭기와 무폭기 상태로 액상비료를 제조하여 공시하였고 미생물 첨가는 $0.05\%,\;0.1\%,\;0.2\%,\;0.3\%$ 수준으로 하였다. $0.05\%$ 미생물 접종 처리구에서 식물 독성이 낮고 발아지수가 높게 나타났다. 첨가수준별 돈분 액비 이용시험에서 초기 돈 슬러리의 액비성상은 T-N 2,873 ppm, T-P 753 ppm, $NH_4-N$ 1,441.6 ppm, $NO_3-N$ 16.48ppm으로 50일이 되면서 폭기조건에서 T-N 3,672 ppm, T-P 164 ppm, $NH_4-N$ 183.87 ppm, $NO_3-N$ 21.97 ppm로 변화하였으며, 무폭기 조건에서 T-N 1,261 ppm, T-P 68 ppm, $NH_4-N$ 161 ppm, $NO_3-N$ 16.87 ppm로 나타났다. 미생물을 처리하지 않고 107일동안 폭기조건과 무폭기 조건으로 액비화한 시료의 발아지수는 각각 83과 40.4이였다. 돈 분뇨 액비를 무산소 제조시 $40\%$ 이상, 호기제조시 $50\%$ 이상의 발아지수가 개선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액비제조 처리가 무산소 제조보다는 호기제조 처리가 작물에 양호한 것으로 판단되어지며 이는 호기처리시 총질소의 함량을 높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결과인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방광 요관 역류가 있는 소아에서 신반흔 형성과 관련된 인자들 (Factors Associated with Renal Scar in Children with Vesicoureteral Reflux)

  • 김경희;장성희;이대열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5권1호
    • /
    • pp.43-50
    • /
    • 2001
  • 목 적 : 소아기 요로 감염은 신손상을 유발하여 신반흔, 고혈압, 단백뇨, 말기신부전증등을 일으키며 특히 방광 요관 역류는 신반흔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방광 요관 역류가 있으면서 신반흔을 형성한 환아군과 형성하지 않은 환아군의 연령, 성별, 역류 등급, ACE 유전자 다형성, 그리고 신체적 성장의 소견을 비교 분석하여 신반흔에 관련된 인자들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대상 및 방법 : 1992년 7월부터 2000년 6월까지 요로 감염으로 전북대병원 소아과에 내원한 환아 545명중에 방광 요관 역류로 진단된 15세 미만의 환아 93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환아들은 신반흔의 유무에 따라 두 군으로 분류하여 진단시 연령과 성별, 키, 체중등을 조사하였고 방광 요관 역류와 그 정도는 배뇨중 방광 요도 조영술을 시행하였으며 신반흔은 99mTc-DMSA 신스캔으로 추적 검사를 시행하여 확진하였다. ACE 유전형은 말초 혈액의 genomic DNA에서 PCR법으로 결정하였고, 신장과 체중은 HSDS와 WHI로 나타내어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 신반흔이 있는 환아 54명 중에 방광 요관 역류 환아는 47명(87$\%$)으로 방광 요관 역류가 신반흔의 중요한 인자이었다. 신반흔 형성군과 무형성군 사이의 남녀별 차이는 없었으며 신반흔 형성군의 진단시 평균 연령은 2.48${\pm}$2.65세로 무형성군의 1.26${\pm}$1.83세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5). 방광 요관 역류의 정도는 역류 등급이 높을수록 신반흔이 생기는 비율이 높았다(P<0.05). 1세 미만의 역류가 있는 환아들은 비교적 신반흔을 잘 형성하였고 모든 연령분포에서 역류의 정도가 심할수록 신반흔이 잘 발생하였다(P<0.05) 전체 요로감염이 있었던 환아의 17.5$\%$에서 방광 요관 역류가 있었고, 이 때 동반된 요로 감염의 대부분의 원인균은 E. coli였으며(75.3$\%$, E. coli가 차지하는 비율은 양 군($76.6\%/73.9\%$)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ACE 유전자 다형성에 따른 신반흔 형성과의 관계를 보기 위해 양 군사이를 비교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신반흔의 정도와 신체적 성장과의 관계를 보기 위해 진단시의 키와 체중을 매개변수인 HSDS와 WHI로 환산하여 양 군사이를 비교하였을 때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결 론 : 본 연구에서 신반흔에 관련된 인자로서는 진단시의 연령, 방광 요관 역류의 유무, 또한 역류의 정도와 관계가 있고 성별, 원인균, ACE유전자형과는 무관하였으며, 앞으로 세균의 독성요소로 작용하는 E. coli의 특성에 대한 자세한 연구와 신반흔의 정도에 따른 신체적 성장의 추적 관찰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