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somaltooligosaccharides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5초

충진형반응기에서 고정화 Transglucosidase를 이용한 이소말토올리고당의 연속생산 (Continuous Production of Isomaltooligosaccharides by Immobilized Transglucosidase in a Packed-bed Reactor)

  • 안장우;박관화;서진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10-117
    • /
    • 1998
  • 고정화 transglucosidase (TG)를 이용한 충진형 반응기를 만들어 isomaltooligosaccharides (IMO)의 연속생산 가능성을 살펴보고 기질용액의 농도와 유속에 따른 반응산물의 생성패턴과 운전안정성을 조사하였다. 고정화 TG에 의한 IMO의 생성패턴은 soluble TG의 경우와 동일하였다. 충진형반응기에 의해 생성된 포도당과 isomaltose의 농도는 기질인 maltose 용액의 농도와 종류에 관계없이 유속의 증가에 따라 지속적으로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고 isomaltotriose 역시 10% 기질용액을 사용한 경우를 제외하고 같은 경향을 보였다. 반면, panose의 농도는 유속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기질농도가 10% 일 때, IMO의 최대수율은 2 mL/min 유속에서 52.1%였고, 20%와 30% (w/v)일 때는, $0.5{\sim}1.0\;mL/min$ 유속에서 각각 $39.0{\sim}38.0%,\;12.1{\sim}14.2%$의 최대수율을 보였다. 20%의 maltose를 함유한 조제당화액을 사용했을 때의 수율은 유속이 0.5 mL/min일 때 36.3%였다 본 충진형반응기는 $55^{\circ}C$에서 안정되게 운전되었다. 144시간 운전후에 초기 활성의 85%, 288시간 경과후에도 약 65%의 활성이 잔존하였다. 본 실험결과로 보아 IMO를 생산하기 위해 고정화 TG를 이용한 충진형반응기를 적용하는 것은 가능성이 클 것으로 예상되었다.

  • PDF

Synbiotic Synthesis of Oligosaccharides During Milk Fermentation by Addition of Leuconostoc Starter and Sugars

  • Seo, Dong-Mi;Kim, So-Young;Eom, Hyun-Ju;Han, Nam-So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11호
    • /
    • pp.1758-1764
    • /
    • 2007
  • Synthesis of oligosaccharides during milk fermentation was attempted by inoculating Leuconostoc citreum with Lactobacillus casei, Lb. delbrueckii subsp. bulgaricus, and Streptococcus thermophilus as starters. Dextransucrase of Ln. citreum worked as a catalyst for the transglycosylation reaction of sugars; sucrose was added as the glucose donor, and lactose or maltose acted as the acceptor compound for the reaction. When 4% sucrose was added in milk, glucosyl-lactose was synthesized (about 1%, w/v) after 1-2 days of fermentation at 15 or $25^{\circ}C$. Alternatively, when sucrose and maltose (2% each, w/v) were added, panose (about 1 %, w/v) and other isomaltooligosaccharides were made in a day at $15-35^{\circ}C$. Growth patterns of lactobacilli and streptococci starters were not affected by the coculture of leuconostoc starter, but the rate of acid synthesis was slightly slowed at every temperature. Addition of sugars in milk did not give any adverse effect on the lactate fermentation. Accordingly, the use of leuconostoc starter and addition of sugars in milk allowed the production of oligosaccharides-containing fermented milk, and application of this method will facilitate the extensive development of synbiotic lactate foods.

Effects of Graded Levels of Isomaltooligosaccharides on the Performance, Immune Function and Intestinal Status of Weaned Pigs

  • Wang, X.X.;Song, P.X.;Wu, H.;Xue, J.X.;Zhong, X.;Zhang, L.Y.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9권2호
    • /
    • pp.250-256
    • /
    • 2016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raded levels of isomaltooligosaccharides (IMO) on the performance, immune function and intestinal microflora and intestinal mucosal morphology of weaned pigs. In a 28-day experiment, one hundred eighty, twenty eight-day-old, crossbred (Duroc${\times}$Large White${\times}$Landrace), weaned pigs, with an initial body weight of $8.19{\pm}1.45kg$, were fed either an unsupplemented corn-soybean meal based diet or similar diets supplemented with 0.2%, 0.4%, 0.6%, or 0.8% IMO added at the expense of corn. Each treatment was replicated six times with six pigs (three barrows and three gilts) per pen. From day 0 to 14, weight gain was linearly increased (p<0.05), while gain:feed (p<0.05) was linearly improved and diarrhea rate (p = 0.05) linearly declined as the IMO level increased. On d 14, the level of the immunoglobulins IgA, IgM, and IgG in the serum of pigs were linearly increased (p<0.05) with increasing IMO supplementation. Interleukin-6 (IL-6) was linearly (p<0.05) and quadratically (p<0.05) decreased as IMO intake increased. From day 15 to 28, there was a trend for weight gain to be linearly increased, and IL-2 was linearly (p<0.05) increased as IMO supplementation increased on d 28. Over the entire experiment, weight gain was linearly increased (p<0.05), while gain:feed (p<0.05) was linearly improved and diarrhea rate (p<0.05) was linearly decreased as the IMO level increased. Supplementation with IMO had no effect on the intestinal microflora of pigs in the ileum and cecum of pigs, as well as the villus height and crypt depth in the ileum and jejunum (p>0.05).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ietary inclusion of IMO increases weight gain, gain:feed and enhanced the immune status of pigs, and could be a valuable feed additive for use in weaned pigs, particularly during the period immediately after weaning.

쌀가루로부터 이소말토올리고당 제조를 위한 효소반응 최적 조건 (Optimum Conditions of Enzymatic Reactions for Production of Isomaltooligosaccharides from Rice Flour)

  • 박지인;신지영;양지영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83-92
    • /
    • 2020
  • 쌀 소비 촉진과 쌀가공품의 다양화를 위해 쌀가루를 이용한 이소말토올리고당 제조에 대해 연구하였다. 최적 반응 조건을 확립하기 위해서 상업용 효소인 Termamyl 2X, Maltogenase L, Promozyme D2, Fungamyl 800L, Trnasglucosidase L을 사용하였고, 당류는 HPLC-CAD를 이용하여 말토올리고당과 이소말토올리고당을 동시분석하여 제조 조건별로 당의 구성 및 함량을 확인하였다. 액화반응의 최적화 조건을 탐색하기 위해 효소의 농도(0.025%, 0.05%, 0.075%, 0.1%)와 시간(1 h, 2 h)에 변화를 주어 반응시켰으며, 가수분해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액화액의 환원당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Termamyl 2X를 0.075% 첨가하여 2시간 동안 반응하였을 때 환원당 함량이 138.26 g/L로 가장 높았다. 당화·전이반응의 최적화 조건을 확인하기 위해 효소의 종류, 효소농도, 효소반응시간을 달리하여 이소말토올리고당을 제조하였다. Maltogenase L, Promozyme D2, Transglucosidase L을 동시에 첨가하여 반응시켰을 때 isomaltose와 panose를 많이 생산하면서 총 이소말토올리고당의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효소의 첨가량을 결정하기 위해 각각 농도에 변화를 주어 시간별로 당 함량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Maltogenase L은 0.0015%, Promozyme D2는 0.05-0.1%, Transglucosidase L은 0.1%를 첨가하였을 때, glucose의 함량은 감소되고 중합도가 높은 이소말토올리고당의 함량은 증가하는 효과가 있었다. 최적 효소반응시간 결정을 위해 6시간마다 생성물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36시간에 총 이소말토올리고당이 75.36 g/L로 가장 높은 것으으로 확인되었다. 최적 조건으로 제조된 이소말토올리고당은 18 brix였고, isomaltose 35.11 g/L, panose 11.97 g/L, isomaltotriose 19.95 g/L, isomaltotetraose 7.46 g/L, isomaltopentaose 1.05 g/L 이 생성되었으며, 총당 중 이소말토올리고당의 비율은 56.37%였다.

막걸리 발효 중 이소말토올리고당의 변화 (Changes in isomaltooligosaccharides during fermentation of Makgeolli)

  • 노동현;정석태;박보람;김용석;임보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351-361
    • /
    • 2022
  • 막걸리 발효 양조에 사용되는 누룩의 종류는 발효 온도와 기간에 따라 다르며, 전분분해효소의 활성 차이로 막걸리 발효 중 생성되는 구성당의 조성 및 함량이 다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TG에 따라 이소말토올리고당이 어떻게 생성되며, 발효기간에 따라 생성되는 이소말토올리고당의 변화와 최대 함량 시기를 확인하고 막걸리의 이소말토올리고당 생성에 누룩 미생물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소율누룩 막걸리(SH), 산성누룩 막걸리(SS), 진주누룩 막걸리(JJ) 모두 발효 0일차 이후 유기산의 생성으로 총산은 증가하고, pH는 감소하였다. 알코올은 모든 처리구에서 발효 2-5일차까지 급격하게 증가하였으며, 이후 15일차까지 완만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알코올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glucose는 1일차 SS에서 14.3%로 SH와 JJ보다 높은 값이 측정되었는데, SH의 1.5%보다 9배 이상 높게 확인되었다. SH, SS, JJ는 발효 중 maltose와 maltotriose가 기질로 사용되어 panose가 증가하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panose의 생성과 동시에 isomaltose의 생성도 확인되었다. SH의 panose 함량은 6일차에 24.7 mM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SS은 2일차에 18.2 mM, JJ는 3일차에 10.8 mM로 각각 최고 함량을 나타냈다. 누룩별 막걸리의 올리고당 함량을 보면 SH에서만 maltopentose가 검출되었으며, 발효 종료 15일차에는 말토올리고당과 이소말토올리고당이 확인되었지만 JJ에서는 isomaltotriose만 검출되었으며, SS에서는 올리고당이 나타나지 않았다. β-Amylase 활성을 분석한 결과 JJ의 효소활성이 1일차에 1.5 unit/g으로 다른 두 개의 누룩 막걸리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0.9 unit/g으로 SH, 0.7 unit/g SS의 순서로 나타났다. 이는 maltose의 1일차 함량과 같은 경향으로 측정되었다. 세 종류의 막걸리 발효 0일차 TG를 분석한 결과 SH에서 TG의 활성은 0.2 unit/mL로 다른 누룩 막걸리보다 훨씬 높은 효소활성 값을 나타내고 있으며, SS는 0.1 unit/mL로 0.03 unit/mL의 JJ와 활성 차이를 보이며, 0일차 이후 SS이 감소하면서 JJ와 비슷한 수치를 유지하며 발효가 진행되었다. 발효 중 미생물의 생육유무에 따른 이소말토올리고당의 생성을 분석한 결과 미생물이 생성하는 TG 전이효소에 의해서 긴 사슬의 이소말토올리고당이 생성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소말토올리고당의 생성은 누룩 자체의 효소보다 막걸리 발효 중 생육하는 미생물의 영향이 더 큰 것으로 판단된다.

Characterization of Dextran Produced by L. mesenteroides ATCC 13146

  • Yoo, Sun-Kyun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5년도 생물공학의 동향(XVII)
    • /
    • pp.358-362
    • /
    • 2005
  • High molecular weight dextran (39% alcohol, v/v), less soluble dextran, eluted from this column between T 500 and T 2000, a commercial linear dextran, Soluble dextran (45% alcohol, v/v) eluted at between T 70 and T 150 dextran. The molecular weight average of total dextran (50% alcohol, v/v) was between 150,000 to 500,000. A few oligosaccharides were detected from hydrolyzates of less soluble dextran. The hydrolyzates of soluble dextran were a family of DP 1 to 6 isomaltooligosaccharides. Compounds greater than DP 4 were branched isomaltooligosaacharides.

  • PDF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of an Optimum Composition Model for a Synbiotic Fermented Milk Using Sequential Quadratic Programming Techniques

  • Chen, Ming-Ju;Chen, Kun-Nan;Lin, Chin-We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9권10호
    • /
    • pp.1490-1495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velop an optimum composition model for a new synbiotic fermented dairy product with high probiotic cell counts, and to experimentally verify this model. The optimum composition model indicated the growth promoter ratio that could provide the highest growth rate for probiotics in this fermented product. Different levels of growth promoters were first blended with milk to improve the growth rates of probiotics, and the optimum composition model was determined. The probiotic viabilities and chemical properties were analyzed for the samples made using the optimal formula. The optimal combination of the growth promoters for the synbiotic fermented milk product was 1.12% peptides, 3% fructooligosaccharides (FOS), and 1.87% isomaltooligosaccharides (IMO). A product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formula of the optimum model was analyzed, showing that the model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viability of both Lactobacillus spp. and Bifidobacterium spp.

닭의 대장을 돼지의 대장이나 소의 제 1위 (Rumen)와 비교 연구 (Comparison of the Chicken Large Intestine to the Large Intestine of Pigs and the Rumen of Cows)

  • 남기홍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81-95
    • /
    • 2006
  • 닭의 대장은 해부학적, 생리학적으로 돼지의 대장이나 소의 men과 다르다. 닭의 대장은 소의 men이나 돼지의 대장에 비교하여 잘 발달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닭의 대장속에 있는 미생물군은 rumen 속의 것과 비슷하다. 특히 닭의 맹장속에는 많은 미생물이 있으며 이 미생물군은 나이, 사료, 성성숙의 정도, 항생제 사용 유무 등에 따라서 다양하게 나타난다. 단백질은 장내의 미생물 형성에 중요한 영양소이다. 닭에서 소장의 길이는 전장 길이의 65%를 차지하며 닭의 맹장은 8.1 %그리고 직장과 공장은 4.6 %를 차지한다. 소장 내에 분포하는 미생물 군은 현재까지 약 10%가 구명된 상태로서 나머지 90%에 대한 정보는 전무하다. 최근의 연구에 따르면 에너지, 저급지방산 (VFA)과 그리고 전해물질이 대장에서 약간씩 흡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닭의 소장은 각종 효소등이 분비되어 소화가 일어나는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앞으로도 많은 연구가 과당류 즉 sucrose thermal oligosaccharide caramel (STOP), fructooligosaccharides (FOS), mannanoligosaccharide (MOS), galactooligosaccharide (GOS) 그리고 isomaltooligosaccharides (IMO)등이 맹장과 대장내에서 어떻게 소화가 일어나는지에 관해서 집중되어야 한다. 과량의 섬유질 함량은 닭의 소화에 치명적일 수 있지만 적당량을 사료에 혼합하여 급여하면 소장의 길이와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김치발효 중 Mannitol 생성에 미치는 올리고당류의 영향 (Effect of O1igosaccharides on Mannitol Accumulation during the Fermentation of Kimchis)

  • 강선철;윤종원노택욱
    • KSBB Journal
    • /
    • 제11권2호
    • /
    • pp.181-185
    • /
    • 1996
  • 김치의 기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김치제조 중에 프락토올리고당, 대두올리고당, 이소말토올리 고당을 각각 첨가하여 발효과정에서 이들 올라고 당류가 mannitol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 였다. 프락토올리고당을 첨가한 김치의 경우, $25^{\circ}C$에서 첨가된 올리고당이 mannitol의 생성량을 증가 시킨데 비해, 대두올라고당의 경우는 $35^{\circ}C$에서 증가 효과가 관찰되었다. 그러나 이소말토올리고당의 첨 가영향은 모든 실험조건에서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프락토올리고당과 대두올라고당은 조건에 따라 김치발효 중에 mannitol의 생성량을 증가시키는 효 과를 나타내므로 냉음미와 기능성이 동시에 강화된 김치제조의 효과적인 첨가제로 인정되었다.

  • PDF

Optimized Substrate Concentrations for Production of Long-Chain Isomaltooligosaccharides Using Dextransucrase of Leuconostoc mesenteroides B-512F

  • Lee, Min-Sung;Cho, Seung-Kee;Eom, Hyun-Ju;Kim, So-Young;Kim, Tae-Jip;Han, Nam-So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6호
    • /
    • pp.1141-1145
    • /
    • 2008
  • Isomaltooligosaccharide (IMO) is a promising dietary component with prebiotic effect, and the long-chain IMOs are preferred to short chain ones owing to the longer persistence in the colon. To establish the optimal process for synthesis of long-chain IMOs, we systematically examined the reaction condition of dextransucrase of Leuconostoc mesenteroides B-512F by changing the ratio of sucrose to maltose (varying as 1:4, 1:2, 1:1, and 2:1) and amount of each sugar (from 2% to 20%). As a result, a ratio of 2:1 (sucrose to maltose, 10:5% or 20:10%, w/v) was determined as an optimal condition for long-chain IMO synthesis (DP3-DP9) with relatively higher yields (70-90%,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