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ris odaesanensis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8초

노랑무늬붓꽃(Iris odaesanensis Y.N.Lee) 자생지의 환경특성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Habitats of Iris odaesanensis Y.N.Lee)

  • 천경식;한준수;서원복;김경아;유기억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9권11호
    • /
    • pp.1337-1353
    • /
    • 2010
  • This study intended to investigate environmental factors including soil and vegeta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12 different habitats of Iris odaesanensis. These habitats, according to investigations, are mostly located at elevation of 280 m to 1,555 m with angles of inclination ranging from 2 degree to 30 degrees. A total of 273 vascular plants are identified in 23 quadrates of 12 habitats. Dominant species of woody plants in 12 habitats are represented as Quercus mongolica in the tree layer (T1) and the subtree (T2) layer, and Lespedeza maximowiczii, Lindera obtusiloba,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in the shrub (S) layer. The importance value of Iris odaesanensis is 9.65%, as regards the herbaceous layer, and 6 highly ranked species such as Carex siderosticta (3.92%), Meehania urticifolia (2.67%), Spodiopogon cotulifer (2.58%), Aconitum pseudolaeve (2.51%), Carex bostrychostigma (2.28%) and Disporum smilacinum (2.09%) are considered to be an affinity with Iris odaesanensis in their habitats. The degree of their average species diversity is 1.32, and that of dominance and evenness are 0.08 and 0.89, respectively. The type of soil is sandy loam and loam, and the average field capacity of soil is 28.31%. Their average organic matter is 16.71%, soil pH 5.29, and available phosphorus is 9.29%. Correlation coefficients analysis based on environmental factors, vegetation and soil analysis shows that the coverage of Iris odaesanensis is correlated with pH and dominance, and species richness is positive related with species diversity.

자연생태관 조성을 위한 식물자원 조사연구 -강원도 평창군 용평면 노동리를 중심으로- (A Preliminary Investigation on Plant Resources for the Natural Ecology Center - Nodong valley, Pyungchanggun of Kangwondo -)

  • 송호경;이선;이미정;지윤의
    • 환경생물
    • /
    • 제19권2호
    • /
    • pp.113-118
    • /
    • 2001
  • 본 연구는 자연생태관 조성계획지인 강원도 평창군 용평면 노동리 노동계곡을 대상으로 식생조사를 실시하여 자연생태관 조성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노동계곡의 조사구에서 출현한 관속식물은 총 56과 121속 152종 24변종 2품종이며, 본 조사에서 감소추세종으로 관중과 도깨비부채가, 한국특산종으로 노랑무늬붓꽃이 출현하였다. 식물군락은 자연군락인 신갈나무-당단풍군락과 인공군락인 일본잎갈나무군락, 잣나무군락으로 구분되었으며, 신갈나무-당단풍군락은 다시 소나무아군락, 고로쇠나무아군락으로 구분되었다. 한국특산종으로 구분된 노랑무의붓꽃은 고로쇠나무아군락에 분포하였으며, 자연생태관을 조성할 때 이 군락에 대한 보존 관리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Plant regeneration from callus of Iris odaesanensis Y. N. Lee native to Korea via organogenesis

  • Bae, Kee-Hwa;Yoo, Kyoung-Hwa;Lee, Mi-Hyun;Jeong, Jae-Hun;Choi, Yong-Eui;Yoon, Eui-Soo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0권3호
    • /
    • pp.163-168
    • /
    • 2013
  • Iris odaesanensis Y. N. Lee. is an important endangered and native plant belonging to the family Iridaceae in Korea. This study describes a method for rapid micropropagation of this species via from leaf, rhizome and root explants derived calli. Leaf, rhizome and root explants were cultured on Murashige and Skoog (MS) medium supplemented with 2,4-dichlorophenoxy acetic acid (2,4-D) for callus induction. Rhizome explants yielded calli at a frequency of 72% when cultured at 1.0 mg/l 2,4-D. Calli were maintained at 1.0 mg/l 2,4-D. These calli were transferred to MS medium supplemented with 0, 0.5, 1.0, and 2.0 mg/l 2,4-D in combination with 0, 0.5, 1.0, and 3.0 mg/l BA for adventitious shoot induction. The highest number of adventitious shoot (228.9 per petri-dish) were formed at 1.0 mg/l 2,4-D and 1.0 mg/l BA. WPM medium was the best to convert calli into plantlets, where up to 98.2% of calli were regenerated into plantlets. This in vitro propagation protocol should be useful for conservation of this endangered plant.

자생붓꽃의 형태적 특성 및 RAPD 마커에 의한 유연관계 분석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Genetic Relationship by RAPD Marker in Iris spp.)

  • 홍성미;고재철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1권1호
    • /
    • pp.19-23
    • /
    • 2004
  • 본 연구는 붓꽃속 식물의 형태적 특성 조사와 RAPD분석을 통해 유전적 다양성과 근연성을 밝히고 유전자 도입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얻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RAPD를 이용하여 국내에서 수집한 자생붓꽃종의 DNA다형성을 조사한 결과 40개의 primer중 8개의 유용한primer가 선발되었고 이들 primer는 108개의 밴드를 나타내었다. 이들 중 다형성 밴드는 107 개였다. Jaccard (1-S$_{J}$ )법에 의한 비유사도 계수는 0.095∼0.699로 나타났고, dendrogram에서 나타난 유전적 근연성은 크게 세 개의 군으로 분류되었다. I군은 연미붓꽃, II군은 타래붓꽃, 제비붓꽃, 노랑꽃창포, 노랑무늬붓꽃이 속해 있었으며, III군은 금붓꽃, 각시붓꽃, 붓꽃, 꽃창포가 속해 있었다.

팔공산 금붓꽃 계열의 자연 잡종 현상 (Natural hybridization of Iris species in Mt. Palgong-san, Korea)

  • 손오경;손성원;서강욱;박선주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243-253
    • /
    • 2015
  • 붓꽃속(Genus Iris)의 금붓꽃계열(Series Chinensis)은 극동아시아에 국한되어 분포하고 있으며 한국에는 총 6분류군이 자생하고 있다. 이는 크게 두 개의 주요 그룹 (각시붓꽃 complex와 금붓꽃 complex)으로 나뉜다. 본 연구에서는 팔공산에서 발견된 잡종추정개체들의 실체와 붓꽃속 금붓꽃계열 분류군간의 계통학적 유연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핵 rDNA ITS와 엽록체 matK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확보하여 분석하였다. 총 55개체로부터 얻은 106 개 ITS amplicon의 염기서열 및 군외군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금붓꽃계열의 노랑무늬붓꽃, 노랑붓꽃, 금붓꽃 및 잡종추정군은 군외군과 구분되어 유집되었으나, 군내군 사이에서는 높은 다형성 염기서열이 관측되었다. ITS 계통수에서 잡종추정군의 일부는 노랑무늬붓꽃과 하나의 분계조를 나타내었고, 나머지 잡종추정군의 경우는 금붓꽃+노랑붓꽃과 분계조를 형성하였다. 한편 cpDNA의 경우 matK를 제외한 나머지 마커는 금붓꽃과 노랑붓꽃의 차이를 보여주지 못하였다. matK의 NJ 계통수에서 잡종추정군이 금붓꽃과 높은 Bootstrap 값으로 하나의 분계조를 형성하였으며, 염기서열이 일치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팔공산에서 발견된 잡종추정군의 모계는 금붓꽃이고 부계는 노랑무늬붓꽃이라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Plastid DNA (psbA-trnH, trnL-F)의 염기서열에 의한 한국산 붓꽃속(Iris L.)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A phylogenetic study of Korean Iris L. based on plastid DNA (psbA-trnH, trnL-F) sequences)

  • 이현정;박선주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27-235
    • /
    • 2013
  • 한국산 붓꽃속 16종과 1종의 외군을 대상으로 유연관계 및 분류학적 실체를 파악하기 위하여 분자계통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한국산 붓꽃속은 5개의 Clade로 나타났으며, Clade I에는 Series Laevigatae, Tripetalae, Laevigatae, Sibiricae, Clade II에는 Series Ruthenicae, Easatae, Clade III에는 Series Chinensis, Clade IV에는 Series Chinensis, Clade V에는 Series Crossiris, Pumilae, Pardanthopsis로 나타났다. 대청부채, 만주붓꽃, 연미붓꽃은 하나의 단계통을 형성하여 가장 기저부에 위치하였고, 금붓꽃과 노랑붓꽃은 독립적인 분계조를 형성하지 못하여 두 종의 관계가 명확하지 않았다. 연미붓꽃은 Crossiris속의 Crossiris절로 분류체계를 설정하였다. Chinensis계열은 금붓꽃계열(노랑무늬붓꽃, 금붓꽃, 노랑붓꽃)과 각시붓꽃계열(넓은잎각시붓꽃, 각시붓꽃)로 뚜렷히 구분되었다. 붓꽃속은 크게 4아속(Limniris, Crossiris, Iris, Pardanthopsis)으로 나눠지며, Pardanthopsis아속, Iris아속 그리고 Crossiris아속에서 Limniris아속으로 분화되는 경향성을 나타내었다.

전국자연환경조사 자료를 이용한 종분포모형 연구 (A Study on the Species Distribution Modeling using National Ecosystem Survey Data)

  • 김지연;서창완;권혁수;류지은;김명진
    • 환경영향평가
    • /
    • 제21권4호
    • /
    • pp.593-607
    • /
    • 2012
  • The Ministry of Environment have started the 'National Ecosystem Survey' since 1986. It has been carried out nationwide every ten years as the largest survey project in Korea. The second one and the third one produced the GIS-based inventory of species. Three survey methods we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re were few studies for species distribution using national survey data in Korea.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test species distribution models for finding the most suitable modeling methods for the National Ecosystem Survey data and to investigate the modeling results according to survey methods and taxonominal group. Occurrence data of nine species were extracted from the National Ecosystem Survey by taxonomical group (plant, mammal, and bird). Plants are Korean winter hazel (Corylopsis coreana), Iris odaesanensis (Iris odaesanensis), and Berchemia (Berchemia berchemiaefolia). Mammals are Korean Goral (Nemorhaedus goral), Marten (Martes flavigula koreana), and Leopard cat (Felis bengalensis). Birds are Black Woodpecker (Dryocopus martius), Eagle Owl (Bubo Bubo), and Common Buzzard (Buteo buteo). Environmental variables consisted of climate, topography, soil and vegetation structure. Two modeling methods (GAM, Maxent) were tested across nine species, and predictive species maps of target species were produc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Maxent showed similar 5 cross-validated AUC with GAM. Maxent is more useful model to develop than GAM because National Ecosystem Survey data has presence-only data. Therefore, Maxent is more useful species distribution model for National Ecosystem Survey data. Secondly, the modeling results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survey methods showed sometimes different because of each different surveying methods. Therefore, we need to combine two data for producing a reasonable result. Lastly, modeling result showed different predicted distribution pattern by taxonominal group. These results should be considered if we want to develop a species distribution model using the National Ecosystem Survey and apply it to a nationwide biodiversity research.

주왕산국립공원 내 주산지 유역의 관속식물상 및 관리방안 (Management Plan and Vascular Plants of the Jusan Reservoir Watershed in Juwangsan National Park)

  • 유주한;정성철;정철운;문성주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89-105
    • /
    • 2012
  • This study is carried out to survey and analyse the vascular plants distributed around the Jusan Reservoir, Juwangsan national park.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numbers of vascular plants were 377 taxa; 85 families, 253 genera, 332 species, 3 subspecies, 37 varieties and 5 forma. The endangered plants designated by Ministry of Environment were 2 taxa; Berchemia berchemiaefolia (Makino) Koidz. and Iris odaesanensis Y.N.Lee. The rare plants designated by Korea Forest Service were 6 taxa; Eranthis stellata Maxim., Aristolochia contorta Bunge, Aristolochia manshuriensis Kom., Berchemia berchemiaefolia (Makino) Koidz., Scopolia japonica Maxim. and Iris odaesanensis Y.N.Lee. The endemic plants were 4 taxa; Carpinus laxiflora (Siebold & Zucc.) Blume, Pseudostellaria coreana (Nakai) Ohwi, Philadelphus schrenkii Rupr. and Weigela subsessilis (Nakai) L.H.Bailey.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were 38 taxa; Juglans mandshurica Maxim., Salix chaenomeloides Kimura, Hylomecon vernalis Maxim., Lonicera praeflorens Batalin, Erythronium japonicum (Baker) Decne., Potentilla dickinsii Franch. & Sav., Celtis aurantiaca Nakai, Anemone reflexa Steph. & Willd., Cimicifuga heracleifolia Kom. and so forth. The naturalized plants were 20 taxa; Fallopia dumetorum (L.) Holub, Chenopoidum album L., Lepidium apetalum Willd., Veronica persica Poir., Conyza canadensis (L.) Cronquist, Taraxacum officinale Weber and so forth.

RAPD에 의한 한국산 붓꽃속(Iris)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A molecular systematic study of Korean Iris (Iridaceae) based on RAPD analysis)

  • 박선주;심정기;박홍덕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83-396
    • /
    • 2002
  • 한국산 붓꽃속(Iris L.; Iridaceae) 15종과 비교군인 등심붓꽃속(Sisyrinchium auguistifolium Mill.)과 범부채속(Belamcanda chinensis (L). DC.)을 포함한 17분류군을 대상으로 RAPD분석이 수행되었다. 10개의 oligoprimer를 이용한 효소중합반응에서 80개의 유효한 polymorphic band가 확인되었다. 유전적 상사도 지수에 의하여 bootstrap을 포함한 neighbour-joining 방법을 통하여 계통수를 평가하였다. 한국산 붓꽃속은 3아속(Limniris, Crossiris, Pardanthopsis) 또는 2속과 1아속으로 분류되어지고, 붓꽃아속(Limniris)은 6개의 분계조를 형성하고 있어 Waddick(1992)이 설정한 2절, 6계열의 분류체계가 더 타당하다고 생각된다. Chinensis계열은 금붓꽃계열과 각시붓꽃계열로 구분되어진다. Tripetalae계열에 속하는 부채붓꽃은 Sibiricae계열(시베리아붓꽃, 붓꽃)과 매우 가까운 유연관계를 형성하고 있으며, Ensatae계열에 속하는 타래붓꽃은 Ruthenicae계열에 속하는 솔붓꽃, 난장이붓꽃과 가까운 유연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RAPD 분석자료를 기초로 한 한국산 붓꽃속의 계통학적 연구는 형태학적, ITS 염기서열 결과와 비슷한 결과를 제시하였고, 많은 학자들에 의해 논란이 된 분류군들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유용한 접근방법이라 생각되며, 전체 붓꽃속 수준에서의 계통분석에 유용한 도구로 이용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