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oT-related Companies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27초

코로나-19 이후 IoT 관련 기업의 회계정보와 주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ccounting Information and Stock Price of IoT-related Companies after COVID-19)

  • 이상호;조광문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1-10
    • /
    • 2022
  • 본 연구는 IoT 관련 산업이 재무건전성을 확보하고, 코로나-19 종식 이후에 세계시장을 선점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IoT 관련 기업의 계량적 경영실태를 점검하였다. 또한, 주가변동과 관리종목 지정에 따른 재무비율의 관련성을 규명함으로써 기업의 부실에 선제적으로 대비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2019년부터 2020년까지 유가증권 시장에서 코스피와 코스닥에 상장되어 있는 502개의 기업으로 선정하였다. 통계분석 방법은 다중회귀분석, 차이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19 이전과 이후에 따라 IoT 기업의 회계정보가 주가에 반영되는 영향력은 다르게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코로나 이전과 이후에 따른 IoT 기업의 기말주가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코로나-19 이후에 주가변동에 따른 재무비율은 다르게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코로나-19 이후에 관리종목 지정에 따른 재무비율은 다르게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하여 IoT 기업의 재무건전성을 확보하고, 코로나-19 종식 이후에 세계시장으로 도약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IoT 기업의 성장을 유도하고, 변화하는 금융시장에서 재무건전성을 담보할 수 있는 미래시대의 데카콘 기업으로 성장하는데 기여하길 기대한다.

IoT-based Digital Life Care Industry Trends

  • Kim, Young-Hak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8권3호
    • /
    • pp.87-94
    • /
    • 2019
  • IoT-based services are being released in accordance with the aging population and the demand for well-being pursuit needs. In addition to medical device companies, companies with ideas ranging from global ICT companies to startup companies are accelerating their market entry. The areas where these services are most commonly applied are health/medical, life/safety, city/energy, automotive and transportation. Furthermore, by expanding IoT technology convergence into the area of life care services, it contributes greatly to the development of service models in the public sector. It also provides an important opportunity for IoT-related companies to open up new markets. By addressing the problems of life care services that are still insufficient. We are providing opportunities to pursue the common interests of both users and workers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order to establish IoT-based digital life care servic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convergence technologies using cloud computing systems, big data analytics, medical information, and smart healthcare infrastructure.

사물인터넷 서비스의 사용자 가치 요인 (User Value Factors of Internet of Things(IoT) Service)

  • 박주현;류한영
    • 한국HCI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23-30
    • /
    • 2016
  • 사물인터넷 시장은 미래의 핵심성장 동력으로 폭발적인 성장을 하고 있다. 이에 세계의 주요 기업들은 사물인터넷 시장 선점과 자사 중심의 생태계 조성을 위해서 사물인터넷 서비스를 경쟁적으로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사물인터넷 서비스가 정착되고 기업의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들이 진정으로 원하고 체감할 수 있으며 새로운 경험을 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공적인 사물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 가치 요인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사물인터넷의 개념과 의미를 파악하고 사물인터넷과 관련한 문헌들을 고찰하여 사물인터넷의 트렌드 매트릭스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사물인터넷 관련 문헌에서 잠재적 서비스 가치 항목을 정리하고, 표적집단면접을 실시하여 문헌에 나타나지 않은 사용자의 실제적 욕구와 기대 항목을 추가하여 사용자 가치 요인을 도출하기 위한 문항을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렇게 준비된 문항을 활용하여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사물인터넷 서비스의 사용자 가치 요인으로 관리성, 관계성, 친숙성, 확장성, 단순성, 오락성, 안전성, 경제성, 보상성, 자동화, 신속성, 정보성, 환경성의 13가지 요인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사물인터넷 서비스를 이해하는데 기반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들이 원하는 사물인터넷 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한 기준이나 평가 항목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oT 기능을 보유한 냉동·냉장 제품의 신뢰성 확보를 위한 시험항목 프레임워크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Test Item Framework for the Reliability of Frozen and Refrigerated Products with IoT Function)

  • 조경록;이정재;이은서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10권6호
    • /
    • pp.211-222
    • /
    • 2021
  • 최근에 시판 되고 있는 냉동·냉장 가전제품은 사물인터넷(IoT) 기능이 추가된 제품이 출시되고 있으나, IoT 기능에 대한 시험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특히 기존의 시험체제에서는 IoT 기반의 냉동·냉장 가전제품에 대해 IoT 시험항목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제품을 제조하는 업체의 경우에는 결함이 발생하더라도 원인을 쉽게 찾기가 어려우며, 시험기관의 경우에도 IoT와 관련한 시험항목 선정 및 방법의 부재로 올바른 성능시험 수행에 제약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가전기기 분야의 제품 중 IoT 기능이 포함된 냉동·냉장 제품의 성능시험 프로세스에서 제품 결함을 찾아내고 그 원인을 식별할 수 있는 시험항목 프레임워크를 설계하고, 이를 이용한 시험방법 및 관리방안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연구를 통해 제조사 및 시험기관은 IoT 기반의 냉동·냉장 제품의 올바른 성능시험이 가능하여, 제품의 완성도를 높이고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딥 러닝 기반 스마트 IoT 홈 데이터 분석 및 기기 제어 알고리즘 (Smart IoT Home Data Analysis and Device Control Algorithm Using Deep Learning)

  • 이상형;이해연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7권4호
    • /
    • pp.103-110
    • /
    • 2018
  • Internet of Things(IoT) 기술이 발전하면서 다양한 IoT 기기들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서비스가 늘어나고 있다. 또한, IoT 센서가 다양해지고 가격이 낮아지고 있어서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 및 활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스마트 IoT 홈 시스템은 IoT 기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하는 대표적인 활용 사례이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IoT 홈 시스템의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여 연관 기기의 제어를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스마트 IoT 홈 시스템의 센서에서 수집한 내부 환경 측정 데이터, 기기 제어 엑츄에이터에서 수집한 데이터 및 사용자의 판단 데이터를 학습하여 현재 홈 내부 상태를 분석하고 기기 제어 방법을 결정한다. 특히 기존 기술들과 다르게 최신 딥 러닝 기반의 심층 신경망을 도입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여 홈 내부 상태를 판단하고 최적의 홈 내부 환경 유지를 위한 정보를 제공한다. 실험에서는 실제 장기간 측정한 데이터와 추론 결과를 비교하여 제안한 방법의 판별 성능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Home IoT 가전의 보안위협모델링을 통한 보안요구사항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curity Requirments Analysis through Security Threat Modeling of Home IoT Appliance)

  • 윤석진;김정덕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13-124
    • /
    • 2019
  • 최근 많은 기업은 IoT가 적용된 제품들을 개발하여 판매하고 있으며, 외부의 위협으로부터 제품 및 사용자 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기획 단계서부터 보안을 고려하고 있다. 그러나 IoT의 다양성으로 인해 제품별 보안요구사항 개발을 하기 위해 투자되는 시간과 인력의 한계가 있어 현재 낮은 수준의 보안이 적용되어 있다. IoT가 적용된 제품에서 취약점이 지속적으로 발표되고 있고, 이에 실제 Home IoT에 대한 보다 상세한 보안요구사항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Microsoft사의 Threat Modeling Tool을 사용하여 Home IoT의 위협을 도출하였으며, 도출된 위협과 국내 외 취약점 평가 기준 및 논문 등과 비교 분석하여 실제 보안성 점검에 사용할 수 있는 항목을 개발하여 Home IoT 제품의 보안성 강화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도출된 보안요구사항과 기존의 보안요구사항을 바탕으로 점검을 실시하여 효과성 검토를 하였으며, 그 결과 본 논문에서 도출된 보안요구사항의 취약점 발견 효과성이 대체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물인터넷 기반의 시스템을 위한 보안 취약성 및 고려사항 분석 (Analyses of Security Consideration and Vulnerability based on Internet of Things)

  • 장창환;조성호;이진협;김정태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91-494
    • /
    • 2017
  •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이란 개념이 도입된 이래로 많은 ICT 관련 강대국들이 IoT 기술을 지원하고 있으며, 2014년 5월 정보통신전략위원회에서는 '사물 인터넷 기본계획'을 확정, 발표하였다 [1]. 또한 올해 2월 24일에 KISA(한국인터넷진흥원)에서는 IoT, ICT 관련기업을 지원하는 창업 벤처 지원'K-Global 프로젝트'를 공고하는 등 IoT 분야에 관한 사업이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사물인터넷의 다양한 서비스에 반하여 사물 간 또는 사람과 사물 간 유 무선 네트워크로 상호 연결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보안 적인 위협 요소가 발생하기 시작한다 [2].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사물인터넷의 보안 위협이 어떤 것이 있는지, 또한 그에 따른 보안 고려사항을 분석하였다.

  • PDF

IoT기반 헬스케어 사용자 경험가치가 사용량과 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 -중국내 샤오미 미밴드 사용자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the IoT based healthcare user's experience value on the usage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Focused on Xiaomi Mi band user in china-)

  • 상맹;신용호;이철우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689-706
    • /
    • 2016
  • Purpose: This study identifies causality in IoT-based healthcare user's experience(playful experience, economical experience), trust, usage, degree of dependence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especially focused on chinese case. Methods: Face to face interviews was conducted for people who has experience in the use of the Xiaomi Mi band. This study used Partial Least Square(PLS) method with the questionnaires from the interview. Results: IoT-based healthcare users taking playful experience have a strong trust in a positive economic experiences. Also, the user recognizing the experience as an economic one shows stronger intention to use continuously. Conclusion: By getting healthcare users have more economic experience, they have continuous use intention of healthcare product. The empirical findings can be applied to the related companies strategy building.

사물인터넷(IoT) 기술특성이 SCM 기대성과 및 도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국 물류공급망 및 유통업체를 대상으로 (The Influence of IoT Technological Characteristics on Expected Achievement and Adoption Intention of SCM: On the Perspectives of Chinese Physical Supply Chain and Distribution Industry)

  • 상맹;신용호;이철우;문준호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9권3호
    • /
    • pp.1-21
    • /
    • 2017
  • IoT 기술 도입특성들 중 어떠한 요인들이 기업의 기대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며, 아울러 IoT 신기술 도입을 검토하고자 하는 기업들이 고려해야 할 사전 요인들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데이타 분석을 위해 국내․외 IoT(사물인터넷) 관련 데이타, 출판물 및 웹사이트 그리고 각종 연구기관 분석데이타와 보고자료를 기반으로 이론적 배경을 정리하였으며, 추가로 선행연구를 참조하여 UTAUT 관련 이론적 배경을 요약하였다. 데이터 분석을 위해 SPSS 22.0과 구조방정식모델 분석을 위해서 smart PLS 2.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기술통계분석은 신뢰성분석, 타당성분석 및 구조방정식 모델 분석과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측정모형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내적신뢰성과 집중타당성 및 판별타당성이 충족됨을 확인하였으며, IoT 기술특성과 기대성과 간 관계, 기대성과와 도입의도 간 관계에 대한 가설 검증결과 모두 채택되었다. 따라서 IoT 기술특성은 기대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기대성과는 IoT 도입의도에 긍정적 효과를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IoT 기술특성과 기대성과요인이 도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인과관계를 규명함으로써 IoT를 성공적으로 도입할 수 있는 지침을 제시함고 동시에 IoT를 도입하고자 기업들에게 사전 고려해야 할 요인들(공급사슬 유연성, 운영비용 절감, 자산활용 최적화 및 신규수익 창출)을 제시할 수 있는 연구기반을 조성하였다.

IoT 환경에서의 CoAP을 이용한 ARP Spoofing 공격 시나리오 및 대응방안 (ARP Spoofing attack scenarios and countermeasures using CoAP in IoT environment)

  • 서초롱;이근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39-44
    • /
    • 2016
  • 최근 IT시대인 만큼 IT기술의 눈부신 발전으로 인해 사물 대 사물, 사물 대 사람, 사람 대 사람 간의 정보 전달 기술이 활발해지고 있다. 정보 전달 기술이 활발해 지고 있는 만큼 IoT는 우리 일상생활에 밀접하게 다가와 언제 어디에서나 흔하게 볼 수 있을 만큼 우리 일상생활의 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IoT 환경에서는 주로 웹기반 프로토콜인 CoAP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CoAP 프로토콜은 전송 속도가 낮고 손실이 큰 네트워크에서 주로 사용되기 때문에 IoT 환경에서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IoT는 보안적으로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만약, IoT 환경에서 보안에 노출 될 경우 개인정보 또는 기업의 기밀 정보 등이 유출 될 가능성이 있다. 공격자가 IoT 환경에서 대상 디바이스를 감염 시킨 후 감염된 디바이스가 공공장소에서 흔히 사용되는 무선인터넷에 접속 했을 시 장악된 디바이스는 내부망에 있는 디바이스들에게 arp spoofing을 보낸다. 그 후 내부망 패킷의 흐름을 장악한 후에 내부망에 있는 디바이스들이 보내는 패킷을 감염된 디바이스가 받아 지정된 해커의 서버에 보낸다. 본 논문에서는 이에 관한 공격 방법과 대응방안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