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rusion Detection System

검색결과 750건 처리시간 0.029초

퍼지와 인공 신경망을 이용한 침입탐지시스템의 탐지 성능 비교 연구 (Comparison of Detection Performance of Intrusion Detection System Using Fuzzy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

  • 양은목;이학재;서창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6호
    • /
    • pp.391-398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퍼지 컨트롤 언어를 이용한 공격 특징 선택기반 네트워크 침입탐지 시스템"[1]과 "RNN을 이용한 공격 분류를 위한 지능형 침입탐지 시스템 모델"[2]의 성능을 비교 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KDD CUP 99 데이터 셋[3]을 이용하여 두 기법의 침입 탐지 성능을 비교하였다. KDD CUP 99 데이터 셋에는 훈련을 위한 데이터 셋과 훈련을 통해 기존의 침입을 탐지 할 수 있는 테스트 데이터 셋이 있다. 또한 훈련 데이터 및 테스트 데이터에 존재 하지 않는 침입의 유형을 탐지할 수 있는가를 테스트 할 수 있는 데이터도 존재한다. 훈련 및 테스트 데이터에서 좋은 침입탐지 성능을 보이는 두 개의 논문을 비교하였다. 비교한 결과 존재하는 침입을 탐지 하는 성능은 우수하지만 기존에 존재하지 않는 침입을 탐지 하는 성능은 부족한 부분이 있다. 공격 유형 중 DoS, Probe, R2L는 퍼지를 이용하는 것이 탐지율이 높았고, U2L은 RNN을 이용하는 것이 탐지율이 높았다.

역전파 알고리즘 기반의 침입 패턴 분석 (An Analysis of Intrusion Pattern Based on Backpropagation Algorithm)

  • 우종우;김상영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5권5호
    • /
    • pp.93-103
    • /
    • 2004
  • 침입 탐지시스템 (Intrusion Detection System: IDS)은 기존의 수동적인 탐지 기능에서 벗어나, 보다 다양한 형태와 방법론으로 연구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대용량의 시스템 감사 데이터를 빠르게 처리하고 변형된 형태의 공격에 대비한 수 있는 내구력을 가진 형태의 방법론들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데이터마이닝이나 신경망을 이용한 침입 탐지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 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최근의 다양한 형태의 침입경향들을 분석하고, 보다 효과적인 침입탐지를 위한 방안으로 신경망 기반의 역전파 알고리즘을 이용한 침입 탐지 시스템을 설계$.$구현 하였다. 본 연구의 시스템은 비정상행위 탐지(Anomoly Defection)와 오용탐지 (Misuse Detection)의 두 가지 방법론을 모두 수용하는 방법론을 사용하였으며, 신뢰성있는 KDD Cup ‘99의 데이터를 통한 침입패턴의 분석 및 실험을 수행 하였다. 또한 객체지향적인 네트워크 설계를 통하여 역전파 알고리즘 이외의 다른 알고리즘도 쉽게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 PDF

퍼지적분을 이용한 침입탐지시스템 평가방법 (An Evaluation Method on Intrusion Detection System using Fuzzy Integrals)

  • 김미혜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113-121
    • /
    • 2004
  • 인터넷이 급속하게 발전함에 따라 침입탐지의 유형도 매우 다양해지고 복잡해졌다. 이로 인해 발생하는 피해를 막기 위해 많은 침입탐지시스템이 개발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침입탐지시스템 평가기준에 대해 퍼지적분을 이용한 평가방법을 제시하였다.

침입 탐지 시스템을 위한 효율적인 룰 보호 기법 (A Scheme for Protecting Security Rules in Intrusion Detection System)

  • 손재민;김현성;부기동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8-16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네트워크 기반의 침입탐지 시스템인 Snort에 존재하는 취약성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현재 룰 기반의 침입탐지 시스템인 Snort에서는 룰 자체를 보호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지 못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해쉬함수를 이용하여 룰 자체에 대한 보호를 제공할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한다. 이러한 기법을 통하여 룰 자체에 대한 무결성과 기밀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혼합형 침입 탐지 시스템에서 데이터 및 정책 전달 통신 모델과 성능 평가 (Communication Models and Performance Evaluation for the Delivery of Data and Policy in a Hybrid-Type Intrusion Detection System)

  • 장정숙;전용희;장종수;손승원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0C권6호
    • /
    • pp.727-738
    • /
    • 2003
  • 침입 탐지 시스템에 대하여 많은 연구 노력들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침입 탐지 시스템의 모델과 성능 평가에 대한 작업은 거의 찾아 볼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지역적인 침입 탐지를 위한 에이전트들과 전역적인 침입 탐지를 위한 집중 데이터 분석 컴포넌트를 가지고 있는 다중 도메인 환경에서 혼합 침입 탐지를 위한 통신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또한 전체적인 프레임워크에서 호스트 기반과 네트워크 기반 침입 탐지 시스템의 결합을 가정한다. 지역 도메인에서 경보와 로그 데이터 같은 정보 집합은 상위 레벨로 보고 된다. 계위의 루트에는 데이터 합동을 수행하는 전역 매니저가 있다. 전역 매니저는 침입 탐지 경보의 집합과 상호관련의 결과로 보안 정책을 하위 레벨로 전달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혼합 침입 탐지 시스템을 위한 통심 메커니즘을 모델링하고 데이터 및 정책 전달을 위한 전송 능력의 성능 평가를 위하여 OPNET 모델러를 이용한 시뮬레이터를 개발한다. 여러 가지 시나리오에 기반하여 통신 지연에 초점을 두고 모의실험 결과를 제시하고 비교한다.

침입탐지시스템에서 하이브리드 특징 선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ybrid Feature Selection in Intrusion Detection System)

  • 한명묵
    • 한국지능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퍼지및지능시스템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대회 학술발표 논문집 제16권 제1호
    • /
    • pp.279-282
    • /
    • 2006
  •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컴퓨터 시스템이 현대 사회에 있어서 더욱 더 불가결한 역할을 하는 것에 따라, 네트워크 기반 컴퓨터 시스템은 침입자의 침입 목표가 되고 있다. 이를 보호하기 위한 침입탐지시스템(Intrusion Detection System : IDS)은 점차 중요한 기술이 되었다. 침입탐지시스템에서 패턴들을 분석한 후 정상/비정상을 판단 및 예측하기 위해서는 초기단계인 특징추출이나 선택이 매우 중요한 부분이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IDS에서 중요한 부분인 feature selection을 Data Mining 기법인 Genetic Algorithm(GA)과 Decision Tree(DT)를 적용해서 구현했다.

  • PDF

SVM을 이용한 침입방지시스템 오경보 최소화 기법 (False Alarm Minimization Technology using SVM in Intrusion Prevention System)

  • 김길한;이형우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119-132
    • /
    • 2006
  • 지금까지 잘 알려진 네트워크 기반 보안 기법들은 공격에 수동적이고 우회한 공격이 가능하다는 취약점을 가지고 있어 인라인(in_line) 모드의 공격에 능동적 대응이 가능한 오용탐지 기반의 침입방지시스템의 출현이 불가피하다. 하지만 오용탐지 기반의 침입방지시스템은 탐지 규칙에 비례하여 과도한 오경보(False Alarm)를 발생시켜 정상적인 네트워크 흐름을 방해하는 잘못된 대응으로 이어질 수 있어 기존 침입탐지시스템보다 더 위험한 문제점을 갖고 있으며, 새로운 변형 공격에 대한 탐지가 미흡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오용탐지 기반의 침입방지시스템과 Anomaly System 중의 하나인 서포트 벡터 머신(Support Vector Machines; 이하 SVM)을 이용한 침입방지시스템 기술을 제안한다. 침입 방지시스템의 탐지 패턴을 SVM을 이용하여 진성경보만을 처리하는 기법으로 실험결과 기존 침입방지시스템과 비교하여, 약 20% 개선된 성능결과를 보였으며, 제안한 침입방지시스템 기법을 통하여 오탐지를 최소화하고 새로운 변종 공격에 대해서도 효과적으로 탐지 가능함을 보였다.

  • PDF

넷필터 프레임워크를 이용한 침입 탐지 및 차단 시스템 개발 (A Development of Intrusion Detection and Protection System using Netfilter Framework)

  • 백승엽;이건호;이극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5권3호
    • /
    • pp.33-41
    • /
    • 2005
  • 네트워크 및 인터넷시장의 발전과 더불어 침해사고도 급증하고 있으며 그 방법도 다양해지고 있다. 이를 방어하기 위해 여러 가지 보안시스템이 개발되어 왔으나 관리자가 수동적으로 침입을 차단하는 형식을 띄고있다. 본 논문에서는 침입탐지 시스템의 패킷 분석능력과 공격에 대한 실시간 대응성을 높이기 위하여 리눅스 OS에서 방화벽기능을 담당하는 넷필터를 이용해 침입탐지 및 차단시스템을 설계하였다.

  • PDF

패턴분류와 해싱기법을 이용한 침입탐지 시스템 (Intrusion Detection System using Pattern Classification with Hashing Technique)

  • 윤은준;김현성;부기동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75-82
    • /
    • 2003
  • 인터넷의 대중화로 인한 네트워크의 급속한 팽창으로 보안관리가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특히, 이상패킷을 이용한 공격들은 비정상적인 패킷들을 통하여 침입탐지 시스템이나 침입차단 시스템을 우회하여 공격하기 때문에 탐지해 내기가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이상패킷을 이용한 공격들을 실시간에 효율적으로 탐지할 수 있는 네트워크 기반의 침입탐지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침입탐지 시스템을 설계하기 위하여 먼저 침입 탐지를 위한 패턴을 분류하고 이를 기반으로 해싱기법이 적용된 룰트리를 생성한다. 생성된 룰트리를 기반으로 제안한 시스템은 이상패킷 공격을 효율적으로 실시간에 탐지한다.

  • PDF

연관규칙 에이전트를 적용한 침입 탐지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f Intrusion Detection System applying for association rule agent)

  • 박찬호;정종근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6권5호
    • /
    • pp.684-688
    • /
    • 2002
  • 침입 탐지 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중의 하나는 긍정적 결함(False Positive)이다. 이러한 결함은 침입 탐지 시스템의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긍정적 결함의 발생원인은 감사데이터 학습단계에서 충분한 학습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발생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연관규칙을 탑재한 에이전트에 감사데이터를 학습시키는 방법으로 침입 탐지 시스템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