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검색결과 200건 처리시간 0.031초

국내외 인터넷 개인방송 규제현황 및 규제 방향성 제언 (Direction of Laws and Policies for the Regulation of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 임한솔;정창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248-264
    • /
    • 2020
  • 본 연구는 국내 인터넷 개인방송의 사회적/법적 현황을 분석하고, 해외 규제 법률과 인터넷 방송의 매체적 특성을 근거로 개인방송 규제의 방향을 제안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인터넷 개인방송의 영향력이 더욱 커지고 있으며, 음란물, 가짜뉴스 등 사회적/법적 문제점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인터넷 개인방송에 관한 법적 규제가 부재한 상황에서, 학계 역시 개괄적인 분석 수준에서 관련 법제 및 정책을 논의하고 있다. 또한,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에 대응하고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인터넷 방송콘텐츠와 플랫폼에 대응하기 위해 새로운 법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연구결과 표현의 자유를 중요한 가치로 삼고, 미성년자 대상 음란물은 철저히 규제하되, 관련 기관/사업자 간의 협의회 구성을 통한 자율규제 가이드라인으로 최소한의 범위에서 인터넷 개인방송 규제를 주장한다. 본 연구는 인터넷 개인방송 콘텐츠의 질적 향상과 공정하고 다양한 콘텐츠 개발을 위한 새로운 방송정책 구축, 개인방송 콘텐츠의 효율적/공정한 규제를 위해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법률을 제안했다는 점에 큰 의의가 있다.

중국 인터넷 엔터테인먼트 개인방송 콘텐츠 수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Acceptance of China Internet Entertainment Personal Broadcasting Contents)

  • 이서상;이상준;이경락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907-916
    • /
    • 2018
  • 본 연구는 중국 인터넷 엔터테인먼트 개인방송 콘텐츠 수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이다. 시청자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이론적으로 검토한 후, 이들 요인과 시청자 만족이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설문을 수거하여 분석한 연구결과, 첫째, 정보 시스템 품질은 인터넷 개인방송의 시청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간접경험, 오락추구, 사회적 관계는 인터넷 개인방송의 시청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터넷 개인방송의 시청만족이 재이용의도에 상당히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결과는 인터넷 개인방송을 운영하는 회사의 마케팅 전략 수립과 진행자가 갖춰야할 요건의 준비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Kano모델 기반의 인터넷 개인방송 서비스 만족도 영향요인 고찰 (Exploring the Factors Affecting Viewer Satisfaction on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Based on the Kano Model)

  • 문윤지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8권1호
    • /
    • pp.95-110
    • /
    • 2021
  •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quality factors that influence viewer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based on the motivation-hygiene theory. Specifically, the quality factors that affect viewer satisfaction of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are derived from the perspectives of extrinsic (contents usefulness and media usability), intrinsic (emotional/cognitive/behavioral enjoyment and creator characteristics), and social motivation (visibility, subjective norm, image, sociality). The data of 200 respondents was used to analyze the relative impact of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with the Kano model, which assumes that viewer satisfaction at both functional and emotional levels varies over quality attributes. In the empirical analysis, the quality factors were classified into attractive, one-dimensional, must-be, and indifferent quality.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customer satisfaction coefficient was high in the order of uniqueness, differentiation, and visibility. 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applying the dissatisfaction coefficient, it was identified in the order of donation, content reliability, and creator responsiveness.

인터넷 개인 방송 진행자들의 일탈 방송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시청자의 사회적 압력 관점에서 (Factors Affecting Deviation Broadcasting Intentions of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Jocke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ocial Pressure of Viewers)

  • 채성욱;송혜지
    • 지식경영연구
    • /
    • 제23권2호
    • /
    • pp.169-192
    • /
    • 2022
  • 인터넷 개인 방송의 확산에 따라 개인 방송 진행자(BJ, Broadcasting Jockey)와 시청자 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들 간 즉각적인 의사소통도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다. 본 연구는 인터넷 개인 방송에서 사회적 문제를 야기하고 있는 일부 BJ들의 자극적인 방송에 주목하고 BJ의 일탈 행위를 억제하는 기제가 효과적으로 작동되는지 그리고 BJ와 상호작용을 하는 시청자들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억제 이론의 공식적 및 비공식적 제재가 BJ의 정책 준수 태도를 통해 일탈 방송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BJ의 정책 준수 태도와 일탈 방송 의도와의 관계에 대한 사회적 압력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아프리카 TV의 BJ를 대상으로 설문하여 총 234개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공식적 제재 뿐만 아니라 비공식적 제재 또한 BJ들의 정책 준수 태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BJ가 인터넷 개인 방송을 시청하는 시청자로부터 인식하는 사회적 압력은 정책 준수 태도가 일탈 방송 의도를 줄이는 효과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인터넷 개인 방송의 수익 분석 (Benefit Analysis of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 정근웅;박성택;김종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3호
    • /
    • pp.319-33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최근 증가하고 있는 인터넷 개인 방송 진행자의 불안정한 수익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수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대부분의 인터넷 개인 방송의 성격을 종합적으로 갖추고 있는 게임 방송의 시청자로, 매일 1시간 이상 시청하며 지속해서 후원을 하고 있는 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인터넷 개인 방송의 수익구조를 조사하기 위해 소셜TV에서의 사회적 현존감과 한국의 리얼리티 예능 프로그램에서 시청자와 출연자가 갖는 상호작용, 그리고 인터넷 방송의 선행연구에서 시청 동기 요인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였고, 미디어의 시청 만족도를 매개변수로 하여 종속변수인 후원을 위한 사이버 캐시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중 시청자의 정보 추구 동기와 시청자와 방송 진행자 간의 의사사회 상호작용이 인터넷 개인 방송의 시청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시청 만족도는 구매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수사학적 관점에서의 인터넷 개인방송 크리에이터에 대한 이용자의 기부의사에 관한 연구 (User's Willingness to Donate to a Personal Broadcasting Creator From a Rhetorical View)

  • 문윤지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8권3호
    • /
    • pp.83-104
    • /
    • 2019
  • Purpose Recently,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has been widely spreaded as a new media type by replacing traditional legacy media such as TV. Considering this phenomenon,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ffect of Aristoteles' persuasion factors on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from a rhetorical view. The reason why users watch the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is that they are persuaded by creator's expertness, empathy, or content usefulness. These factors can be regarded as persuasion factors. Therefore, with Aristoteles' rhetorical persuasion factors composed of ethos, pathos, and logos, this paper tries to investigate how persuasion factors affect user's emotional\ attachment and voluntary donation intention. Design/methodology/approach This paper proposes a model of the relationships among three rhetorical factors, user's emotional attachment, and donation intention. Specifically, ethos is regarded as creator's expertness and trustworthiness, and pathos refers to creator's empathy and social interaction. Last, logos refers to content usefulness and credibility. For testing a hypothetical research model, this study collected 468 surveys and empirically tested hypotheses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Findings This study investigated how rhetorical factors (ethos, pathos, and logos) and emotional attachment further influence user's donation intent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rhetorical factors of ethos and pathos enhances emotional attachment, followed by donation intention. Contrary to an expectation, however, logos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emotional attachment. Creators of Internet personal media and MCN providers should focus on the different effects of rhetorical factors and pay attention to the role of emotional attachment to encourage user donation.

웹 환경에서의 개인정보 검색기법 (A Retrieval Technique of Personal Information in a Web Environment)

  • 서영덕;장재영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145-151
    • /
    • 2015
  • 최근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웹 환경에 노출된 개인정보를 효율적으로 검색할 수 있는 시스템의 필요성이 증대되었다. 현재 웹 환경에 노출된 개인정보는 자신이 알고 있는 단편적인 단서를 이용한 검색을 통해 노출여부를 판단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검색결과의 우선순위가 개인정보의 노출도와 관계가 없어 효율적이지 못하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 입력을 근거로 웹 환경에 노출된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효율적으로 검색하고 삭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를 제안한다. 또한 기존 검색 방법과의 비교를 통하여 검색성능의 향상 정도를 평가한다.

인터넷에 올라와 있는 개인정보의 자기결정권과 통제권에 관한 연구 (Study on Decision-making and Control of Personal Data Posted on the Internet)

  • 윤경배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227-232
    • /
    • 2014
  • 인터넷 기술이 발전되고, 보편화 되면서 상업과 자본의 대형화가 이루어져 대형 포털 사이트들이 등장하고 성장하게 되면서 인터넷상에서 시간이 흘러도 삭제되지 않는 개인정보 때문에 심각한 사생활 침해문제 등 새로운 위험요소가 제기되고 있다. 특히 마녀사냥 같은 개인의 신상 털기는 피해 당사자가 정상적인 생활이 불가능할 정도의 중대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국내외 사례분석을 통하여 개인이 온라인 사이트에 올라와 있는 자신과 관련된 정보 삭제를 요구할 수 있는 권리의 필요성과 국내 도입방안 및 적용에 관한 개선방안을 제안한다.

유명 연예인 인터넷 개인 방송 시청에 대한 이용과 충족 연구: 중국 시청자의 시청동기와 시청만족도를 중심으로 (A Study on Uses and Gratifications to the Viewing of Famous Celebrities'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Focused on Chinese Viewers' Motivation and Satisfaction)

  • 하평평;서상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4호
    • /
    • pp.53-58
    • /
    • 2020
  • 많은 스타들이 팬과의 소통을 위해 인터넷 개인 방송을 통해 실시간으로 토크를 진행하는 등 다양한 내용을 방송하고 있다. 인터넷 방송을 통해 팬과의 소통 효과를 기대하는 스타 및 엔터테인먼트 매니지먼트 기업에게는 인터넷 개인 방송에 참여하는 시청자의 시청동기와 시청만족도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이용과 충족 접근을 바탕으로 유명 연예인 인터넷 개인 방송에 대한 중국 시청자의 시청동기와 시청만족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유명 연예인 인터넷 개인 방송에 대한 중국시청자의 시청 동기로 '감정적 동기'와 '기능적 동기'가 발견되었다. 그리고 시청자의 '감정적 시청동기'가 커질수록 시청만족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볼 때 유명 연예인 인터넷 개인방송 시청자의 연령 및 직업과 같은 수용자 특성을 반영하여 프로그램을 세분화하는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수용자를 세분화하여 맞춤형으로 연예인 인터넷 개인방송의 프로그램을 기획 제작하는 것이 시청자수를 확대하고 의도한 방송효과를 실현시킬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로컬 스왑 기법을 적용한 오버레이 멀티캐스트 기반의 개인방송 시스템 (Overlay Multicasting with Local Swap Option in a Personal Broadcasting System)

  • 강미영;이형옥;남지승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8호
    • /
    • pp.1-8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하드웨어적인 인프라 구축 없이도 시스템의 자원과 네트워크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오버레이 기반 멀티캐스트 트리를 이용하여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개인 인터넷 방송 서비스를 고품질로 제공할 수 있는 로컬 스왑 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기법의 효율성을 검증하기 위해 다양한 오버레이 기반 멀티캐스트 알고리즘 조건 하에서 제안한 기법을 적용하여 QoS(Quality of Service)를 보장하는 개인 인터넷 방송 서비스 정보를 추출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제안한 로컬 스왑 기법의 효율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오버레이 기반 멀티캐스트 알고리즘을 시뮬레이션에 적용하여 여러가지 방법으로 비교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