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national Technical Cooperation

검색결과 163건 처리시간 0.035초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사물인터넷 산업 발전전략에 관한 연구: 기업측면의 비즈니스 모델혁신 방향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trategy of IoT Industry Development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Focusing on the direction of business model innovation)

  • 정민의;유성진
    • 지능정보연구
    • /
    • 제25권2호
    • /
    • pp.57-75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 중 가장 활발하게 산업화가 진행되고 있는 사물인터넷 산업을 대상으로 비즈모델 혁신방향 중심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글로벌 트렌드 분석을 위해 PEST분석을 활용하여 정책적, 경제적, 사회적, 기술적 이슈를 도출하였고, Gartner, International Data Corporation 등 ICT관련 조사 분석기관의 사물인터넷산업에 대한 미래전망을 제시하였는데, 사물인터넷은 인프라 및 플랫폼을 기반으로 산업인터넷(IIoT), 소물인터넷(IoST) 등으로 네트워크 기술경쟁이 이슈가 될 것으로 전망하였다.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해 급변하는 산업계에 대응하기 위해 기존의 비즈니스 모델 혁신을 위한 다양한 경영학적 방법론들을 검토하였고, '적용성', '민첩성', '다양성', '연계성' 4가지 기준을 가지고 전문가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Business Model Canvas 모델이 비즈니스 모델 혁신 방법론으로 가장 적합하다는 AHP 분석결과를 도출하였다. Business Model Canvas는 비즈니스 모델 혁신을 위한 방법론으로 비교적 최근에 제시된 경영전략이며, 9개의 블록 접근 방식을 통해 비즈니스모델의 가치를 식별하며, 비즈니스의 4대 핵심 영역인 고객, 주문, 인프라, 사업타당성 분석 등을 포괄한다. 결론적으로 ICT융합산업 분야에서 어떠한 Business Model Canvas 모델을 방향으로 적용할지에 대한 고찰을 기술하였다.

해외지식재산권 침해 현황과 그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Infringement status of overseas intellectual property right and required strategy)

  • 윤병섭;한정희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5-43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해외지식재산권 침해 현황을 분석하고 그 대응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1990{\sim}2005$년 동안 출원된 특허를 대상으로 2005년까지 발생한 권리분쟁은 모두 3,508회 발생하였으며, 이 중 무효심판(전부 무효 포함)이 1,903회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극적 권리범위 확인 심판은 1,001회 발생하여 발생된 분쟁의 28.5%를 차지하고 있으며, 특허권자가 권리를 침해받은 경우에 제기하는 적극적 권리범위 확인심판은 366회 발생하였다. 일본은 권리분쟁이 모두 275회 발생하여 다른 국가의 특허권자에 비해 분쟁횟수가 가장 높고, 그 중 무효심판이 107회로 38.9% 정정심판이 두 번째로 많은 83회 발생하여 30.2%를 차지하고 있다. 미국은 일본에 이어 두 번째로 분쟁횟수가 많으며, 무효심판이 66회로 무려 64.7%에 달하며, 정정심판은 21회 발생하여, 20.6%를 차지하고 있다. 해외지식재산권 침해 대응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부의 대응방향이다. 해외지식재산권보호센터 기능의 강화, 특허권 침해물품의 국경조치 강화, 국제특허분쟁연구회 활동 강화, 국제특허분쟁 전문가의 양성, 특허소송 관할법원의 집중과 심판제도의 마련, 사회적 자본으로서 신뢰 구축 등을 수행하여야 한다. 둘째, 기업의 대응방향이다. 지식재산중시 경영(No Patent No Future), 출원 및 분쟁대응의 전문화, 특허풀(Patent Pool) 형성 및 표준화에 적극 참여, 기술이전 및 라이센스 계약 관리의 전문화 등을 기하여야 한다.

  • PDF

The Role of Innovative Activities in Training Students Using Computer Technologies

  • Minenok, Antonina;Donets, Ihor;Telychko, Tetiana;Hud, Hanna;Smoliak, Pavlo;Kurchatova, Angelika;Kuchai, Tetian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8호
    • /
    • pp.105-112
    • /
    • 2022
  • Innovation is considered as an implemented innovation in education - in the content, methods, techniques and forms of educational ac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methods, technologies), in the content and forms of organizing the management of the educational system, as well as in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of educational institutions, in the means of training and education and in approaches to social services in education, distance and multimedia learning, which significantly increases the quality,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the educational process. The classification of currently known pedagogical technologies that are most often used in practice is shown. The basis of the innovative activity of a modern teacher is the formation of an innovative program-methodical complex in the discipline. Along with programmatic and content provision of disciplines, the use of informational tools and their didactic properties comes first. It combines technical capabilities - computer and video technology with live communication between the lecturer and the audience. In pedagogical innovation, the principles reflecting specific laws and regularities of the implementation of innovative processes are singled out. All principles are elements of a complex system of organization and management of innovative activities in the field of education and training. They closely interact with each other, which enhances the effect of each of them due to the synergistic effect. To improve innovative activities in the training of students, today computer technologies are widely used in pedagogy as a science, as well as directly in the practice of the pedagogical process. They have gained the most popularity in such activities as distance learning, online learning, assistance in the education management system, development of programs and virtual textbooks in various subjects, searching for information on the network for the educational process, computer testing of students' knowledge, creation of electronic libraries, formation of a unified scientific electronic environment, publication of virtual magazines and newspapers on pedagogical topics, teleconferences, expansion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the field of Internet education. The article considers computer technologies as the main building material for the entire society. In the modern world, there is a need to prepare a person for life in a multimedia environment. This process should be started as early as possible, because the child's contact with the media is present almost from the moment of his birth.

국내 임업분야 공적개발원조(ODA)사업과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와의 연관성 분석 (Analysis of Linkage between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of Forestry Sector and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in South Korea)

  • 김나희;문주연;송철호;허성봉;손요환;이우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7권1호
    • /
    • pp.96-107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산림부문의 공적개발원조(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사업과 국제연합(United Nations; UN)의 지속가능발전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고, SDGs 달성 측면에서 ODA사업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우선 한국수출입은행 대외경제협력기금(Economic Development Cooperation Fund; EDCF) 통계조회시스템에서 국내 임업분야 ODA사업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산림부문 ODA사업은 임업 개발 분야와 임업 정책 및 행정관리 분야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두 분야에서도 산림청과 한국국제협력단(Korea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KOICA)에서 가장 많은 사업을 시행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선정된 국내 임업분야 ODA사업의 각 사업별 목표와 내용을 바탕으로 기존 산림부문 ODA사업 항목인 기술개발, 역량강화, 인프라 구축, 조림으로 항목을 분류하였다. 분류된 항목별 ODA 활동내용과 SDGs에서 강조하는 국가별 이행평가를 위해 국내에서 활용 가능한 산림부문 목표 및 성과지표를 포함하고 있는 2016년 산림청 성과관리 기본계획 성과지표와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분석된 2016년 산림청 성과관리 기본계획 성과지표와 이와 연관되는 SDGs 세부목표 및 지표를 파악하였으며, 최종적으로 SDGs 목표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 국내 임업분야 ODA사업은 SDGs 목표 1(빈곤퇴치), 목표 2(기아해소), 목표 6(물과 위생), 목표 13(기후변화 대응), 목표 15(육상생태계), 목표 17(파트너십)과 연관되었다. 본 연구는 SDGs가 출범함에 따라 국내 임업분야 ODA사업을 검토하고, 이를 2016년 산림청 성과관리 기본계획과 SDGs와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국내 산림부분 ODA사업의 한계점 파악과 SDGs 이행을 위한 제언을 했음에 그 의의가 있다.

시호의 화기구조 및 화기내 각 기관의 발육과정 (Structures and Development of Floral Organs in Bupleurum falcatum L.)

  • 장미란;김관수;정해곤;성낙술;이승택;곽태순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199-204
    • /
    • 1996
  • 시호의 화기구조 및 화기내 각 기관의 발달과정을 파악하여 육종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본 시험을 수행하였다. 소화의 전체크기는 2mm정도로 매우 작으며, 산경 및 소산경의 길이는 각각 22.5mm, 3.6mm이었다 또한 자예, 웅예의 길이는 각각 1.0mm, 1.3mm이었고, 자방표면은 길이 0.9mm, 폭 1.4mm정도를 나타내었다. 시호의 화기 발달과정 각 시기는 웅예출현기 $1{\sim}6$일, 화판탈락 및 자예출현기 $6{\sim}8$일, 자예성숙기 $8{\sim}16$일, 자예퇴화기 16일 이후로 구분할 수 있었다. 따라서 시호는 자웅이숙 중 웅예성숙으로 타화수정을 하는 식물로 인정되었다.

  • PDF

Root Yields and Saikosaponin Contents Depending on Planting Time and Cultivated Regions of Bupleurum falcatum L.

  • Kim, Choon-Shik;Seong, Jae-Duck;Park, Chung-Heon;Park, Chun-Gun;Cho, Yang-Hee;Kwak, Jun-Soo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298-302
    • /
    • 2005
  • In order to decide the optimum planting time for Bupleurum falcatum L. which is grown widely in Korea, som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in different regions such as mid-north area (Gangwon-do, Gyeonggi-do and Chungcheongnamdo), mid-south area (Jeollanam-do, Jeollabuk-do, Gyeongsangnam-do and Gyeongsangbuk-do). The mid-south area had the highest total saikosaponin contents of 1.001, which is the medicinal ingredients of Bupleurum falcatum L., in accordance with the different Bupleurum falcatum L. regions. Also this area has the highest extract contents of 24.3%. Average dry root yields in mid-north area (Gangwon-do) were $450{\sim}460$ kg/ha at planting time of March 20th to March 30th, 500 kg/ha at the time of March 30th to April 10th, and $470{\sim}480$ kg/ha at the time of March 10th to March 20th in Chungcheongnam-do. The optimum planting time in the mid-south area (Jeollabuk-do) was March 10th to March 30th with the average dry root yield of $490{\sim}550$ kg/ha. Average dry root yield in Euiseong, Gyeongsangbuk-do area was 470 kg/ha, and the optimum planting time was April 10th, which suggested that the yield increased as the planting time was delayed. At Jeju-do, the volcanic soil of farsouthern area, average dry root yield was 510 kg/ha at the time of March 10th, but the yield from non-volcanic soil was lower than from volcanic soil, which had a dry root yield of 470 kg/ha.

공공데이터 개방표준 데이터의 품질평가 (Quality Evaluation of the Open Standard Data)

  • 김학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9호
    • /
    • pp.439-447
    • /
    • 2020
  • 공공데이터는 공공기관이 전자적으로 생성 또는 취득하여 관리하고 있는 모든 정보와 전자화된 파일이다. 공공데이터는 인공지능, 스마트 시티 등 차세대 신산업을 견인하는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한국은 공공데이터 개방과 관련된 국제 평가에서 연속적으로 높은 순위에 위치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공데이터의 활용과 산업적 영향은 미흡하다. 공공데이터의 활용이 미흡한 이유는 다양할 수 있지만, 데이터 품질은 지속적으로 논의되는 주요 이슈이다. 본 논문은 공공데이터 품질 평가를 위한 지표를 검토하고, 개방된 공공데이터를 대상으로 정량적 품질 평가를 수행한다. 특히, 공공데이터 관리지침을 기준으로 구축 및 개방된 개방표준 데이터의 품질을 진단하여 정부의 가이드라인이 적합한지 검토한다. 데이터 품질평가는 개방표준 데이터의 메타데이터와 데이터값을 포함하고, 완전성과 정확성 지표를 기준으로 검토한다. 데이터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품질 개선을 위한 정책적·기술적 방안을 제안한다.

물쑥의 유용화(有用化)를 위(爲)한 수집종(蒐集種)쑥과의 함분비교(咸分比較) 연구(硏究) (Component Comparision of Artemisia selengensis and Artemisia sp. for Artemisia selengensis Utilization)

  • 여태홍;이주걸;이가순;심재성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74-179
    • /
    • 1994
  • 물쑥을 유용화하기위해 물쑥의 화학성분을 수집 종쑥과 분석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일반성분중 수분, 조회분 및 조섬유의 함량은 물쑥이 수집종쑥보다 높았다. 2. 비타민함량에 있어서는 thimain, riboflavin 및 ascorbic acid의 함량은 물쑥이 수집종쑥보다 약간 낮았고 niacin함량은 약간 높았다. 3. 식이섬유소함량은 물쑥이 40.91%, 수집종쑥이 38.42%이었으며 물쑥이 수집종쑥보다 hemicellusose, cellulose의 함량이 높았고 lignin함량은 낮았다. 4. 무기질함량중 K함량이 물쑥 5206.7mg%, 일반 쑥 4166.7mg%로 가장 높았고 Na, Fe 및 Mn의 함량은 물쑥이 수집종쑥보다 2배이상 높았으며 Cu함량만 물쑥이 수집종쑥보다 낮았다. 5. Phenolic compound 의 함량은 수집종쑥보다 물쑥이 약간 높았다.

  • PDF

Effects of Restricted Oxygen, Nitric oxide, and Mercuric Chloride on the Seed Germination and Early Elongation Growth of Rice

  • Yang Woon-Ho;Kim Je-Kyu;Smucker Alvin J.M.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287-294
    • /
    • 2006
  • Germination and early elongation of rice after germination were investigated in anoxic air treatment, nitric oxide gas treatment, and six concentrations of mercuric chloride solution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limited oxygen environment, nitric oxide, and inhibited water flux through cell membrane in $17^{\circ}C$. Anoxic air treatment affected germination of tested six varieties very little. However root elongation rates were severely inhibited while shoot growth was affected less. Reductions in shoot and root elongations demonstrated genotypic variations. Nitric oxide delayed the germination of rice even though it didn't affect the final percent germination. Elongations of root and shoot were inhibited in nitric oxide treatment. The inhibitor effect of nitric oxide on the shoot elongation of rice was less severe, while nitric oxide completely inhibited the root emergence of rice. Concentrations of $HgCl_2$ greater than $300{\mu}M$ dramatically reduced the rate and percentage of germination when compared to distilled water treatment. The reduced percent germination showed the greatest variation among rice varieties in $500{\mu}M$ solution of mercuric chloride. Ansanbyeo, Jinheung, and Odaebyeo were affected less by $HgCl_2$, Nonganbyeo and Sangmibyeo were intermediate, and the germination of Andabyeo was greatly reduced by $HgCl_2$. Root elongation of germinated rice seedlings was more sensitive to oxygen deficits, nitric oxide, and $HgCl_2$ treatments than germination and shoot elongation. In conclusion, poor seedling establishment of rice sown in flooded paddy soils, in which the oxygen supply to the seeds is restricted, appears to the result of limited root elongation rate.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책임 있는 디지털 기술의 활용 방안 (Responsible usage of digital technologies to manage SARS-CoV-2 pandemic)

  • 김홍준;엄정호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99-108
    • /
    • 2020
  •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SARS-CoV-2)로 인한 팬데믹이 확산되는 추세로 단기간 내 종식을 기대하기 힘든 상황이다. 디지털 기술의 활용은 코로나19 억제에 대해 가시적인 성과를 보여주고 있지만, 개인정보호호 측면에서는 논란이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코로나19 팬데믹에 대한 우리나라 및 각국의 대응 현황을 살펴보고, 디지털 도구를 활용하되 개인정보를 보호하는 방향에 대해 제언한다. 팬데믹 억제를 위해서는 데이터 수집 및 처리가 필수적이지만 개인정보보호를 고려하여 꼭 필요한 수준과 범위로 제한해야 하고, 국제적 규모의 협력과 한시적이고 투명한 개인정보 이용, 이를 위한 법적·제도적 기반 확립이 필요하다. 오늘날 이 같은 데이터와 알고리즘 활용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이므로, 이와 더불어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기술·제도적 보완 노력이 계속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