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nal Antenna

검색결과 189건 처리시간 0.029초

듀얼밴드 휴대폰 응용을 위한 Chip 안테나 설계 및 제작 (Design of Fabrication of a Chip Antenna for DualB and Mobile Phone Application)

  • 고영혁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7호
    • /
    • pp.1541-1547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GSM/DSC 단말기용 듀얼대역 내장형 안테나를 제안하였다. 안테나는 $38mm{\times}90mm{\times}1mm$의 이동 단말기 PCB 크기와 $30mm{\times}8mm{\times}3.2mm$의 폴더형 패치 크기를 갖는다. 이 안테나 특성은 듀얼대역 설계로 2개의 동작 주파수 909MHz, 1762MHz의 동조가 용이하다. 동작주파수 909MHz, 1762MHz에 대하여 측정된 방사패턴 E면과 H면은 비교 분석되었다. GSM/DSC 단말기용으로 설계 제작한 듀얼대역 내장형 안테나는 모든 대역에서 0dBi에서 2.0dBi사이의 이득을 갖는다. 또한, 휴대폰 케이스를 고려한 인체머리에 미치는 전기력선의 분포와 지향성을 분석하였다. 분석된 모델은 실제 휴대폰과 같은 크기의 그라운드판을 부착시켜 인체의 머리를 고려한 안테나를 구성했다.

휴대 단말기용 내장형 FM 라디오 안테나의 설계 (Design of Internal FM Radio Antenna for Mobile Terminal)

  • 한승목;민경식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493-500
    • /
    • 2008
  • 이 논문은 휴대 단말기의 내장형 FM(Frequency Modulation) 라디오 안테나의 설계에 관하여 기술하고 있다. 설계 안테나의 동작 주파수에서의 임피던스를 조절하기 위해서 집중 정수 소자인 R과 L칩 소자를 사용하였다. 안테나 후면의 패치와 스터브는 설계 안테나의 정확한 공진 주파수치 조절과 소형화를 위해 추가하였다. 제작된 안테나의 크기, 측정된 반사 손실, 임피던스, 대역폭, 이득은 각각 $40{\times}70{\times}1$ mm, 99 MHz에서 -23 dB, $55-j7{\Omega}$, -10 dB 이하 22 MHz($88{\sim}110$ MHz), -15 dBi이고, 시뮬레이션 결과와 잘 일치하였다. 특히 제작된 안테나의 측정 이득은 설계 주파수 대역 내에서 기존의 이어폰 안테나의 이득과 유사한 값을 보였다. 측정된 방사 패턴도 계산된 무지향성 패턴과 잘 일치하였다.

Mobile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용 안테나 계 (Design of mobil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m-RFID) antenna)

  • 김용진;정창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3608-3613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휴대용 단말기 적용이 가능한 mobil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m-RFID) system 을 위한 안테나의 설계 방법을 제안했다. 전기계 안테나와 자기계 안테나의 결합을 통하여 안테나의 휴대 단말 장착시 m-RFID 적용 방향으로 안테나의 패턴이 지향성의 특징을 나타낸다. 전기계 안테나는 PIFA 구조의 안테나를 사용하였으며, 자기계 안테나는 loop 형 안테나를 구현하였다. 목표 주파수 대역은 900 MHz 대역이며, 목표 이득은 4dBi 이상으로 설계 되었다. Ansoft 사의 HFSS 를 사용하여 시뮬레이션하였으며, 목표치 이상의 결과를 보였다. 제작된 안테나는 FR4 epoxy 기판 (h=1 mm, $\varepsilon_{\tau}=4.4$) 을 사용하여 제작되었으며, 시뮬레이션과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선형 유도결합 플라즈마 시스템에서 자장에 의한 플라즈마의 Confinement 효과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Plasma Confinement by Applying Multi-Polar Magnetic Fields in an Internal Inductively Coupled Plasma System)

  • 임종혁;김경남;염근영
    • 한국표면공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42-146
    • /
    • 2006
  • A novel internal-type linear inductive antenna, which we refer to as a double comb-type antenna, was developed for a large-area plasma source with substrate size of $880\;mm{\times}660\;mm$ ($4^{th}$ generation glass size). In this study, effect of plasma confinement by applying multi-polar magnetic field was investigated. High density plasmas of the order of $3.18{\times}10^{11}\;cm^{-3}$ could be obtained with a pressure of 15 mTorr Ar at an inductive power of 5000 W with good plasma stability. This plasma density is higher than that obtained for the conventional double comb-type antenna, possibly due to the plasma confinement, low rf voltage, resulting in high power transfer efficiency. Also, due to the remarkable reduction in the antenna rf voltage and length, a plasma uniformity of less than 3% could be obtained within a substrate area of $880\;mm{\times}660\;mm$ as rf power increased.

반파장 로디드 라인 구조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용 다중 대역 내장형 안테나 설계 (Design of a Multi-band Internal Antenna Using Half Wavelength Loaded Line Structure for Mobile Handset Applications)

  • 신후광;정우재;정병운;박면주;이병제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1179-1185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3중 대역 이상의 이동 통신 단말기를 위해 주파수 튜닝이 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내장형 안테나를 제안하였다. 설계된 안테나의 동작 주파수 대역은 GSM(880${\~}$960 MHz)/GPS(1,575 $\pm$ 10 MHz)/DCS(1,710${\~}$1,880 MHz)/US-PCS(1,850${\~}$l,990 MHz)/W-CDMA(1,920${\~}$2,170 M/Hz) 대역을 포함한다. 제안된 안테나는 반파장 로디드 라인 구조와 모노폴 구조를 결합한 형태를 띄고 있으며 하나의 단락점과 급전점을 공유한다. 그리고 단락점과 접지면 사이의 집중형 인덕턴스 소자의 값을 조절함으로써 GSM과 GPS대역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각각 DCS, US-PCS, W-CDMA대역을 만족시킬 수 있다. 사용된 인덕터 소자의 값은 주파수 튜닝에 따른 이득 저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최대 3.3 nH로 한정하였으며 이에 따른 안테나의 최대 이득은 GSM대역에서 -0.58${\~}$-0.30 dBi, GPS 대역에서 -0.57${\~}$0.43 dBi, DCS/US-PCS/W-CDMA 대역에서 0.38${\~}$l.15 dBi로 측정되었다. 시뮬레이션과 측정을 통해 제안된 안테나가 높은 주파수 대역에서 약 0.77 dB의 이득 변화 폭 내에서 약 240 MHz의 공진 주파수를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