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modulation Distortion

검색결과 123건 처리시간 0.032초

이동 통신 기지국 안테나의 수동 상호 변조 왜곡에 진동이 미치는 영향 분석 및 개선 방안 (Effects of Vibration on Passive Intermodulation Distortion in Mobile Base Station Antennas)

  • 박진성;정순영;이용식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1394-1401
    • /
    • 2008
  • 본 논문은 800 MHz 대역의 CDMA 이동 통신 기지국의 안테나에서 보편적으로 발생되고 있는 수동 상호 변조 왜곡 특성에 대하여 조명해 보고 진동이 수동 상호 변조 왜곡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그에 대한 개선 방안을 연구하였다. 이동 통신 기지국은 대부분 건물 옥상이나 철탑 등 고지대에 위치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비, 바람 등 자연 환경적인 요인이나 차량 등 생활 환경적인 요인에 의해 미세한 흔들림 곧, 진동이라는 영향을 수없이 받고 있다. 이에 착안하여 이동 통신 안테나가 진동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을 실험을 통해 입증해 냄으로써 실제 이동 통신 운용 필드에서 진동이라는 요인에 의해 안테나의 수동 상호 변조 왜곡 특성이 쉽게 열화된다는 것을 증명해 보였다. 또한, 진동에 잘 견딜 수 있는 안테나 구조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고, 구조 개선 전후 안테나의 수동 상호 변조 왜곡 특성을 실험적으로 비교함으로써 그 열화 정도를 35 dB 이상 향상시킬 수 있었다.

RF 커넥터의 Passive IMD에 관한 연구 (A Study of Passive Intermodulation Distortion on RF Connectors)

  • 조인귀;이재화;안승호;최상국;정명영;최태구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268-277
    • /
    • 2000
  • 이동통선 서비스가 확장됨에 따라 인접 기지국간의 간섭이 증가하고 그에 따른 IMD(Intermodulation Distortion) 문제도 증가하여 Active IMD뿐만 아니라 Passive IMD(Passive Intermodulation Distortion)에 대한 문 제도 함께 부상하고 었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대표적인 RF 소자 중 동축선에서의 PIMD의 발생기구의 분석을 위하여 다양한 도금 두께와 도금 재질을 갖는 어랩터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제작된 어댐터 측정결과 1M 발생 수준이 도금 재질의 전도율, 소자의 구조, 도금 재질의 두께. Aging현상 등에 의존함을 확인하였으며, 도금 두께의 변화와 재질의 변화를 통해 PIMD 발생기구를 분석하였고, PIMD의 제어기술 방안을 검토하였다.

  • PDF

Laser diode 의 구조가 광출력의 비선형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해석 (Influence of laser diode structure on harmonic and intermodulation distortion characteristics)

  • 김동욱
    • 한국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광학회 1999년도 제16회 광학 및 양자전자 학술발표회Proceedings of 16th Optics and Quantum Electronics Conference, 1999
    • /
    • pp.222-223
    • /
    • 1999
  • The structural dependence of harmonic and intermodulation distortion characteristics in 1.55${\mu}{\textrm}{m}$ DFB-LCD were investigated. The linearity of 1.55${\mu}{\textrm}{m}$ DFB-LD was greatly improved by employing a partially corrugated structure.

  • PDF

수신 대력 잡음과 혼변조 왜곡 신호 제거 루프를 갖는 Feedforward 대전력 증폭기 설계 (A Feedforward High Power Amplifier with Loops that can Reduce RX Band Noise as well as Intermodulation Distortion Signals)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308-315
    • /
    • 2001
  • 본 논문에서, Feedforward 기법을 이용하여 송신 혼변조 왜곡 신호뿐만 아니라 수신 대역 잡음도 감소시킬 수 있는 새로운 전력 증폭기를 제안했다. 대전력 증폭기는 IMT-2000 기지국 송신 주파수 대역에서 구현되었다. 송신 대역 혼변조 왜곡 신호와 수신대역 잡음 신호는 가변 감쇠기와 위상 천이기, 에러 증폭기의 제어에 의해 감소되어진다. 두 개의 루프, 즉 혼변조 왜곡 신호와 수신대역 잡음 신호제거 루프를 포함하고 있는 제안된 전력 증폭기를 사용하면 송신 대역 통과 여파기의 수신 대역 감쇠 특성을 엄격히 하지 않아도 되어 다양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낮은 송신경로 삽입 손실을 가진 듀플렉서를 제공할 수 있다. 전력 증폭기의 2-tone 실험은 5MHz 주파수 간격을 가진 2.14GHz에서 하였고, 수긴 대역 제거 실험은 중심 주파수가 1.95GHz인 60MHz 수신 전체 대역에서 하였다. 실험 결고, 혼변조 왜곡 제거 성능과 수신 잡음 제거 성능이 각각 31 dB와 21dB이상이었다.

  • PDF

지능형 누설왜곡전파신호 측정시스템 개발 (Implementation of Intelligent Measurement System of InterModulation Distorted RF Signals)

  • 김동현;서나현;박기원;이영철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7권2호
    • /
    • pp.144-149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650MHz에서 2,700MHz의 주파수 대역에서 우수한 동적영역과 선형성 특성을 나타내는 RF-수신기를 설계하고, 왜곡신호(누설 또는 혼변조)를 측정할 수 있는 지능형, 광대역 RF-왜곡신호 계측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광대역 특성의 RF-수신모듈은 저 잡음특성과 동적영역 관계를 분석하여 RF수신단의 선형화 파라미터를 최적화시켰다. 지능형 디지털-왜곡(혼변조) 측정시스템에서는 측정하려는 왜곡(혼변조)신호를 PC상의 GUI 로 처리하여 원하는 계측파라미터를 PC 모니터에 나타내었다. 설계된 계측장치를 650MHz-2700MHz 까지 가변시켜 왜곡신호를 측정한 결과, -127.8dBc에서 -138dBc까지 나타내어 지능형 디지털 계측기로 이용될 수 있음을 보였다.

다단 마이크로파 2-포트 회로망의 상호변조 왜곡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Intermodulation Distortion for Multistage Microwave Two-port Networks)

  • Eui Joon Park
    • 전자공학회논문지A
    • /
    • 제31A권5호
    • /
    • pp.50-57
    • /
    • 1994
  • The analysis of the two-tone intermodulation distortion of multistage two-ports with gain and mismatching losses is presented with simplified two-port analyses and statistical viewpoint. The uncertainty obtained from unknown phase angles of the intermodulation distortion signals to the system designer is reduced using stochastic process, hence improving the accuracy of the solution. Based on the dc power dependance of third-order intercept point of each stage, the new efficient method for improving the total intercept point is also suggested with only the relation of dc power and available power gain criteria. Experimental verification on specific amplifiers used for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comparing predicted and measured intercept points for various power conditions is presented.

  • PDF

A Study on Linearization of Intermodulation Distortion for WCDMA

  • Jeon, Joong-Sung;Kim, Dong-il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49-154
    • /
    • 2004
  • A linear power amplifier is particularly emphasized on the system using a linear modulations, such as 16QAM and QPSK with pulse shaping, because intermodulation distortion which causes adjacent channel interference and co-channel interference is mostly generated in a nonlinear power amplifier. In this paper, parameters of a linearization loop, such as an amplitude imbalance, a phase imbalance and a delay mismatch, are briefly analyzed to get a specific cancellation performance and linearization bandwidth Experimental results are presented for IMT-2000 frequency band The center frequency of the feedforward amplifier is 2140MHz with 60MHz bandwidth When the average output power of feedforward amplifier is 20 Watt, the intermodulation cancellation performance is more than 28dB. In this case, the output power of feedforward amplifier reduced 3.5dB because of extra delay line loss and coupling loss. The feedforward amplifier efficiency is more than 7% for multicarrier signals.

고 전력 RF-Filter의 수동혼변조 저감방안에 대한 연구 (Study on Passive Intermodulation Reduction for High Power RF-Filter)

  • 박종철;이강훈;이영철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3권4호
    • /
    • pp.282-288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고출력 RF 필터의 도금상태에 따른 수동혼변조왜곡(PIMD)을 측정하였으며 RF-filter의 PIMD를 저감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PIMD의 표준측정방안에 따라 Wibro 중계기용 고출력 RF-필터의 PIMD 특성를 측정하였다. Wibro용 고 전력-RF 필터의 설계에서 통과대역의 에지(edge)에서 삽입손실 및 지연 특성의 평탄도가 저하될 경우, PIMD의 발생되므로 본 연구에서는 고 전력 필터의 PIM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필터의 내부 도금 재료의 종류와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Memory Effect를 줄이기 위한 바이어스 회로의 설계 (Design of a Bias Circuit for Reducing Memory Effects)

  • 강상기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115-119
    • /
    • 2017
  • 상호변조왜곡은 원신호의 S/N도 악화시키고 인접채널에도 간섭 영향을 미친다. 상호변조왜곡은 전력증폭기의 비선형 특성에 의해서 주로 발생된다. 비선형 특성을 갖는 전력증폭기가 메모리 효과를 갖는다면 전력증폭기에서 발생되는 상호변조왜곡은 다양하고 복잡한 형태로 발생된다. 상호변조왜곡을 개선하는 방법으로 전치왜곡기가 주로 사용된다. 전치왜곡기의 성능을 충분하게 활용하기 위해서는 전력증폭기가 갖는 메모리 효과를 줄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전력증폭기에서 발생하는 메모리 효과를 줄이기 위한 바이어스 회로의 설계 방법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메모리 효과를 줄이기 위해서 바이어스 회로는 신호에 대해서는 높은 임피던스를 가져야 하며, 포락선(변조신호)에 대해서는 낮은 임피던스를 가져야 한다. 더불어 신호의 2차 고조파에 대해서도 낮은 임피던스를 가져야 한다. 메모리 효과를 고려해서 설계한 바이어스 회로의 성능을 확인해 보기 위해서 170 ~ 220MHz에서 동작하는 전력증폭기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전력증폭기에 적용한 바이어스 회로는 동작주파수 대역에서 큰 임피던스를 가지며, 포락선 신호와 신호의 2차 고조파에서는 낮은 임피던스를 갖는다. 성능 측정결과 비대칭적으로 발생되는 상호변조왜곡 성분이 3.7dB 개선됨을 알 수 있었다.

전력 증폭기의 왜곡해석 및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igh power amplifier Distortion analysis and Improving)

  • 하성재;홍의석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2권10A호
    • /
    • pp.1072-1077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전력증폭기의 선형성을 개선하기위해서 전력증폭기에서 발생되는 왜곡을 해석하여 전력 증폭기의 선형성 개선 개념을 제시하고 검증하였다. 연구에서는 전력증폭기를 구동 증폭기와 종단 증폭기로 구분하여 종단 증폭기에서 발생되는 비선형 왜곡 성분을 구동증폭기의 왜곡성분으로 상쇄시키는 개념이 제시된다. 본 논문에서 전력증폭기의 AM to AM은 Power Series로 해석하였으며, AM to PM 왜곡은 Bessel 함수를 이용하여 해석하였다. 본 개념을 검증하기 위하여 셀룰라 대역의 30W 전력 증폭기를 구현하여 검증하였다. 설계 및 제작된 전력 증폭기는 z대역에서 30W@20FA 출력할 경우 스퓨리어스 특성이 51dBc @ 1FA,$20FA{\pm}1.98MHz$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10dE의 스퓨리어스 특성 개선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