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generational

검색결과 212건 처리시간 0.024초

X, M, Z 보육교사의 세대 및 직무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Generational and Job Perception of X, M, Z Generation Childcare Center Teacher)

  • 김지연;이윤선;배선영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9-42
    • /
    • 2024
  • Objective: This study examines the generational characteristics and job perception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rom Generations X, M, and Z. Methods: Seventeen teachers were selected based on their career and the types of childcare centers they worked in. Focus group interviews explored their job perceptions, teaching methods, career intentions, and strategies to attract future teachers. Results: The results revealed both positive and negative generational perceptions, with Generation X and M noted for diverse job experiences and Generation Z for digital skills. Individual differences were also observed. All generations reported low job satisfaction due to societal perceptions and environmental changes. Many teachers plan to change jobs. The study suggests utilizing generational strengths for peer support to enhance professional development. Conclusion/Implications: Furthermore, improvements in societal perception and treatment of childcare jobs are needed to attract future teachers. The findings suggest implications for enhanced intergenerational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in the childcare field.

중학교 지리 교과서에 재현된 개발 담론 분석 (Development Discourse and Its Representation in Middle School Geography Textbooks)

  • 조철기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54-472
    • /
    • 2014
  • 이 연구는 개발 담론의 변화에 대한 고찰을 통해 우리나라 중학교 지리교육과정 및 지리교과서에 재현된 개발 담론의 특징을 분석한 것이다. 개발 담론은 근대화이론, 종속이론, 신자유주의, 풀뿌리 개발, 지속가능한 개발, 탈식민주의 탈구조주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에 근거하여 지리교과서에 재현된 개발담론을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발 및 지속가능한 개발에 대한 개념 정립과 조작적 정의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발의 척도는 주로 1인당 국내총생산 또는 1인당 국민총소득과 같은 평균적인 경제적 척도에 의존하고 있었다. 교육수준과 평균수명을 포함한 인간개발지수는 일부 교과서에서만 언급되고, 젠더 지수는 전혀 언급하고 있지 않았다. 셋째, 특정 교과서는 개발도상국 대신에 편견적인 저개발국, 최저개발국이라는 용어를 여전히 사용하고 있었다. 넷째, 경제적 불평등 및 지리적 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에서는 국제적, 국가적, 비정부조직의 차원에 대한 강조에 비해 개인적 측면에 대한 고려가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지속가능한 개발 있어서 세대 간 공정만 언급할 뿐 세대 내 공정은 간과하고 있다. 그리고 지속가능한 개발에 대한 접근은 주로 생태중심적 접근보다는 기술중심적 접근에 토대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통해 볼 때, 지리교과서 서술에 있어서 개발 담론에 대한 더욱 더 신중한 접근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 PDF

노부모와 별거 성인자녀와의 가족유대: 정서적 지원에 대한 교환이론적 접근 (Family Ties between Aging Parents and Adult Children Living in Separate Households: Social Support from a Social Exchange Perspective)

  • 정기원
    • 한국인구학
    • /
    • 제24권1호
    • /
    • pp.123-148
    • /
    • 2001
  • 이 연구의 목적은 노부모에 대해 따로 살고 있는 성인자녀가 제공하는 정서적 지원의 크기가 어떤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세대간 가족관계에 있어서의 교환이론적 접근을 분석틀로 하고, \`1998년도 전국 노인 생활실태 및 복지욕구 조사\` 의 자료를 바탕으로 노부모에 대한 별거 성인자녀의 정서적 지원과 이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여겨지는 요인들-노부모의 인구학적 특성, 상호교환에 있어서의 보상자원 소유여부, 그리고 피 부양욕구-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다단계 군집 표집법을 통해 추출된 전국의 9,355가구에서 2.535명의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자료가 수집되었는데, 이들 중에서 별거 성인자녀가 있는 2.205명을 분석한 결과 잠재적 보상자원을 지니고 있는 노부모에 대한 별거 성인자녀의 정서적 지원이 잠재적 보상자원을 지니지 못한 노부모의 경우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다른 자녀와 함께 살고 있는 독신 노인에 대한 별거 성인자녀의 정서적 지원이 가장 낮았으며, 수단적 일상생활을 수행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정도가 심한 노인일수록 별거 성인자녀들로부터 낮은 수준의 정서적 지원은 받았다. 이러한 분석 결과의 일부는 세대간 가족관계가 교환이론을 바탕으로 설명될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보여주고 있으나, 분석에 포함된 변수들이 전체 노민들에게서 나타나고 있는 정서적 지원의 변량을 8.9퍼센트밖에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 PDF

기부 및 자원봉사와 신뢰의 관계에 관한 연구 : Simultaneous Equation Model을 이용한 분석 (An Exploration on Individual Giving and Volunteering : Focus on the Relationship with Trust)

  • 강철희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9권3호
    • /
    • pp.5-32
    • /
    • 2007
  • 본 연구는 사회복지영역의 발전에 기초가 되는 기부 및 자원봉사와 신뢰간의 관계에 관해서 2004년 아름다운재단 기부문화연구소에 의해서 구축된 전 국민 대상 기부 및 자원봉사 인터뷰 서베이 자료를 기초로 연립방정식 모형을 이용해서 분석하였다. 연립방정식 모형을 이용해서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들에서 검증된 바인 신뢰가 기부 및 자원봉사의 예측요인이라는 사실에 더해서, 그 반대적 관계 역시 실증적으로 검증될 수 있음을 밝힌다. 기존의 실증적 연구결과 및 Putnam(1993)의 논의에 기반해서 본 연구는 쌍방적 관계의 모형을 구성한 후, 기부 및 자원봉사와 신뢰간의 관계가 신뢰에서 기부 및 자원봉사로 이어지는 일방적인(unilateral) 것만이 아니라 그 반대적 관계도 존재하는 쌍방적인(bilateral) 것임을 밝힌다. 아울러서 본 연구는 자선행동의 사회화 효과 및 세대간 전승 효과 등을 파악하기 위해 어린시절의 기부 및 자원봉사 교육의 영향력 그리고 부모의 기부실천 및 자원봉사실천의 영향력 역시 분석한다. 분석 결과, 부모의 기부실천 및 자원봉사실천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함을 밝힌다. 본 연구는 기부 및 자원봉사와 신뢰의 관계는 선순환적 관계를 갖고 있음을 보여주면서 기부 및 자원봉사의 촉진을 위해서 신뢰의 우선적 구축도 중요할 수 있으나 동시에 기부 및 자원봉사활동에 참여케 하는 것 역시 신뢰의 구축을 위해서 매우 효율적인 전략일 수 있음을 논의한다. 아울러서 자선행동의 사회화 및 세대간 전승 효과 그리고 후속연구의 방향 등에 관해서 논의한다.

  • PDF

일본 기혼여성들과 친정부모간의 세대관계: 동거여부 및 대화빈도를 중심으로 (Relations of Married Women and their Own Parents in Japan: Coresidence and Contact Frequency)

  • 김정석;조윤주
    • 한국인구학
    • /
    • 제35권2호
    • /
    • pp.55-72
    • /
    • 2012
  • 일본의 성인자녀와 노부모간 관계에 대한 연구에서 기혼여성과 이들의 친정부모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충분히 축적되지 못한 실정이다. 이 연구는 세대간 동거여부와 대화빈도를 통해 이러한 세대관계를 접근하고 있다. 일본 기혼여성과 친정부모간 세대관계는 기혼여성들의 배우자, 자녀, 형제자매, 시부모 그리고 친정부모의 상황에 따라 차별적이라는 예측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일본 2003년도 제2회 전국가족조사>를 이용해 친정부모와 시부모 양가의 일원이 모두 생존해 있는 30~40대 기혼여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친정부모와 동거할 확률(시부모와의 동거를 통제한 상태)은 부인의 형제자매수가 많을수록 낮게 나타났다. 특히 남자형제가 있는 경우 친정부모와의 동거확률은 두드러지게 낮았다. 이와 함께 친정부모 모두가 생존한 경우보다는 친정아버지만 생존한 경우에 해당 동거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친정부모와의 대화빈도(친정부모와의 동거여부를 통제한 상태)는 시부모와 동거하는 경우에 낮았으며, 형제자매수가 많을수록 낮았다. 한편, 해당 대화빈도는 친정부모 중 한 분만 생존한 경우에 높게 나타났다. 또한, 남편보다 부인의 학력이 높거나 친정부모에 대한 남편의 태도에 만족하는 경우에 친정부모와의 대화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형제자매수가 많으면 동거가능성도 낮아지지만 대화빈도도 낮아지는 결과는 형제자매간에 세대간 동거나 대화가 어느 정도 분담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홀로된 친정부모와의 동거가능성이 높고 대화빈도가 많은 점은 노부모에 대한 다양한 지원과 자녀로서의 마음쓰임을 보여준다. 친정부모와의 대화빈도가 시부모와의 동거여부 그리고 부부간 학력차이나 남편의 친정부모에 대한 태도 등에 따라 달라진다는 점은 기혼여성들이 시부모와 남편의 영향에서 자유롭지 못함을 시사한다. 이상의 결과들은 기혼여성들의 세대간 관계를 분석하는 작업에서 다양한 가족관계를 동시에 고찰하고 고민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 PDF

기업 내 세대 교류의 가능성: 국내외 리버스멘토링 (Reverse Mentoring)프로그램 도입 및 성공요소 사례연구 (Possibility of Intergenerational Exchange in Corporations: A Case Study of Reverse Mentoring on its Purpose and Success Factors)

  • 김주현;이아영;정순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0호
    • /
    • pp.457-475
    • /
    • 2021
  • 한국사회가 고령사회에 진입하며, 노동현장에서 다양한 세대가 공존하는 상황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업의 리버스 멘토링(reverse mentoring)을 세대 교류의 차원에서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문헌연구와 인터뷰를 이용한 사례분석을 통하여 국내외 기업의 리버스멘토링 도입목표를 유형화하고, 의도적 표집방법으로 추출된 미국의 A사와 국내의 B사의 사례를 중심으로 리버스 멘토링 프로그램의 성공적인 실행요소를 분석하였다. 분석틀로는 사회교환이론, 조직연령이론, 세대연대이론을 바탕으로 1) 상호이익성 2) 동등한 기여, 3) 지속가능성의 세가지 명제를 제시하였다. 사례분석결과, 리버스멘토링의 도입 목표는 크게 세 가지로 소셜미디어 교육, 기업의 다양성 증진, 젊은 세대의 트렌드 이해로 나타났다. 미국의 A사와 국내의 B사의 경우 상호이익성과 동등한 기여에서는 유사성이 나타났으며 지속가능성의 경우 미국의 A사와는 달리, 한국의 B사에서는 개선의 여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 앞으로 다양한 세대가 공존하는 노동 조직 내에서 리버스멘토링이 세대교류의 성공을 위한 중요한 함의를 제공할 것이라고 기대된다.

지각된 노인 낙인 척도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For Developing Perceived Elderly Stigma Scale)

  • 안순태;오현정;정순둘
    • 한국노년학
    • /
    • 제37권2호
    • /
    • pp.309-328
    • /
    • 2017
  • 본 연구는 지각된 노인 낙인 척도개발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노인 인구에 대한 타 세대의 부정적 고정관념과 낙인은 노인의 삶의 질 저하와 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에도 불구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척도는 아직 개발되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국내의 사회문화적 성격을 반영한 노인 낙인 척도개발을 위해 기존 문헌과 43명의 젊은 성인들로부터 추출한 항목들을 바탕으로 총 34개의 항목으로 이루어진 척도를 1차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전문가 자문과 내부 연구자 회의를 거쳐 총 31개의 항목으로 구성된 지각된 노인 낙인 척도를 잠정 개발하였다. 척도의 차원성, 신뢰도,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252명의 65세 미만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지각된 노인 낙인, 연령주의, 노인차별주의, 노인 태도, 노인 공경을 측정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28개의 항목으로 최종 구성된 지각된 노인 낙인 척도는 '기질', '능력', '외모', '권위주의적 의존', '자식집착'의 5개 차원으로 구분되었으며, 각 차원의 세부 항목들은 적절한 내적 합치도를 보였다. 지각된 노인 낙인 척도는 이론적으로 정적 관계에 있는 연령주의, 노인차별주의와는 정적 상관관계를, 개념적으로 반대에 있는 노인 태도와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한편, 노인 공경 인식과는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는 세대통합을 위한 노인 낙인 해소 연구와 실무의 기초가 되는 척도 개발을 통해 노인 낙인의 현주소를 확인하고 향후 효과적인 정책 변화와 홍보 전략 수립의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조부의 긍정적 양육행동이 부의 긍정적 양육행동을 통해 학령기 남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Grandfathers' Positive Parenting Behavior, and Fathers' Positive Parenting Behavior on School-age Boys' School Adjustment)

  • 손한결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25-141
    • /
    • 2017
  •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grandfathers' positive parenting behavior, and fathers' positive parenting behavior on school-age boys' school adjustment. Methods: A total of 217 5th and 6th grade male elementary school students (126 5th graders and 91 6th graders) and their fathers living in Seoul and Gyeongnam province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correlation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Grandfathers' positive parenting behavior indirectly influenced boys' school adjustment through their fathers' positive parenting behavior. It means that fathers who perceived their fathers' parenting behavior as more positive showed a higher level of positive parenting behavior, which led to a more positive school adjustment for their sons. Conclusion/Implications: These results uncovered the pathways from grandfathers' positive parenting behavior to school-age boys' school adjustment through their fathers' positive parenting behavior in an aspect of the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parenting. In addition, these findings hav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of developing intervention programs for school-age boys' school adjustment and parent education programs to facilitate fathers' positive parenting behavior for school-age children's school adjustment.

어머니가 간호사인 간호대학생의 전공 선택경험 (Students Whose Mothers Are Nurses' Experiences of Choice of Major in Nursing)

  • 김주현;김현주;박은영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94-204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choice experiences of students majoring in nursing and whose mothers were nurses.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2 students, six male and six female. Data were collected via an in-depth personal interview.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Colazzi's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Results: A core theme of 'Natural choice as my major' emerged. In addition, we found the following three theme clusters: 1. My choice; 2. Expanding relationship between Mother and I; 3. Journey with mother.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mothers of nursing students who were nurses themselves were good role models. They could influence their children to choose nursing as a profession. Also, they affected or are affecting their children to be colleagues in the same way. If we could provide good working environments for nurses, the next generation will also choose nursing as a profession and ultimately establish a family line. An educational setting is required to provide better professional nursing conditions for the next generation.

시소와그네 교육중재 프로그램이 저소득가정 유아의 적응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Seesaw & Swing Early Intervention Program on the Adaptive Behaviors of Young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 황혜정
    • 아동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185-202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Seesaw & Swing Early Intervention Program on the positive changes of young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The Seesaw & Swing program was developed by the Community Chest of Korea (Hwang et al., 2009). The subjects for this study consisted of 534 3~6-year olds (177 in the service group, 357 in the control group) from low-income families. The instrument used was the Vineland Adaptive Behavior Scales, second edition (Sparrow, Cicchetti, & Balla, 2005).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Seesaw & Swing intervention program produced positive effects in all of the domain areas under examination : namely, the communication abilities, life skills, socialization, physical development, and adaptive behaviors of young children. In conclusion, the Seesaw & Swing Early Interven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can be said to be an effective early intervention program which goes some way towards ending the intergenerational transition of poverty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