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4698/jkcce.2017.13.01.125

The Effects of Grandfathers' Positive Parenting Behavior, and Fathers' Positive Parenting Behavior on School-age Boys' School Adjustment  

Sohn, Han Gyeol (이화여자대학교 아동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v.13, no.1, 2017 , pp. 125-141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grandfathers' positive parenting behavior, and fathers' positive parenting behavior on school-age boys' school adjustment. Methods: A total of 217 5th and 6th grade male elementary school students (126 5th graders and 91 6th graders) and their fathers living in Seoul and Gyeongnam province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correlation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Grandfathers' positive parenting behavior indirectly influenced boys' school adjustment through their fathers' positive parenting behavior. It means that fathers who perceived their fathers' parenting behavior as more positive showed a higher level of positive parenting behavior, which led to a more positive school adjustment for their sons. Conclusion/Implications: These results uncovered the pathways from grandfathers' positive parenting behavior to school-age boys' school adjustment through their fathers' positive parenting behavior in an aspect of the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parenting. In addition, these findings hav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of developing intervention programs for school-age boys' school adjustment and parent education programs to facilitate fathers' positive parenting behavior for school-age children's school adjustment.
Keywords
grandfathers' positive parenting behavior; fathers' positive parenting behavior; school-age boys' school adjustment;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4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강란혜 (2000). 한국과 일본 아버지의 자녀양육 행동의 비교. 아동학회지, 20(2), 119-133.
2 권석만 (2008). 긍정 심리학: 행복의 과학적 탐구. 서울: 학지사.
3 기성진 (2012). 부모양육태도가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정책적 시사점 도출을 중심으로.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17(5), 127-136.   DOI
4 김계수 (2010). AMOS 18.0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서울: 한나래아카데미.
5 김기남 (2011).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사회성발달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미인, 장영애 (2007). 초등학교 아동이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행동 및 양육 참여도가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18(3), 379-390.
7 김혜경 (2010). 부모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자아존중감, 생활만족도 및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연구. 한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혜진 (2015). 외조모의 긍정적 양육행동과 어머니의 자기분화 및 긍정적 양육행동이 학령 후기 아동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나성은 (2014). 아버지의 양육 참여에 내재한 젠더 위계와 '신 도구적' 부성의 연구: 맞벌이 중간계층 아버지들을 중심으로. 한국가족학회, 26(1), 1-39.
10 남호연 (2008). 호주제의 부계혈통주의에 대한 비판으로서 사회생물학 담론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도금혜 (2008). 아버지 관련 변인이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학회지, 17(5), 861-872.
12 박수연, 도현심, 김민정, 송승민 (2014). 외조모의 긍정적 양육행동과 어머니의 정서조절능력 및 긍정적 양육행동이 학령 후기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5(2), 117-136.   DOI
13 박윤정 (2010). 초등학교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서선희 (2007). 부자관계에 관한 이론적 고찰. 한국가족복지학, 12(1), 105-125.
15 송요현, 현온강 (2006). 아버지의 역할수행과 아동 및 청소년의 사회성. 아동학회지, 27(5), 19-34.
16 연은경, 김영희 (2014). 아버지의 원가족 부모관계와 부부관계가 자녀와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회, 19(3), 509-527.
17 유은희, 임미옥 (2006). 부모의 정서표현성과 아동의 자기조절 능력과의 관계. 아동학회지, 27(6), 97-106.
18 이귀애, 김영희 (2016). 아버지의 원가족 부모와의 정서적 연결과 부부친밀감 및 역할수행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3(3), 93-119.
19 이선희 (2012). 학령기 자녀의 부모용 양육행동 척도 개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이애옥 (2008). 초등학교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및 사회적 지지와 학교생활 적응과의 관계 분석.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이정윤, 이경아 (2004). 초등학생의 학교적응과 관련된 개인 및 가족요인. 한국심리학회지, 16(2), 261-276.
22 이지원 (2010).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양육행동이 아동의 자기효능감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의 비교.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서한누리 (2013). 아버지와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학령기 남녀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이진민, 송승민, 도현심 (2011). 조부모 및 부모 양육행동의 세대간 전이.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9(3), 85-97.
25 장경문 (2011). 지각된 부모의 자율성 지지와 심리적 통제가 남녀 초등학생의 자존감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8(2), 243-261.
26 전은정 (2009). 아동의 공감능력 및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유능성과의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전주혜, 박정윤, 김양희, 장영은, 어성연 (2010). 부모의 원가족 경험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 28(2), 1-15.
28 최선 (2015). 긍정적 양육행동의 세대 간 전이와 민주적 양육신념에 관한 연구: 유아기 자녀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조수정 (2014). 학교 후기 아동용 학교적응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0 조정문, 장상희 (2011). 가족사회학. 서울: 아카넷.
31 한국교육개발원 (2013). 학생의 학교 부적응 진단과 대책(II)(연구보고 RR 2013-04).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32 Belsky, J. (1984).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A process model. Child Development, 55(1), 83-96.   DOI
33 Bouchard, G. (2012).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and transition to fatherhood: Mediated-moderation model of paternal engagement.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26(5), 747-755.   DOI
34 Bowen, M. (1978). Family treatment in clinical practice. NY: Jason Aronson Books.
35 Buckner, J. C., Mezzacappa, E., & Beardslee, W. R. (2009). Self-regulation and its relations to adaptive functioning in low income youths.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79(1), 19-30.   DOI
36 Chao, R. K. (1994). Beyond parental control and authoritarian parenting style: Understanding Chinese parenting through the cultural notion of training. Child Development, 65(4), 1111-1119.   DOI
37 Chen, Z., & Kaplan, H. B. (2001).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constructive parenting.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3(1), 17-31.   DOI
38 최경순 (1993).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와 아동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아동학회지, 14(2), 115-135.
39 Chen, X., & Li, D. (2000). Parental warmth, control, and indulgence and their relations to adjustment in Chinese children: A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14(3), 401-419.   DOI
40 Crowell, J. A., & Feldman, S. S. (1988). Mothers' internal models of relationships and children's behavioral and developmental status: A study of mother-child interaction. Child Development, 59(5), 1273-1285.   DOI
41 Culp, R. E., Schadle, S., Robinson, L., & Culp, A. M. (2000). Relationships among paternal involvement and young children's perceived self-competence and behavioral problems.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9(1), 27-38.   DOI
42 EBS 다큐프라임 <아버지의 성> 제작팀 (2012). 아버지의 성: 아빠가 된 남자를 탐구하다. 서울: 베가북스.
43 Flouri, E., & Buchanan, A. (2004). Early father's and mother's involvement and child's later educational outcomes.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4(2), 141-153.   DOI
44 Fothergill, K. E., Ensminger, M. E., Green, K. M., Crum, R. M., Robertson, J., & Juon, H. (2008). The impact of early school behavior and educational achievement on adult drug use disorders: A prospective study. Drug and Alcohol Dependence, 92(1-3), 191-199.   DOI
45 Grossman, K., Grossman, K. E., Fremmer-Bombik, E., Kindler, H., Scheuerer-Englisch, H., & Zimmermann, P. (2002). The uniqueness of the child-father attachment relationship: Father's sensitive and challenging play as a pivotal variable in a 16-year longitudinal study. Social Development, 11(3), 301-337.   DOI
46 Harter, S. (1982). The Perceived Competence Scale for Children. Child Development, 53(1), 87-97.   DOI
47 Hofferth, S. L., Pleck, J. H., & Vesely, C. K. (2012). The transmission of parenting from fathers to sons. Parenting: Science and Practice, 12(4), 282-305.   DOI
48 Kida, T. E. (2006). Don't believe everything you think: The 6 basic mistakes we make in thinking. NY: Prometheus Books.
49 Lamb, M. E. (1997). Fathers and child development: An introductory overview and guide. In M. E. Lamb (Ed.), The role of the father in child development (3th, pp. 1-18). NY: Wiley Press.
50 Kline, R. B. (1998).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NY: The Guilford Press.
51 Lamb, M. E., Pleck, J. H., Charnov, E. L., & Levine, J. A. (1985). Paternal behavior in humans. American Zoologist, 25(3), 883-394.   DOI
52 Marsiglio, W., Amato, P., Day, R. D., & Lamb, M. E. (2000). Scholarship on fatherhood in the 1990s and beyond.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62(4), 1173-1191.   DOI
53 Parke, R. D. (1996). Fatherhood: What determines fathers' involvement? MA: Harvard University Press.
54 Reitman, D., Rhode, P., Hupp, S. D. A., & Altobello, C. (2002).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parental authority questionnaire-revised. Journal of Psychopathology and Behavioral Assessment, 24(2), 119-127.   DOI
55 Roskam, I. (2013). The transmission of parenting behaviour within the family: An empirical study across three generations. Psychologica Belgica, 22(4), 49-64.
56 Russell, G., & Russell, A. (1987). Mother-child and father-child relationships in middle childhood. Child Developmental, 58(6), 1573-1585.   DOI
57 Schacter, D. L. (2002). The seven sins of memory: How the mind forgets and remembers. NY: Mariner Books.
58 Simons, R. L., Beaman, J., Conger, R. D., & Chao, W. (1993). Childhood experience, conceptions of parenting, and attitudes of spouse as determinants of parental behavior.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5(1), 91-106.   DOI
59 Tabachnick, B. G., & Fidell, L. S. (2001). Using multivariate statistics (4th ed.). MA: Allyn & Bacon Press.
60 Smith, C. A., & Farrington, D. P. (2004). Continuities in antisocial behavior and parenting across three generations.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and Allied Disciplines, 45(2), 230-247.   DOI
61 Thornberry, T. P., Freeman-Gallant, A., Lizotte, A. J., Krohn, M. D., & Smith, C. A. (2003). Linked lives: The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antisocial behaviour.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31(2), 171-184.   DOI
62 Topitzes, J., Godes, O., Mersky, J. P., Ceglarek, S., & Reynolds, A. J. (2009). Educational success and adult health: Findings from the Chicago longitudinal study. Prevention Science, 10(2), 175-195.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