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ntion to Reuse

검색결과 210건 처리시간 0.031초

보건소를 이용하는 고혈압·당뇨병 환자의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이용실태 및 인식 (Utilization and Awareness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CAM) in Rural Hypertension or Diabetes Patients)

  • 이명인;김윤이;서영미;이명하;정석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호
    • /
    • pp.457-466
    • /
    • 2014
  • 본 연구는 보건소 건강교실을 이용하는 고혈압 당뇨병 환자의 보완대체요법(CAM)에 대한 이용실태 및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대상은 보건소 건강교실을 이용하는 고혈압 당뇨병환자 177명을 면대면 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자료는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Independent t-test, Pearson correlation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56.5%가 CAM을 이용해 본 경험이 있었고, 의료인과 상의한 경험이 있는 사람은 전체의 16.0%에 불과하였다. CAM에 대한 일반적 인식점수는 $3.11{\pm}0.58$점으로 CAM 재이용의도 및 권유의도 및 관련교육 참여의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604, r=.516, r=.419, p<.001). 결론적으로, 만성질환자들의 CAM이용 현황 및 인식에 대하여 의료인들 및 보건당국이 관심을 가져야 할 필요가 있으며, 추후 만성질환자들의 올바른 CAM이용을 위한 효과적인 실행전략 및 정책 마련에 유용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다.

폐기물의 개념 및 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System of Wastes)

  • 홍동희
    • 환경정책연구
    • /
    • 제3권2호
    • /
    • pp.113-137
    • /
    • 2004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definitions and classification methods of wastes in international agreements and legislations, examine the concept of wastes and their classification systems in Korea, and finally analyze and compare the concept of wastes in different countries for finding better solutions and suggestions. The study summarizes the concept of wastes as introduced in the Basel Convention, OECD, EU, US, and UK. First, each of the member countries adapt to the same concepts of wastes as defined in their international agreements; second, the intention of the wastes holder and the conditions of the wastes are considered at the same time when defining the concepts. Upon close examination of the classification of wastes systems as introduced in the Basel Convention, OECD, EU, US, and UK, the wastes are classified into toxic and non-toxic wastes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poisonous substances. Therefore, it is classified as a toxic waste when any toxic substance on its list is included in the waste, while others are considered as a non-toxic waste if they don't contain poisonous substances. Secondly, in the UK, the matter of toxic or non-toxic wastes are classified, not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the poisonous substances, but based on the generation of sources. In Korea, the concepts of wastes are divided into the two categories - a concept as defined in actual legislations and a concept in its translation. The Korean classification of the wastes include Wastes Management Act, amended in 1995, which stipulates that toxic substances should be managed in a special way as the designated wastes. It appears that the Act utilizes the classification method that classifies the wastes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poisonous substance. Korea's concepts of wastes should be changed after recognition of the concepts in international agreement (Basel Convention, EU) and other foreign laws(US, UK) that consider subjective and objective standards at the same time when they define the concepts. Als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in recycling and reuse of the wastes can remove the current absolute notion of the wastes so that it also should not be passed over. Also, because a classification structure of wastes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a disposal structure, its classification system should be fixed gradually to come up with the development of wastes disposal technology and its policy.

  • PDF

스마트 시니어의 스마트폰 배달 애플리케이션 만족도 기반 이용결정요인 분석 (Analysis of usage decision factors based on the satisfaction of smart seniors using smartphone delivery applications)

  • 최부헌;문수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호
    • /
    • pp.199-209
    • /
    • 2021
  • 본 연구는 스마트 시니어의 배달 애플리케이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이용결정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스마트 시니어의 배달앱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요인들을 배달앱 특성과 스마트 시니어의 개인적 특성으로 구분하여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해 본 연구는 배달앱을 사용해 본 경험이 있는 50세 이상 65세 이하의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자료분석을 위한 통계처리는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 경로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배달앱 특성 중 유용성이 스마트 시니어의 배달앱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스마트 시니어의 개인적 특성 중 사회적 공감성이 스마트 시니어의 배달앱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배달앱 만족도는 재이용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스마트 시니어의 배달앱 만족과 이용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스마트 시니어가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고 사회적 공감성에 초점을 둔 배달앱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교통사고 환자 103례에 대한 한방치료 만족도 조사 (Survey on Satisfaction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in 103 Cases by Traffic Accident)

  • 배길준;정지원;송민영;최진봉;김성태;권민구;설재욱;나성영;김선종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65-79
    • /
    • 2015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atisfaction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by traffic accident. Methods This study was carried out 103 cases of traffic accident patients which had been treatment in Dongshin university Korean medicine hospital and Chung-Yeon Korean medicine hospital from June, 2014 to September, 2014. The survey used by preceding articles was accepted for assessment of the satisfaction degree of patients in this study. All data were coded by SPSS v18.0 and analyzed by descriptive maneuver, x2-test, T-test and correlation. Results According to the survey, 93.2% of patients included this study were hospitalized in the Korean medical hospital within 2 weeks from TA and 90.3% were satisfied with the current medical service. The answer that Korean medicine is superior to western medicine for TA treatment was the main reason for selecting Korean medical hospital. 46.6% of patients satisfied Acupuncture treatment and 29.1% of patients satisfied Korean physical treatmen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satisfaction degree with sex, age, education and occupation. The satisfaction degree of the current Korean medical servic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doctor's service, use the procedure and reuse intention. Conclusions We could see that the satisfaction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is relatively high. The continuous and repetitive research is needed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Korean medicine hospital service and the satisfaction of patients by traffic accident.

치과위생사의 보철 의료서비스가 치과 만족 및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ental Hygienist Prosthetic Medical Service on Dental Satisfaction and Dental Loyalty)

  • 송귀숙;류다영;이수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713-718
    • /
    • 2021
  • 본 연구는 치과의료기관에서 환자만족도 증진을 위한 치과위생사의 역할과 중요성을 규명하고, 치과위생사의 사회적 위치와 근무조건 및 환경을 개선하고자 시행되었다. 최근 10년 이내에 치과에서 보철치료를 받은 경험이 있는 자를 대상으로 치과위생사의 보철 의료서비스에 따른 치과 만족 및 재이용 의사, 권유 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한다. 2020년 6월 1일부터 7월 2일까지 설문지를 배포하여 수집한 166부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Ver 23.0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Pearson 상관분석, 다중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보철치료 중 치과위생사가 제공하는 의료서비스의 질은 평균 4.05이며, 치과만족도 평균 4.27, 재이용 의사 평균 3.97, 권유의사 평균 4.01로 나타났다. 상관분석 결과, 각 요인 간의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P<0.01), 다중회귀분석 결과, 치과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지식수준으로 나타났다(P<0.05). 재이용 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지식수준, 교육정도로 나타났으며, 권유 의사에 미치는 요인으로 지식수준과 교육정도로 나타났다(P<0.05).

서비스 이익 사슬 모델을 활용한 친환경 자동차 정비 서비스품질, 고객만족, 장기지향성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내부 및 외부 고객 간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Quality, Customer Satisfaction, and Long-term Orientation for Eco-Friendly Car Maintenance Using Service Profit Chain Model: Focusing on Comparison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Customers)

  • 황정엽;박찬권;김채복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82-101
    • /
    • 2023
  •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aintenance service quality of eco-friendly cars, which are rapidly increasing recently. Research is conducted by synthesizing research from the perspectives of internal employees and external customers by using the service profit chain model. Specifically, it is to study the overall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customer satisfaction, physical quality, interaction quality, outcome quality, external customer satisfaction and long-term orientation. For the study, 202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internal employees and 204 questionnaires from external customers. The results of testing the research hypotheses targeting the internal employee group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testing hypothesis 1, internal customer satisfaction has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physical quality and interaction quality. As a result of testing hypothesis 2, the service quality of eco-friendly car maintenance has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each other. As a result of testing hypothesis 3, physical quality and outcome quality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external customer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esting the research hypotheses targeting an external customer group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testing hypothesis 2,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co-friendly car maintenance service quality, physical quality has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interaction quality, and interaction quality has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outcome quality. As a result of testing hypothesis 3, interaction quality and outcome quality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external customer satisfaction. As a result of testing Hypothesis 4, external customer satisfaction has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ly on intention to reuse. Finall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the internal employee group and the external customer group in eco-friendly car maintenance service quality and external customer satisfaction, it was verifi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outcome quality and external customer satisfaction.

O4O 선택속성이 고객만족도 및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중국 허마셴셩 사례를 중심으로 (The Impact of O4O Selection Attributes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Loyalty: Focusing on the Case of Fresh Hema in China)

  • 최성국;양성병
    • 지식경영연구
    • /
    • 제21권3호
    • /
    • pp.249-269
    • /
    • 2020
  • 최근 온라인 시장이 성숙해지면서, 추가 성장을 가로막는 많은 문제점이 드러나고 있는데, 이 중 가장 대표적인 문제는 온라인 상품의 동질화로 인한 고객수의 정체를 꼽을 수 있다. 최근 몇 년 사이 온라인 시장의 비중은 많이 증가하였지만, 이제 오프라인으로 영역을 확장하지 않고서는 더 이상의 발전을 기대하기 힘든 상황에 이른 것이다. 이에, 국내외 많은 온라인 기업들은 온라인 채널의 장점에 더해 온라인 플랫폼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오프라인 공간을 함께 확보함으로써, 사업영역 및 마케팅 채널을 확대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정보기술(빅데이터, 인공지능 등)을 활용한 대량의 고객 데이터 분석이라는 그들의 경쟁우위를 바탕으로, O4O(Online for Offline) 비즈니스 모델을 구현함으로써, 오프라인으로의 영향력을 꾸준히 강화해나가고 있는 것이다. 한편, 기존의 관련 연구들은 대부분 O2O(Online to Offline) 비즈니스 모델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최근 몇 년 동안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발히 시도되고 있는 O4O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학문적 시도는 아직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그나마 존재하는 몇몇의 O4O 관련 연구들도 사례분석 및 체험마케팅 기반의 연구에 그치고 있어, O4O 기반 선택속성들과 이들이 고객만족도 및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연구가 시급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국의 대표적인 O4O 비즈니스 모델인 허마셴셩(盒馬鮮生)을 중심으로, 고객의 관점에서 O4O 서비스에 특화된 주요 선택속성을 도출한 후, 이러한 선택속성들이 고객만족도 및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해 보고자 한다. 300명의 O4O(허마셴셩) 이용 경험이 있는 고객을 대상으로 한 설문 표본을 구조방정식모델을 활용해 분석한 결과, 총 7개의 O4O 선택속성 가운데 4개(모바일앱품질, 모바일결제, 상품품질 및 매장시설)가 고객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객만족도는 다시 고객충성도(재이용의도, 추천의도 및 브랜드애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O4O 서비스 분야의 관리자가 빠르게 변화하는 고객요구에 잘 적응하고, 나아가 어떤 선택속성에 더 많은 자원을 할당함으로써 고객만족도 및 고객충성도를 제고할 수 있는지를 알려주는 중요한 가이드라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전시장 참관객의 계획되지 않은 방문행동에 있어서 부스추천시스템의 영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Booth Recommendation System on Exhibition Visitors Unplanned Visit Behavior)

  • 정남호;김재경
    • 지능정보연구
    • /
    • 제17권4호
    • /
    • pp.175-191
    • /
    • 2011
  • 국가신성장동력으로MICE(Meeting, Incentive travel, Convention, Exhibition) 산업이각광받으면서국내전시산업에 대한 관심이 드높아 지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 전시산업(domestic exhibition industry)도 미국이나 유럽과 같이 전시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그 중에서도 전시환경이나 전시기법 등에 따라 관람효과가 다르기 때문에 지능형 정보기술을 이용하여 전시장에 방문한 참관객의 참관패턴을 분석하여 참관객을 이해하고 더 나아가 참여업체 간의 연관관계 도출 및 전시회의 성과를 높이고자 하는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기존의 부스추천시스템과 관련된 연구를 살펴보면 시스템적인 관점에서 추천의 정확성만을 논하고 있을 뿐 추천을 통한 참관객의 행동이나 인식의 변화에 대해서는 충분히 논의하고 있지 못하다. 부스추천시스템(Booth Recommendation System)은 참관객의 부스방문 정보를 바탕으로 참관객에게 적절한 부스를 추천하기 때문에 참관객은 사전에 계획하지 않은 전시장을 방문하게 될 수 있다. 이 때 참관객은 계획하지 않은 방문행동을 통해서 만족할 수도 있지만 추천과 정이 번거롭다거나 자유롭게 참관을 하는데 방해가 된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참관객의 자유로운 관람보다 오히려 더 좋지 않은 성과를 낼 수 있다. 따라서 부스 추천시스템을 전시장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시스템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이 무엇인지 전반적으로 검토하고, 부스추천시스템이 참관객의 계획되지 않은 방문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면밀히 검토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스추천시스템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이론과 기존문헌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참관객의 지각된 부스추천시스템의 성과가 참관객의 계획되지 않은 행동에 대한 만족도와 부스추천시스템의 재사용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론적 프레임워크로 본 연구는 계획되지 않은 행동이론(Unplanned Behavior Theory)을 도입하였다. 계획되지 않은 행동(unplanned behavior)이란 "소비자들이 사전에 계획하지 되지 않은 채 실행된 어떤 행동"으로 정의할 수 있다. 소비자들의 계획되지 않은 행동은 그 동안 마케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어 왔다. 특히, 마케팅에서는 계획되지 않은 행동 중 계획되지 않은 구매(unplanned purchasing)에 많은 관심을 두어 왔는데 이 개념은 종종 충동적 구매(impulsive purchasing)와 혼동되어 사용되곤 하였다. 그런데, 충동적 구매가 갑자기 무엇인가 구매를 해야하는 강하고 지속적인 충동(urge)이라고 본다면 계획되지 않은 구매는 구매의사결정의 시점이 상점에 들어가기 전이 아닌 상점 내에서 수행된다는 점이 다르다. 즉, 모든 충동적 구매는 비계획적이나, 모든 계획되지 않은 구매가 충동적인 구매는 아니다. 그런데, 왜 소비자들은 계획되지 않은 행동을 하는가? 이에 대해서는 학자들에 따라 여러 가지 의견이 있으나 소비자가 사전에 철저한 계획을 수립하지 않고 따라서 중간에 계획을 변화시킬만한 유연성(flexibility)이 있기 때문이라는 점에 일관된 의견을 보인다. 즉, 계획되지 않은 행동을 하는데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면 소비자들은 사전에 수립한 계획을 변경하기 어렵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전시장 역시 참관객들은 방문하기 전에 전시장이 어떤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살펴보고, 어떤 부스를 방문할지를 사전에 계획하게 된다. 그 이유는 참관객들이 전시장 방문에 투입할 수 있는 시간은 한정되어 있는 반면에 전시회는 대규모의 다양한 부스로 운영되기 때문에 참관객들이 모든 부스를 참관한다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부스추천시스템이 참관객이 선호할 만한 부스를 추천하게 되면 참관객은 자신의 계획을 변화시켜서 부스추천시스템이 추천한 부스를 방문하게 된다. 이러한 방문행동은 소비자가 상점을 방문하거나, 관광객이 관광지에서 계획하지 않은 행동을 하는 것과 유사한 측면에서 이해가 가능하며 특히 최근 여행소비자들이 정보기기의 영향으로 계획되지 않은 행동을 하는 경우가 부쩍 증가한 추세와 동일한 맥락에서 이해가 가능하다. 이에 다음과 같은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이 연구모형은 참관객이 지각한 부스추천시스템의 성과(performance)를 매개변수로 하고 있는데 이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부스추천시스템에 대한 신뢰(trust), 전시장 참관객의 지식수준 (knowledge level), 부스 추천시스템의 기대된 개인화 (expected personalization) 그리고 부스추천시스템의 자유위협(threat to freedom)을 영향요인으로 파악하였다. 또한, 지각된 부스추천시스템 성과와 계획되지 않은 행동에 대한 참관객의 만족도와 향후 부스추천시스템의 재사용의도간의 인과관계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 때 부스추천시스템에대한신뢰는권한(competence), 자선(benevolence), 그리고진실(integrity)의2차요인(2nd order factor)으로구성하고, 나머지 요인들은 1차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2011 DMC Culture Open 행사에서 부스추천시스템을 테스트하기 위하여 시스템을 개발하고, 101명의 참관객을 대상으로 실증조사를 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부스추천시스템에 있어서 참관객의 신뢰가 가장 중요한 요소이며 실제 해당 부스추천시스템을 이용한 참관객들은 신뢰를 통해 부스추천시스템이 성과 있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참관객의 지식수준 역시 부스추천시스템의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는데 이는 추천의 성과가 전시장에 대한 사전적 이해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즉, 전시장에 대한 이해가 높은 참관객이 부스추천시스템의 유용성을 더 잘 파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대된 개인화 수준은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는데 이는 기존 연구와 다른 결과로 본 연구에 사용된 부스추천시스템이 충분히 개인화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넷째, 부스추천시스템의 추천정보는 개인의 자유를 위협하거나 제한한다고 느끼지 않음으로 충분히 유용한 가치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끝으로 부스정보시스템의 높은 성과는 참관객들의 계획되지 않은 행동에 대한 높은 만족도와 향후에도 부스추천시스템을 재사용할 의도를 만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부스추천시스템이 야기하는 참관객의 계획되지 않은 부스방문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해 계획되지 않은 행동이론을 중심으로 실증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이를 통해 향후 부스추천시스템의 구축 및 설계에 유용한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향후에는 보다 정교한 설문구성과 측정대상을 이용하여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기대된다.

개인화 추천시스템에서 고객 제품 리뷰가 사회적 실재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ustomer Product Review on Social Presence in Personalized Recommender Systems)

  • 최재원;이홍주
    • 지능정보연구
    • /
    • 제17권3호
    • /
    • pp.115-130
    • /
    • 2011
  • 온라인 스토어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자들에게 신뢰감을 가져다 줄 수 있는 요인들을 제공하려고 한다. 대표적인 방식이 고객이 좋아할 만한 제품의 추천과 고객제품리뷰의 제공이다. 각각의 제공을 통해 신뢰의 선행요인이 되는 사회적 실재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연구들이 있어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추천 상황에 따른 사회적 실재감에 미치는 영향과 추천 상황과 제품군의 유형, 고객제품리뷰의 제공여부에 따라 사회적 실재감의 증가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을 통해 분석하였다. 개인화 추천을 통해 사회적 실재감을 증대시킬 수 있었으며, 쾌락재에서는 고객제품리뷰의 제공을 통해 어떤 추천 상황에서든 사회적 실재감이 증대되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전신 뼈 검사 환자의 불안감 해소를 위한 가상현실 장비의 유용성 평가 (Evaluation of the Usefulness of Virtual Reality Equipment for Relieving Patients' Anxiety during Whole-Body Bone Scan)

  • 김혜린;김정열;이승재;백송이;김진구;김가윤;남궁혁;강천구;김재삼
    • 핵의학기술
    • /
    • 제26권1호
    • /
    • pp.27-32
    • /
    • 2022
  • 전신 뼈 검사를 시행할 경우 검출기와 밀접한 거리로 인해 심리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환자들이 많다. 최근 의료분야에서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장비를 사용하여 주의분산법(distraction method)을 통해 집중력이 약한 소아 환자 또는 중증 치료를 받는 환자에게 진통경감 효과를 줄 수 있다는 보고가 있다. 이에 본 논문은 핵의학 검사 시 환자들에게 심리적 안정을 주기 위해 VR 장비를 사용하였고, 이를 임상에서 활용할 수 있는지 평가해보고자 한다. VR 장비로는 ALLIP Z6 VR (ALLIP, Korea)을 사용하여 휴대전화에 연결한 후 실험을 진행하였다. 대상자는 2021년 9월 1일부터 2021년 9월 30일까지 전신 뼈 검사를 시행한 환자 30명으로 하였다. 99mTc-HDP를 정맥주사한 후 3시간~6시간 뒤에 VR 장비를 착용하고 전신영상을 얻었다. 검사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검사에 대한 심리적 불안도와 VR 장비에 대한 만족도는 리커트 척도 5점을 이용하였다. 설문조사에 관한 가설검증 및 신뢰도는 SPSS Statistics 25 (IBM, Corp., Armonk, NY, USA)를 통해 분석하였다. 기존 전신 뼈 검사에 대한 불안감은 3.03±1.53인 반면 VR 장비 착용 후의 불안감은 2.0±1.21으로 불안도가 34%로 감소 한 것으로 나타났다. VR 장비에 대한 환자의 집중도가 검사에 대한 불안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회귀분석 했을 때 B값은 0.750 (p<0.01), t값은 6.181 (p<0.01)으로 VR 장비에 집중할수록 검사 시 불안도가 감소하고 75%의 영향력이 있음을 나타냈다. 또한 전체적인 VR 장비에 대한 만족도는 3.76±1.28이었고 재사용의사율은 66%였다. 설문지의 신뢰도계수 Cronbach α값은 0.901로 나타났다. VR 장비를 사용할 경우 환자들의 주의가 분산되면서 불안감이 감소되고 심리적으로 안정되는 효과가 나타났다. 향후 VR 장비 기술이 발전됨에 따라 장비의 소형화가 가능해지고 VR 콘텐츠영상의 해상력이 증가하는 등 보다 사실적으로 환자에게 안정감이 제공된다면 임상에서도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