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nt to Buy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9초

유전자재조합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인지도 조사 - 지역과 직업,학력을 중심으로 - (Consumer Awareness and Attitudes about Genetically Modified Foods - According to Area, Occupation, and Education -)

  • 김혜영;김미정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657-672
    • /
    • 2011
  • This study was a survey of consumer awareness and attitudes about genetically modified foods and their labeling regulations.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4,620 consumers who lived in different areas of Korea, and 4,076 people responded. The consumers were asked about knowledge, labeling information, and their sources of information about GM foods. Respondents from Seoul, Jeonnam, and Gyeongnam answered mostly "nearly don't know > moderate > never know > know a little." Respondents from Gyeonggi answered "moderate > nearly don't know > never know > know a little." According to occupation, housewives, company employees, consultants, and students answered mostly "nearly don't know > moderate > never know > know a little. "Consumers answered about the intent to buy GM foods differently according to area, occupation, and education. Seoul and Gyeonggi residents said that reinforcing factors to relieve the insecurity of GM foods were "evaluating safety > management of GM foods by the government > GM food regulation system." There were other answers according to area, occupation, and education. About GM-related education methods that they wished to have, residents of the Seoul area said "books/leaflets" most often, but residents of the Gyounggi area said "attending a lecture" most often. Housewives also said "attending a lecture," but teachers and students said "Internetbased education" most often. About the kinds of education that they could join, Seoul residents answered "consumer groups > school parents > public institutions," but Gyeonggi and Chungnam area residents answered "public institutions > consumer groups > school parents." Housewives and students answered "consumer groups" most often, but consultants and private business owners answered "public institutions" most often. We realized that different education methods were necessary for different areas, occupations, and education levels.

알러지 인식과 알러지 방지 침구 구매행동 (Allergy Recognition and Purchase Behavior for Anti-allergy Bedding Products)

  • 신정재;박명자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175-194
    • /
    • 2013
  • Collection of data for this study was conducted by 271 questionnaire responded by the consumers of purchasing anti-allergy bedding products, and analysed statistically using SPSS. Research results through the questionnaire, it was determined to be the cause of allergic disease consumers most house dust mites. Recognition and recognition of house dust mite habitat, bedding called the most recognized. The anti-allergic bedding purchase motives and intelligence recommendations salesman recommendations and store display products that have the greatest impact. Highly educated respondents were more important role in the salesperson's recommendations and famous brand awareness to purchase. Higher income level of the respondents buy anti-allergic bedding for allergy symptoms allergy preventive and mitigation efforts. Quality ratings sewing, color, laundry management was more important in women than in men. The ages 20 to 30 showed that respondents think that more important than plush and brand. More than 40, laundry convenience is more important. Sewing and laundry management respondents of high school or less. Properties for the anti-allergic bedding satisfaction in women than in men, laundry, storage convenience, to prevent dust skimp on the effects of satisfaction was convenient. 30-40s for light weight than satisfaction, high durability and anti-allergic effect on satisfaction was higher than 20 respondents more than 50 respondents. Than 20 respondents more than 40 respondents also appeared to be more about the durability that meets. Anti-allergic bedding was soft to the touch, warmth, dust Blow out prevention effects, anti-allergic performance satisfaction of the properties has a positive effect on repurchase intent. It were also identified as important anti-allergic bedding inclined to the performance of a soft feel and anti-allergic recommended.

  • PDF

패션제품 충동구매행동에 대한 브라우징의 중재효과 (Mediating Effects of Browsing on Impulse Buying Behavior for Fashion Products)

  • 박은주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9권9_10호
    • /
    • pp.1340-1348
    • /
    • 2005
  • Consumers are prone to engage in browsing because they are, for a variety of reasons, open to spending opportunities that grab their attentions. In-store browsing is the in-store examination of a retailer's merchandise for recreational or/and informational purposes without an immediate intent to buy. Browsers made more unplanned purchases than non-browsers in a regional mall setting. As a form of on-going search, in-store browsing is a central component in the impulse buying proces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examine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fashion involvement, hedonic consumption, browsing and impulse buying behavior, and 2)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browsing on impulse buying behavior for fashion products.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from a literature review and measured on a 7-point rating scale. Data were obtained from 413 students attending universities in Busan.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given during a scheduled clas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proposed model of this study is appropriate to explain the mediating effects of browsing on impulse buying behavior for fashion products. The model shows that fashion involvement and hedonic consumption are important as antecedents of browsing in fashion stores, and consumers browsing longer in fashion stores would tend to increase the likelihood of experiencing impulse buying behavior. That is, browsing in store plays an important mediating role in triggering impulse buying behavior for fashion product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provide some insights into retail marketing theory supporting the trait and behavioral aspects of impulse buying. Future research and managerial implications are addressed.

큰느타리(새송이)버섯 다수확 속성 품종 육종 및 관능평가 (Breeding of King Oyster Mushroom, Pleurotus eryngii with a High Yield and Earliness of Harvest Trait and Its Sensory Test)

  • 임착한;김민근;김경희;김선영;이성태;허재영;권진혁;김동성;류재산
    • 한국균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91-96
    • /
    • 2013
  • 기존 큰느타리버섯 품종의 단점을 개선하고자 단교배를 통하여 여러 가지 형질을 복합적으로 지니는 품종을 육성하고자 애린이와 나 계통을 모본으로 선택하고, 이들 계통으로부터 유래한 단핵균사간의 단교잡을 실시하였다. 애린이10${\times}$나5계통이 수확량, 생육소요일수, 전체적인 모양에서 다른 계통보다 우수하였고 이 계통을 애린이 3으로 명명하였다. 애린이 3은 큰느타리2호보다 수확일이 2~3일 빠르고, 수확량도 110.5 g으로 기존품종의 108%수준이었다. 갓직경과 대두께의 비율은 1.8로 기존품종의 2.1보다 우수하여 수확이나 유통시 버섯의 손상이 적을 것으로 사료된다. 소비자에 대한 맛과 구매의향 조사에서 육성계통은 31.4%가 매우우수, 53.3%가 우수로 평가한 반면 기존 품종은 20.7%가 매우우수, 34.8%가 우수로 판정하였다. 구매의향도 총 86.9%가 높음 이상이어서 기존 품종의 46.8%보다 높아 시장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소비자의 윤리의식이 패션복제품에 대한 인식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thical Ideologies on the Korean Consumers' Perceptions and Purchase Intentions of Fashion Counterfeits)

  • 이미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1권12호
    • /
    • pp.1793-1802
    • /
    • 2007
  • 본 연구는 소비자의 윤리의식이 패션복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과 구매의도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Forsyth(1980)의 Ethics Position Questionnaire(EPQ)를 이용하여 소비자의 윤리의식를 이상주의와 상대주의로 측정하여 연구에 사용하였다. 설문지법을 이용하여 대도시에 거주하는 대학생을(N=314)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약 66%가 패션복제품 구매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의 복제품에 대한 인식은 경제적, 심리적, 기능적, 반품관련 불확실성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소비자의 패션복제품 구매자와 비구매자간에 윤리의식 측면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일반적으로 패션복제품 구매경험자들은 복제품에 대해 경제적인 측면과 사회적인 측면에서 미경험자에 비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 윤리의식 중에서 이상주의는 소비자의 패션복제품 인식과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대주의는 반품관련 불확실성에서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들이 지각하는 복제품의 경제적, 심리적, 반품관련 불확실성이 복제품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계농가 전산화 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 (A Survey on Current Situation of Computer System Utilization for Poultry Farm Management)

  • 최연호;이상진;신영수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09-219
    • /
    • 1996
  •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get the basic information on the current situation of personal computer utilization for poultry farm management, and the results obtained could be used in developing of the software system for the poultry farm management. Survey method by interview and mail was adopted to carry out the research, and the total number of data used to statistical analyses was k6 poultry farmers. 1. The ratio of the poultry farmers who had the personal computer(P/C) was about 25%, and the most of the layer farmers from age 30 to 40 who manage the flock size 20,000 or above had the P/C. 2. About 70% of the farmers who had P/C have bought the system after 1993, and 83% of those farmers had the P/C-486 or above level system. They bought the P/C with intent to apply it to farm management(39%) and education for children(31%). 3. About 50% of the farmers who had P/C obtained the relevant knowledge for operating computer system by themselves, and the 33% of the P/C-possessed farmers used P/C for word-processor. 4. About 35% of the farmers who had P/C applied their system to analyse the management analyses, and the sarne ratio of the farmers answered that they didn't apply the system to their farm management. 5. About 25% of the farmers who had P/C used package software, and the company which installed the automated cage system offered the software. 6. Most of the farmers considered the computerization of the farm management positively, and they answered that they will apply P/C to their management actively from now on. 7. About 56% of the farmers didn't think that they had sufficient knowledge for operating computer system, and a quarter of them pointed that the difficulty of the buying software for poultry farm management was the most biggest problem to spread out the computerization in the poultry farm. 8. Most of the poultry farmers didn't buy P/C because they didn't have the relevant knowledge for computer system, but they wanted to learn basic knowledge for computer, and they had the intention to apply computer to their management positively. In order to expand the computerization for poultry farm management, appropriate education system for the farmers from age 30 to 40 who manage the flock size 20,000 or above and the development of the software that could be applied to poultry farm management on the spot efficiently should be made.

  • PDF

새싹채소 및 쌈채소의 선호도 및 소비실태 (The Consumption Status and Preference for Sprouts and Leafy Vegetables)

  • 전소윤;김태훈;황성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783-791
    • /
    • 2012
  • 본 연구는 새싹 및 쌈채소의 소비증진 및 발전방향을 확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새싹 및 쌈채소의 선호도와 소비실태에 대해 서울 및 경기도를 중심으로 20세 이상 성인 남녀 823명을 대상으로 조사되었다. 새싹채소의 선호도는 남성($3.75{\pm}0.96$)이 여성($3.64{\pm}0.84$)보다 높은 반면 쌈채소는 여성($4.06{\pm}0.74$)이 남성($3.88{\pm}0.90$)보다 선호도가 높았다. 연령별로는 건강과 연령을 중시하는 40대 이상이 높게 나타났다(p<0.01). 구입하는 주된 목적은 영양적 가치를 높이기 위함이 가장 많았다. 쌈채소(82.7%)의 월 1회 이상 구입비율이 새싹채소(57.1%) 보다 높았다. 주요 구입장소는 대형할인마트가 가장 많았으며, 연령별로는 20대가 동네채소가게에서의 구입비율이 높은 반면 연령이 높을수록 재래시장에서의 구입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구입장소를 이용하는 이유로는 이용의 편리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새싹 및 쌈채소 모두 구입시 신선도와 가격을 가장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새싹채소는 혼합소포장 형태, 쌈채소의 경우 소포장보다는 계근의 형태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새싹 및 쌈채소의 구입빈도는 선호도, 개선필요성 및 구입의향와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향후 고품질의 새싹 및 쌈채소를 위한 개선사항으로는 영양 및 기능성이 가장 높았다. 따라서 새싹 및 쌈채소의 소비확대를 위해서는 품목 다양화와 품질향상, 식품안전성이 요구된다.

유전자재조합 식품의 안전성에 대한 기본인식 조사 - 식품관련 전문가 그룹을 중심으로 - (Attitudes of Safety for the Food Developed by Gene-Recombination in Korea -Focus on the Specialist Group Related to Food-)

  • 김영찬;박경진;이홍석;김동연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97-407
    • /
    • 1999
  • 유전자재조합 식품에 대한 기본인식을 조사하기 위하여 일반 소비자에 대한 설문조사에 선행하여, 1999년 1월 식품 관련 전문가 1,400명에게 우편설문을 발송하여, 이중 회수된 464명(33.1%)을 대상으로 인식정도, 수용도, 구매의사, 표시의향 등을 분석하였다. 유전자재조합식품에 대해 알고 있다고 응답한 사람이 응답자의 98.7%로 거의 대부분의 식품관련 전문가들은 알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학계에 종사하는 40대 이상 남성의 인식정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유전자재조합 기술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91.3%가 필요하다고 응답해 유전자재조합 기술이 식품의 생산에 있어 매우 필요함을 지적하였다. 안전성과 관련하여 유전자재조합 식품의 잠재적 위험성의 존재에 대하여는 80.9%가 지적하였으나, 인식정도에 따라 상당히 다른 경향을 나타냈다. 즉, 인식정도가 낮을수록 잠재적 위험성에 대한 우려는 높게 나타났고, 반면 인식정도가 높을수록 잠재적 위험성에 대한 우려를 낮게 나타나는(p<0.01) 경향을 보여, 안전성과 관련해서는 인식정도가 상당히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유전자재조합 식품의 구매의사에 있어서는 68.4%가 구입의사를 나타내었으나, 이중“구입하되 자녀에게는 먹이지 않거나(17.9%)”,“가격이 저렴하면 구입(27.0%)”등 조건이 있는 경우가 44.9%였다. 유전자재조합 식품에 대한 구매의사도 잠재적위험성에 대한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는데, 즉 유전자재조합 식품에 대해 잘 알고 있을수록 구매하겠다는 비율이 더 높았고, 인식이 낮을수록 구매의사는 낮게 나타나(p<0.01) 유전자재조합 식품에 대한 인식정도가 구매의사에 있어서도 상당히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그밖에 표시에 대하여는 85.3%가 표시하여야 한다고 하였으며, 남성 보다 여성의 경우가 더 높게 나타났다(p<0.01). 유전자재조합식품과 관련하여 가장 보완되어야 할 분야로는‘식품안전관리’를 지적하였으며,“관련 제도 및 법규를 통한 정부의 규제”가 유전자재조합식품의 안전성과 관련하여 가장 시급한 부분이라고 지적하였다. 결론적으로 식품관련 전문가들은 유전자재조합 식품에 대한 안전성 등 잠재적위험성에 대해서 인식을 하고 있지만, 우려정도나 유전자재조합 식품에 대한 구매의사는 인식정도에 따라 크게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상표자산과 구매의도와의 관계에 관한 국제비교연구 - 아시아와 유럽의 의류시장을 중심으로 - (Brand Equity and Purchase Intention in Fashion Products: A Cross-Cultural Study in Asia and Europe)

  • 김경훈;고은주;;;이동해;정홍섭;전병주;문학일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8권4호
    • /
    • pp.245-276
    • /
    • 2008
  • 본 연구는 상표자산의 구성요소에 대한 선행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하여 상표자산 구성요소와 상표자산 영향요인간의 관계 그리고 상표자산 구성요소와 구매의도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한국과 영국을 중심으로 비교하여 상표자산관리 방안을 도출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정보탐색은 제품지식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상표태도와 상표지식은 상표 충성도와 상표 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상표충성도와 상표가치는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원천의 경우, 한국에서는 제품지식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반면, 영국에서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