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gration of Cost and Schedule Information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3초

Automated Methodology for Linking BIM Objects with Cost and Schedule Information by utilizing Geometry Breakdown Structure (GBS)

  • Lee, Kwangjin;Jung, Youngsoo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637-638
    • /
    • 2015
  • There has been growing interests in life-cycle project management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A lot of attention is given to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which stores and uses a variety of construction information for the life cycle of project management. However, due to the additional workload arising from BIM, its expected effects versus its input costs are still under discussion in practice. As an attempt to address this issue, one of previous studies suggested an automated linking process by developing Standard Classification Numbering System (SCNS) and Geometry Breakdown Structure (GBS)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integration process of BIM objects, cost, and schedule. Though SCNS and GBS facilitates identifying all different dataset, making object sets and linking schedule activities still needs to be manually done without having an automated tool. In this contex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nd validate a fully automated integration system for 3D-objects, cost, and schedule. A prototype system for single family homes (Hanok) was developed and tested in order to verify its efficiency.

  • PDF

비용-일정통합기반 진도관리 개선방안 (Improvement of Cost-Schedule integration based Progress Management through PMIS)

  • 윤유상;서상욱;장규성;최장식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4권5호
    • /
    • pp.144-152
    • /
    • 2013
  • 최근 건설프로젝트가 대형화되면서 건설사들은 PMIS(Projec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를 이용하여 대부분의 관리업무를 수행한다. 특히, 건설공사 수행과정에서 가장 빈번한 정보입출력이 발생하는 진도관리 기능은 PMIS의 여러 기능 중 가장 효율적으로 운영되어야 한다. 그러나 PMIS 내에서 입력되는 정보가 대부분 중복입력 없이 운영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진도관리를 위한 데이터는 비용과 일정 정보의 개별 입력을 통해 관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물가상승, 설계변경 등에 의해 비용과 일정이 변경되는 사항에 대한 정보가 연계되지 못하여 진도측정의 부정확성과 PMIS에서 관리해야할 데이터의 증가를 유발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진도측정방법의 개선과 이를 기반으로 한 PMIS 진도관리 모듈의 구현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수량산출정보 기반의 비용-일정 통합 진도측정방법과 비용-일정 통합관리에 필요한 PMIS 공통관리항목을 기반으로 한 PMIS 진도관리 개선 모듈을 제시하고자 한다.

도로공사의 공정 및 공사비 연계활용을 위한 디지털 수량산출정보시스템(QDBS) 개발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WBS based QDBS(Quantity Database System) for the schedule and the cost data integration for road construction project)

  • 윤석헌;김성식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8권4호
    • /
    • pp.119-127
    • /
    • 2007
  • 공정 및 공사비는 건설사업관리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정보들로써, 건설사업관리는 이들 정보를 얼마나 효율적으로 관리하는지에 달려 있다. 국내에서는 아직 체계적인 공정관리가 정착되지 못하였으며, 공사비와의 연계관리 또한 정보의 연계성 부족과 많은 노력의 필요로 인하여 실용성이 부족한 형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공정, 공사비 정보의 연계관리를 위하여, 도로공사를 대상으로 사업초기단계부터 공통작업분류체계를 기준으로 디지털수량산출정보(QDB)를 작성하는 방안과 이를 기반으로 하는 디지털 수량산출정보시스템(QDBS)을 제안하고자 한다.

액티비티 기반의 EVM - PMIS 통합모델 구축 (The Establishment of an Activity-Based EVM - PMIS Integration Model)

  • 나광태;강병희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99-212
    • /
    • 2010
  • 국내 건설산업에 있어서 기술과 정보의 기반구조를 확립하기 위하여 몇몇 건설정보관련 법규가 제도화되었다. 그러나 국내 건설정보 분류체계, 공정 공사비 통합관리(EVM), 프로젝트관리 정보시스템(PMIS)은 주요한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특히 현행 PMIS의 기능은 시공자 위주의 시스템으로 되어 있고, EVM이 적용되지 않아 발주자를 위한 보고, 분석, 예측기능이 매우 취약하다. 더욱이 EVM과 PMIS가 서로 분리된 체계로 운영되고 있어 발주자가 실시간으로 공정 및 공사비 정보를 확인할 수 없다. 본 연구의 목적은 PMIS가 EVM기능을 제공하고 사업참여자들이 제반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WBS 구축방안과 EVM - PMIS 통합모델을 제안하여, E-비즈니스 업무환경하에서 PMIS를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틀(framework)을 제공하는 것이다. EVM - PMIS 통합의 핵심은 EVM과 PMIS가 액티비티 기반의 동일한 운영체계를 갖는 것이다. 통합의 원리는 액티비티의 정보항목(field)을 PMIS의 공정 및 공사비관리 기능을 위한 하위모듈을 구성하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테이블(table)의 항목과 연계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액티비티의 계획공사비(PA), 달성공사비(EV), 실투입비(AC), 공정편차(SV), 공정수행지수(SPI), 공사비편차(CV), 공사비지출지수(CPI)는 PMIS의 공정 및 공사비 하위모듈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의 항목으로 연계된다.

INTEGRATION MODEL OF COST AND SCHEDULE IN STEEL BOX GIRDER BRIDGE PRODUCTION PROCESS

  • Seok Kim;Kyoungmin Kim;Seung-Ho Ha ;Kyong Ju Kim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1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1262-1267
    • /
    • 2005
  • It is still difficult to share and utilize the information generated at each phase of a steel box girder production process due to the spatial gap and different level of management information. The physical distance results in the inefficiency of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the accidental omission and typos of the relative information, and so on. Various levels of management information make it difficult to embody a new management system. Eventually, these factors incur the loss of cost and schedule and interrupt development of a new management system. This paper analyzes a current process and presents graphical process flow by using IDEF0. Based this analysis, the research for new production process and work breakdown structure (WBS) is conducted. At the end of this paper, the conceptual design of this system is suggested. Through new management system, it is expected that the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will improve the management process in the steel box production, and the improved process will reduce the redundant cost and schedule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deposit generated by manual paper.

  • PDF

BIM기반 비용.일정 통합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BIM based Integration Method of Cost and Schedule Information)

  • 정도영;백영인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8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321-325
    • /
    • 2008
  • 공정과 공사비는 건설 프로젝트의 관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두 가지 요소로써, 그동안 이들을 통합 관리하려는 노력이 많이 이루어져 왔으나 국내의 국가계약법에 따른 내역체계의 한계점과 내역 및 WBS 표준화 작업의 미흡으로 인해 실제 시행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신관리기법인 BIM의 객체기반 3D 모델링 정보를 이용하여 비용과 일정정보를 연계하여 관리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프로젝트 구성정보를 비용, 일정, 구조물의 부위별 구성요소로 나누고 각 구성정보에 의한 분류체계의 특징을 분석하였고, 국내의 내역중심 관리체계와 전체적인 관리 시스템 상의 한계를 감안하여 제약조건을 절정하고 작업분류체계(WBS)를 통한 일정정보를 중심으로 비용과 3D 모델링의 부위별 객체들을 연계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방안의 검증을 위하여 대림산업에서 시공중인 청풍대교 현장에 대하여 사례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일정변화에 따른 시각화 및 비용예측 등의 기대효과를 확인하고 한계점 및 향후 추가 연구사항들을 가늠해볼 수 있었다.

  • PDF

BIM기반 비용.일정 통합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BIM based Integration Method of Cost and Schedule Information)

  • 백영인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9년도 세계 도시지반공학 심포지엄
    • /
    • pp.695-699
    • /
    • 2009
  • 공정과 공사비는 건설 프로젝트의 관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두 가지 요소로써, 그동안 이들을 통합 관리하려는 노력이 많이 이루어져 왔으나 국내의 국가계약법에 따른 내역체계의 한계점과 내역 및 WBS 표준화 작업의 미흡으로 인해 실제 시행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신관리기법인 BIM의 객체기반 3D 모델링 정보를 이용하여 비용과 일정정보를 연계하여 관리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프로젝트 구성정보를 비용, 일정, 구조물의 부위별 구성요소로 나누고 각 구성정보에 의한 분류체계의 특징을 분석하였고, 국내의 내역중심 관리체계와 전체적인 관리 시스템 상의 한계를 감안하여 제약조건을 설정하고 작업분류체계(WBS)를 통한 일정정보를 중심으로 비용과 3D 모델링의 부위별 객체들을 연계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방안의 검증을 위하여 대림산업에서 시공중인 청풍대교 현장에 대하여 사례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일정변화에 따른 시각화 및 비용예측 등의 기대효과를 확인하고 한계점 및 향후 추가 연구사항들을 가늠해볼 수 있었다.

  • PDF

IFC활용 BIM기반 공정/원가 통합관리 프레임워크 (A Framework Integrating Cost and Schedule based on BIM using IFC)

  • 이진강;이현수;박문서;정민혁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53-64
    • /
    • 2013
  • 건설프로젝트 관리 과정에는 수많은 정보가 존재한다.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은 정보전달의 매개체로써 공정 및 원가 정보를 관리하여 4D(3D+Time), 5D(4D+Cost) 시뮬레이션 등 다양한 이익을 얻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그러나 BIM 활용과정에 따른 정보의 연계 문제, BIM 객체기반 공정/원가 정보의 한계, BIM 소프트웨어 호환성 문제 등으로 인해 BIM을 활용한 공정 및 원가정보의 관리는 적극적으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위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IFC(Industry Foundation Classes)활용 BIM기반 공정/원가 통합관리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였다. 먼저, 정보 입력 문제와 정보 표현의 한계점을 개선하기 위해 공간을 최소단위로 공정 및 원가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데이터 호환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제 표준 데이터 포맷인 IFC를 활용하여 앞서 구축한 데이터베이스의 정보와 BIM 소프트웨어를 연계하여 BIM을 기반으로 한 공정/원가 정보의 통합관리를 시도하였다. 이는 BIM기반 공정/원가 통합관리를 위한 정보 처리 프로세스의 기초를 제공하며, 정보 요구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도와 의사소통의 정확성을 향상시켜 BIM기반 공정/원가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것으로 예상된다.

품질관리 정보를 기반으로 한 진척도 관리 시스템 개발 - 원자력발전소 건설공사 사례를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Progress Management System based on Quality Inspection Information - Case Study on Nuclear Power Plant Construction -)

  • 곽길종;김재준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2권1호
    • /
    • pp.73-84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일정-비용 통합모델 기반의 공사 진척도 관리에 있어서 현장작업에 대한 품질검사 프로세스를 연계한 진척도 측정모델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1)품질검사 프로세스, 2)진척도 측정매개, 3)계층구조화된 공정표, 4)진척도 측정매개와 연계된 품질검사 대상의 네 가지를 모델의 핵심영역으로 정의하고, 각 영역에 대한 정보요소들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토대로 각 영역 간에 서로 연관성을 가지고 품질검사의 계획과 실행 결과가 진척도 측정에 활용될 수 있도록 정보요소들을 구성하는 프로세스 모델들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반영한 정보시스템을 구현하여 원자력 발전소 건설공사에 적용하였다. 시스템 운영을 통한 모델의 효용성을 검증한 결과, 품질검사 프로세스의 온라인화를 통한 정보소통의 효율성 향상 및 기존 오프라인 방식에서 발생하던 현장 간접경비의 절감효과 뿐만 아니라, 발주자와 계약자가 모두 인정할 수 있는 객관적인 진척도 정보를 신속하게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EV개념에 의한 통합건설공사관리시스템 (An Integrated Construction Management System Based on the Earned Value Concept)

  • 정철원;이점수;오규환;장진식;이유섭;박찬식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1년도 학술대회지
    • /
    • pp.155-162
    • /
    • 2001
  • 최근 건설업계에서는 공정과 비용을 통합, 관리 할 수 있는 전산 시스템 구축에 많은 비용과 노력을 투자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현행 내역위주의 실행예산 체계에서는 선진 관리기법의 적용이 매우 어려운 상태로 단순 보고형의 공정관리만을 수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그 동안 공정과 원가를 통합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 부분적으로 그 성과가 있었으나 대부분 내역중심의 실무한계를 극복하지 못하였다. 이와 더불어, 프로젝트산업의 전형인 건설공사의 고유의 특성에 의해 실적 정보의 축적 및 Feed back이 매우 어려워 과거 실적 자료의 활용 수준이 매우 떨어지고 있다. 그 결과, 공사 초기 관리기준 설정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모되고 있으며, 생성된 정보의 체계적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지 못하다. 따라서, 렬 연구는 건설실무에서 시도되어 왔던 공정과 원가의 통합관리 시스템에서 발생하였던 실무상의 문제를 보완한 통합공사관리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