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Integrated Water Resources Management (IWRM)

Search Result 19,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Institutional Setting for Integrated Small Watershed (소유역의 협의체 구성을 통한 유역통합관리방안)

  • Park, Doo Ho;Yoon, Seok 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339-344
    • /
    • 2004
  •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IWRM is consider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water within a system. These sectoral and regional different should be analyzed before the implementation of IWRM. This includes hydrological, hydraulic and meteorological characteristics of water. This research suggests that the way of implementation of IWRM by integrated watershed management, also try to find the financial plan of the institution.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tegrated Water Resources Management(IWRM) System based on ICT in Uzbekistan (우즈베키스탄 내 ICT기반의 통합물관리(IWRM) 시스템 구축방향에 대한 연구)

  • Lee, Sung Soo;PI, Wan Seop;Seo, Sang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52-352
    • /
    • 2020
  • 통합물관리 (IWRM; Integrated Water Resources Management)란 생태계의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을 해치지 않으면서, 공평한 방법(equity)으로 경제·사회·복지를 극대화(efficiency) 할 수 있도록 물과 토지 및 관련 기타 자원들을 조화롭게 개발하고 처리하는 과정을 말한다. IWRM 패러다임은 전 세계적 및 국가별 물관리 상황에 따른 시대적 이슈에 따라 변천하고 있고 1992년 리우 정상회담 이후 물위기 극복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정착, 물재해 심화에 따라 2000년대 물안보라는 국가 차원의 과제로 발전하였다. 이에 이미 전세계 국가의 68%이상이 도입중이며 모든 국가로 확산 중에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향후 통합수자원관리 측면에서의 우즈베키스탄 내 업무와 환경을 분석하여 표준화된 수자원정보화 방향을 제시하고 통합물관리를 위한 통합물관리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우즈베키스탄은 기본적으로 물관리 여건이 매우 불리한 물스트레스 국가로 분류되고 있다. 국가 내에서 필요로하는 대부분의 수자원이 양적으로 매우 부족하고, 강수량의 지역, 시기별 변동폭 역시 매우 크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이용가능한 수자원을 작물재배가 가능한 시기에 농업용수로 80%이상을 취수하고 있어 심각한 물부족에 시달리고 있는 실정이다. 지정학적으로는 연강수량이 평균 400mm정도로 나타나고 있어 국내에서 생산되는 물 이외에는 국내를 통과하는 시르다리야, 아무다리야 강의 상류에 위치한 키르기즈스탄, 타지키스탄에서 생성된 물을 하천에서 취수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으로 제한된 수자원을 효율적, 합리적으로 이용하는 데 있어 관리기술의 개선이 필요하다. 수자원의 대부분은 수자원부에서 산하 관리조직을 통해 중앙에서 통제하에 관리하고 있으나 국가간, 지역별 용수배분, 갈등이 심하되고 있는 상태에 있으며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한 상류-하류간 연계, 수량-수질간 연계, 지표수-지하수 연계 등을 위한 법적, 제도적 기반이 미흡한 상태이다. 이러한 우즈베키스탄 내 IWRM 도입의 필요성을 기반으로 통합물관리를 위한 시스템 구성요소를 도출하고 구축을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 및 발전방향을 본 연구를 통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 PDF

Water Resources Planning for the 2S River Basin in Viet Nam

  • Ko, Ick Hwan;Choi, Byung-Man;Kim, Jeong-kon;Pi, Wan-Seop;Shin, Jae-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78-78
    • /
    • 2020
  • The Se San and Srepok river basins (2S) are the two major tributaries of the Mekong River, both of which originate in the territory of Viet Nam and flow to Cambodia to meet at Stung treng with the Sekong river (originating in Lao PDR) to form the 3S river basin before joining the Mekong mainstream. In the territory of Viet Nam, the 2S river basins are located in the Central Highlands including 5 provinces, arranged by geographical location from north to south namely Kon Tum, Gia Lai, Dak Lak, Dak Nong and Lam Dong. This is a region with a very important strategic position in terms of economy, politics and defense for the whole country with many potential advantages for economic development. However, the limited and vulnerable basin water resources are under the pressure of socio-economic development in line with increasing water demands for various sectors. In order to overcome the water management challenges, a long-term water resources planning has conducted to support the 2S River Basin Committee (RBC) in effective planning and operation as part of the WB Mekong-Integrated Water Resources Management (IWRM) Project. This paper introduces the outline and progress of the river basin planning using analytical DSS toolkits to analyze, evaluate and formulate the planning options.

  • PDF

A benchmarking of electricity industry for improving the integrated water resources management (IWRM) policy (통합물관리 정책실현을 위한 전력산업 벤치마킹 연구)

  • Kim, Dong Hyun;Kim, Taesoon;Jung, Heoncheol;Jeong, Eunsung;Lee, Seung Oh;Jung, Changsam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3 no.spc1
    • /
    • pp.785-795
    • /
    • 2020
  • Recently,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the quantity and quality of water was been deriv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n Korea. This reconstruction in the national government organization can be recognized as the major politic measure. For this IWRM (Integrated Water Resources Management), it is necessary to be able to fairly distribute, operate and manage water resources in a situation where related techniques are needed to fully support, such as measuring exactly the demand and supply of water resources. The reason why IWRM is difficult, despite the development of related technologies, is because the management entities are highly diverse and their interests are much complicated. Thus, this study is tried to suggest specific improvement for current policies by benchmarking the KPX (Korea Power Exchange). In the field of water management as similar to the electric industry, there is an essential need for a working-level organization that can manage, control, monitor, and regulate water resources with practical and plenipotentiary control like the non-profit organization, KPX. Such time has come for decisive policy changes through benchmarking the structure, system, productivity, and challenges of the electricity industry in the water policy.

A Review of Open Modeling Platform Towards Integrated Water Environmental Management (통합 물환경 관리를 위한 개방형 모델링 플랫폼 고찰)

  • Lee, Sunghack;Shin, Changmin;Lee, Yongseok;Cho, Jaepil
    •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 /
    • v.36 no.6
    • /
    • pp.636-650
    • /
    • 2020
  • A modeling system that can consider the overall water environment and be used to integrate hydrology, water quality, and aquatic ecosystem on a watershed scale is essential to support decision-making in integrated water resources management (IWRM). In adapting imported models for evaluating the unique water environment in Korea, a platform perspective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In this study, a modeling platform is defined as an ecosystem that continuously grows and provides sustainable values through voluntary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of all stakeholders- not only experts related to model development, but also model users and decision-makers. We assessed the conceptual values provided by the IWRM modeling platform in terms of openness, transparency, scalability, and sustainability. I We also reviewed the technical aspects of functional and spatial integrations in terms of socio-economic factors and user-centered multi-scale climate-forecast information. Based on those conceptual and technical aspects, we evaluated potential modeling platforms such as Source, FREEWAT, Object Modeling System (OMS), OpenMI, Community Surface-Dynamics Modeling System (CSDMS), and HydroShare. Among them, CSDMS most closely approached the values suggested in model development and offered a basic standard for easy integration of existing models using different program languages. HydroShare showed potential for sharing modeling results with the transparency expected by model user-s. Therefore, we believe that can be used as a reference in development of a modeling platform appropriate for managing the unique integrated water environment in Korea.

Australia's Water Management Policies and Implications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기후변화에 대응한 호주의 물관리 정책과 시사점)

  • Lee, Jong Wook;Park, Tae Sun;Lee, Seung Yeon;Lee, Seung Oh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 /
    • v.13 no.4
    • /
    • pp.1-12
    • /
    • 2020
  • Recently, as the extreme drought continued due to the reckless development and the dramatical climate change, national concern about the water management issues has been increased rapidly around the world, especially in Korea. Meanwhile, it is necessary to analyze and review the related cases in Australia, where they have developed the consistently, eco-friendly and systematically management from the national level, which is similar to that of Korea in difficult circumstances. Australia has been suffered by repeated droughts and floods due to low rainfall and dryness, and water disputes were begun with immigrant settlement in the 1890s. In the early days, water management agreements for efficient distribution of water resources, water use regulation programs, and federal water laws were enacted, and now the established water management system in which development and conservation are assumed to be well balanced. In Korea, however, in the past, the Ministry of Environment was responsible for water quality issues while the quantity was managed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nd the main local departments for water management were divided. Therefore, it was difficult to manage the integrated water management due to problems such as duplicated works, excessive investments, and inefficiency. To resolve this situation, in 2018, all water management functions were unified, such as enacting the fundamental water-related laws, thereby laying the foundation for the integrated water management system for each basin. From 2019, even the integrated water management system was implemented, we are promoting the effect of sustainable water resource management. In order to establish a management policy for efficient and eco-friendly water management, the IWRM (Integrated Water Resource Management) of Australia, which has been devised in various ways, was analyzed and compared with the present situations and cases occurred in Korea, and the implications from this study would be suggested the future of IWRM in Korea.

The comparative study of IWRM between ETL and ELT (통합수자원관리의 ETL, ELT 비교 연구)

  • Soon Yeon Kim;Young Jin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92-392
    • /
    • 2023
  • 통합수자원관리 IWRM(Integrated Water Resources Management)를 위한 다각도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구축된 정보의 활용 증진, 정책적 측면 등이 어우러져 고려되어야 비로소 통합으로서의 가치가 확보될 것이다. 본 고에서는 그중 데이터 측면을 살펴본다. 데이터 관점에서도 정보의 수집, 유통, 품질 등 여러 관점의 주제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유통을 위한 메타데이터는 ISO 19139의 채택에서 추가 보완할 부분이 무엇인지, 유통을 위한 포맷과 인터페이스는 XML과 OGC WFS를 채택시 충분한 호환성이 확보되는지 등 이 주요한 검토요소가 될 것이다. 본 고에서는 이러한 고민에 앞서, 초기 절차인 시스템 적재 과정의 ETL(Extract, Transform and Load)과 ELT(Extract, Load and Transform) 방법을 비교하고자 한다. 수자원 분야 데이터를 사용한 예시 사례를 통하여, 최근 데이터 산업 분야에서 ETL과 ELT 차이가 이슈화되고 있는 이유를 살펴보고, 온프레미스와 클라우드 상황에 대하여 두 가지 방법의 장단점을 비교함으로서 다양한 데이터를 직면하게 되는 IWRM에서의 데이터 적응에 대한 힌트를 얻고자 한다. 기본적으로는 ETL보다 ELT의 효율성이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해당 변환 과정이 일회성인지 반복적인지 고려해야 한다. 또한 변환에 있어 지배적인 요소가 변환 프로세스의 복잡도인지, 레코드 건수인지도 유불리에 영향을 준다. 비용측면에서는 ETL보다 ELT의 저장 비용이 증가할 수 있고, 이는 온프레미스 DBMS에서 PaaS 유형의 DBMS로 전환되어감에 따라 더 큰 부담이 될 수 있다. 무엇보다 ETL, ELT에서는 요구되는 변환 기술의 종류가 다르다. 예를 들어 Desktop GIS 도구와 ANSI 표준 SQL 기술로 대표될 수 있으며 각 수행조직에서는 보유 인적자원의 기술 현황과 학습곡선 등을 고려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ETL, ELT의 비교에 있어서는 처리시간과 동시에, 비용과 인적 자원 그리고 전략적 측면도 함께 검토되어야 한다.

  • PDF

A Study of IWRM Guideline Application at River Basin Level (유역 수준 통합수자원관리 가이드라인의 적용방안 연구)

  • Lee, Jong-Keun;Park, Sung-Je;Yi, Young-Kune;Kim, Jae-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411-415
    • /
    • 2010
  • 통합수자원관리(Integrated Water Resource Management, 이하 IWRM)는 물관리에 대한 시각을 기존의 지역개발이나 수자원개발이라는 관점에서 생태계 회복 및 종합적인 자원관리라는 관점으로 전환된 개념이다. 통합수자원관리 기법의 적용은 기후변화에 대한 물 안보(Water security) 확보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역할이 기대되고 있다. 국내의 IWRM에 관련한 연구는 수자원의 지속적 확보기술 개발 사업단을 비롯한 다양한 기관과 학술단체에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기후변화에 의한 영향과 이에 대한 물 안보 측면에서 정책 및 관리 측면에서의 제도적인 IWRM 도입은 추진전략의 방향설정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하지만, 기존의 연구에서는 기술의 적용 및 추진 전략체계 등에 있어 많은 연구가 진행되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해당 연구는 2009년 세계 물 포럼에서 제시된 유역수준의 통합수자원관리 가이드라인의 체계를 분석하였다. 해당 가이드라인 Part 1의 '원칙'과 Part 2-1의 '통합수자원관리의 조정을 위한 가이드라인'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유역단위 적용을 위한 기존 관리체계의 개선 및 적용 프로세스, 그리고 관리조직의 구성과 조정 방침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정리하였다. 해당 결과는 기존 우리나라 물관리체계의 문제점을 바탕으로 적용 프로세스 등과 같은 실제 적용전략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활용되었다. 실제 적용 프로세스 도출은 위해 각 국가별 사례의 특징 및 문제점을 각 사례의 비교분석을 통해 수행하였다. 통합수자원관리 방안은 수자원 분야에서의 적응능력을 개선하는 효과를 가진 대안이다. 본 연구의 결과가 통해 앞으로 생산되는 다양한 물관리 기법 및 적용 방안들이 보다 효율적인 IWRM을 실현할 수 있는 자료로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PDF

Design for Mokgamcheon Restoration Considering Integrated Water Resources Management (IWRM) (유역통합관리를 고려한 목감천 복원설계안)

  • Lee, Kil-Seong;Park, Ki-Doo;Oh, Jin-Ho;Kang, Won-G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202-212
    • /
    • 2010
  • 하천복원설계 절차에 따라 현상태의 유역통합관리 대안 적용 전후에 대한 수리학적 특성을 저수량과 평수량에 대해 HEC-RAS 모형과 RMA2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기본적인 수리모형의 계산결과를 바탕으로 목감천 하천설계 구간 4.5 km에 대해 하천의 수리 수문학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목감천에서의 지배유량을 산정하여 Rosgen의 하천분류법에 의해 하천형태를 분류한 후 경험식에 의한 하천복원설계를 수행하였다. 즉, 하천형태의 분류에 따라 하도 평면형 결정 및 하상경사 예측, 경험식에 의한 하도 단면 및 하상경사의 결정, 사행파장에 의한 여울의 위치를 각각 결정하였다. 목감천 하천복원 설계를 위한 구체적인 상세설계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하천복원설계에 필요한 하도 평면형, 하도 종단형, 하도 단면형을 결정하였으며, 상세 설계의 기초자료로 활용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