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structional-design

검색결과 584건 처리시간 0.022초

Performance of Broiler Chickens Fed Low Protein, Limiting Amino Acid Supplemented Diets Formulated Either on Total or Standardized Ileal Digestible Amino Acid Basis

  • Kumar, C. Basavanta;Gloridoss, R.G.;Singh, K.C.;Prabhu, T.M.;Suresh, B.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9권11호
    • /
    • pp.1616-1624
    • /
    • 2016
  • The aim of present experiment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rotein reduction in commercial broiler chicken rations with incorporation of de-oiled rice bran (DORB) and supplementation of limiting amino acids (valine, isoleucine, and/or tryptophan) with ration formulation either on total amino acid (TAA) or standardized ileal digestible amino acids (SIDAA). The experimental design consisted of $T_1$, TAA control; $T_2$ and $T_3$, 0.75% and 1.5% protein reduction by 3% and 6% DORB incorporation, respectively by replacing soybean meal with supplemental limiting amino acids to meet TAA requirement; $T_4$, SIDAA control, $T_5$ and $T_6$, 0.75% and 1.5% protein reduction by DORB incorporation (3% and 6%) with supplemental limiting amino acids on SIDAA basis. A total of 360 dold fast growing broiler chicks (Vencobb-400) were divided into 36 homogenous groups of ten chicks each, and six dietary treatments described were allocated randomly with six replications. During 42 days trial, the feed intake was significantly (p<0.05) reduced by TAA factor compared to SIDAA factor and protein factor significantly (p<0.05) reduced the feed intake at 1.5% reduction compared to normal protein group. This was observed only during pre-starter phase but not thereafter. The cumulative body weight gain (BWG) was significantly (p<0.05) reduced in TAA formulations with protein step-down of 1.5% ($T_3$, 1,993 g) compared to control ($T_1$, 2,067 g), while under SIDAA formulations, BWG was not affected with protein reduction of 1.5% ($T_6$, 2,076 g) compared to $T_4$ (2,129 g). The feed conversion ratio (FCR) was significantly (p<0.05) reduced in both TAA and SIDAA formulations with 1.5% protein step-down ($T_3$, 1.741; $T_6$, 1.704) compared to respective controls ($T_1$, 1.696; $T_4$, 1.663). The SIDAA formulation revealed significantly (p<0.05) higher BWG (2,095 g) and better FCR (1.684) compared to TAA formulation (2,028 g; 1.721). Intake of crude protein and all limiting amino acids (SID basis) was higher in SIDAA group than TAA group with resultant higher nitrogen retention (4.438 vs 4.027 g/bird/d). The nitrogen excretion was minimized with 1.5% protein reduction (1.608 g/bird) compared to normal protein group (1.794 g/bird). The serum uric acid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T_3$ (9.45 mg/dL) as compared to $T_4$ (10.75 mg/dL). All carcass parameters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SIDAA formulation over TAA formulation and 1.5% protein reduction significantly reduced carcass, breast and thigh yields. In conclusion, the dietary protein can be reduced by 0.75% with TAA formulation and 1.5% with SIDAA formulation through DORB incorporation and supplementation of limiting amino acids and among formulations, SIDAA formulation was better than TAA formulation.

대학 교수자의 테크놀로지 내용교수지식(TPACK) 관련 요인: 인식론적 신념과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Factors Related to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TPACK) of College Instructors: Focusing on the Epistemological Beliefs and the Social Support)

  • 양미석;조영선;김지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1호
    • /
    • pp.1-12
    • /
    • 2016
  • 급속한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대학 학습자의 특성 변화에 따라 대학 교수자의 다양한 수업개선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테크놀로지 내용교수지식(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PACK)은 통합 테크놀로지 기반의 수업설계를 위해 교수자가 갖추어야 할 역량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TPACK의 중요도와 실행도에 관한 대학 교수자의 인식을 알아보고, 이와 관련된 변인으로 인식론적 신념,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264명의 교수자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대학 교수자의 TPACK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TPACK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과 사회적 지지 간에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 하위요인 중에서 정서적 지지는 TPACK 중요도 인식에, 정보적 지지는 TPACK 실행도 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 교수자의 TPACK 역량 개발 및 지원을 위한 방안 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으로, 무엇보다도 교수자의 사회적 지지 향상을 위한 교수지원 전략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체제적인 영재교육을 위한 Renzulli의 전교 심화학습 모형(SEM)의 개성방안 (A Systemic Model for the Gifted Education)

  • 박은영
    • 영재교육연구
    • /
    • 제10권2호
    • /
    • pp.1-23
    • /
    • 2000
  • 영재 교육 체제는 영재 각자의 능력과 다양한 흥미와 변화하는 요구를 수용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융통성과 개방성을 지녀야 하며, 우리의 교육 실정에 적합한 교육 발달의 틀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아직 이론적이고 내용적 수준에 머물러 있는 영재 교육의 개념적 모형을 실제 교수${\cdot}$학습 장면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절차적이며 처방적인 체제적 모형으로 전호나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영재 교육 체제를 개발하고자 함니다. 이를 위해 영재 교육의 가장 대표적인 모형인 Renzulli의 전교 심화학습 모형(Schoolwide Enrichment Model: SEM)을 바탕으로 교수체제설계(ISD)를 적용한 결과, 기획${\cdot}$진단${\cdot}$처방${\cdot}$실행${\cdot}$평가의 5단계로 SEM의 체제적 모형을 재구성하였다. 또한 체제적으로 수정된 SEM 모형이 갖는 영제 교수${\cdot}$학습 상황에서의 특징을 6가지로 요약하여 정리하였다. 그러나, 각 학교에 최적한 모형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본 연구에서 제시된 체제적 모형에 바탕해 계속적인 수정과 검토가 있어야 할 것이다.

  • PDF

스마트교육의 속성과 구현 실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fined and Realized Attributes of SMART Education)

  • 윤가영;이효진;박인우
    • 한국교육학연구
    • /
    • 제23권1호
    • /
    • pp.183-204
    • /
    • 2017
  • 스마트 기술의 발달과 다양한 스마트 매체의 등장은 개인의 학습 환경과 학교교육 현장에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이에 정부는 학습 환경의 변화에 발맞추어, 2011년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을 발표했고, 스마트교육이라는 용어를 공식적으로 등장시켰다. 이후 정부를 중심으로 스마트교육을 학교 현장에 도입하고자 다양한 정책이 실행되어 왔으며, 스마트교육에 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스마트교육이라는 개념이 등장한지 6여 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스마트교육은 정체성에 대한 혼란을 안고 있으며, 스마트교육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부재한 상황에서 기술적 측면을 중심으로 정책이 추진되면서 일선현장의 교사들은 스마트교육을 단순히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수업으로 이해하고 있는 경우가 많으며, 이로 인해 스마트교육은 단순히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수업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스마트교육의 이론적 기틀 마련을 위해 선행연구 분석을 토대로 스마트교육의 속성을 정의하였으며, 스마트교육 연구 가운데 실증 및 사례 연구를 검토 분석하여 실제 교육현장에서 스마트교육이 어떤 속성들을 중심으로 구현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선행연구 분석 결과 도출된 스마트교육의 속성은 정보통신기술(T), 열린 학습 환경(E), 자기주도 학습(S), 맞춤형 학습(C), 소셜 러닝(SL)의 5가지로 나타났다. 실증 및 사례연구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실제 교육현장에서 구현되고 있는 스마트교육의 속성은 정보통신기술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기기 및 매체의 활용을 중심으로 나타났으며, 자기주도 학습, 맞춤형 학습은 스마트교육 환경에서 적절히 활용되지 못하고 있었다. 추후 연구를 통해 스마트교육이 가지고 있는 특성을 교육 현장에서 제대로 활용하여 교육적 효과를 제고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NCS 실내디자인 과목의 '주거공간 계획하기' 단원에서 3차원 스케치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수업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Instruction Program using 3D Sketching Software for 'Planning for Residential Space' Unit of NCS-based on Interior Design Subject)

  • 지애희;유현석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27
    • /
    • 2019
  • 최근 실내건축 분야의 실무 현장이나 대학의 실내건축 교육은 3차원 스케치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공간계획능력을 필수적으로 요구하고 있지만, 현재 특성화 고등학교에서의 교육은 수작업성 실기수업과 2D CAD 중심으로 구성되어 산업계의 변화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고 있으며, 학생들의 공간계획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3차원 스케치 소프트웨어 기반 수업 프로그램이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 고등학교 NCS 기반 실내디자인 과목의 '주거공간 계획하기' 단원에서 3차원 스케치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특성화고 수업에 적용하여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3차원 스케치 소프트웨어 기반 수업 프로그램은 PDIE 모형 절차에 따라 준비, 개발, 실행, 평가의 4단계를 거쳐 개발되었으며, 실험설계 모형은 이질집단 사후검사설계를 사용하였다. 실험 처치는 건설 분야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총 9차시의 실내디자인 교과 수업에 적용하였다. 실험 처치 후에는 인지적, 정의적, 심동적 영역에 대한 학업성취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해 개발된 수업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된 3차원 스케치 프로그램을 활용한 수업 프로그램은 인지적, 정의적, 심동적 영역 모두에서 기존의 수작업성 실기 수업보다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웹기반 인성교육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b-Based Humanity Education System)

  • 최수경;전우천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163-178
    • /
    • 2002
  • 오늘날 정보사회와 지식기반 사회의 도래라는 사회적인 변화와 함께, 지식을 생산하고 사용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능력과 정보 및 과학기술소양을 향상시키는 교육에 대한 새로운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교육으로서의 웹기반 교육 (WBI: Web-Based Instruction)은 학교 교육에 좀 더 나은 학습효과, 신속제공성, 시공을 초월한 편의성, 저비용 등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WBI는 지금까지의 면대면 교육에 비해 비용, 시간, 학습의 효율 면에서는 우수하지만 인간 됨됨이를 가르치는 인성교육을 위해서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연구는 웹의 장점을 최대한 살리면서 인성교육이 가능하도록 웹기반 학습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기존의 웹기반 인성교육 시스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본 시스템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학생의 상호작용을 강화하여 학습효과를 높인다. 둘째, 기존 연구에서의 단순 자료 제시 및 안내에서 탈피하여, 인성요소를 개별적으로 지도하지 않고 통합적으로 지도한다. 셋째, 학부모를 참여하도록 유도함으로써 가정과의 연계지도를 가능하도록 한다.

  • PDF

통합교과로서의 게임 프로젝트 교육과정 운영방안 탐구 (A Study of Game Project Curriculum for Integrated Subject)

  • 최승관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111-122
    • /
    • 2016
  • 본 연구는 이질적인 속성을 가진 학문분야들을 통합하여 하나의 교육과정으로 운영하는 프로젝트 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운영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통합교과의 의미는 게임 현장에서처럼 게임 기획, 프로그램, 그래픽과 같은 이질적인 분야의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실제적인 하나의 결과물을 만들어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되는 프로젝트 중심의 교육과정에 대한 운영방안은 국내에서 2008년도부터 A 교육기관에서 진행해온 게임 프로젝트 교육과정을 토대로 실증 및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통합교과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젝트 교육과정에 대한 운영 방안의 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며, 크게 두 가지 형태로 내용을 분류하여 구성하고 있다. 첫 번째는 학생들이 교육과정을 통해 "책임감" 및 "협업 능력"과 같이 학습되어지는 내용들에 대한 부분들을 정리하고 있으며, 두 번째로는 성공적인 프로젝트 교육과정을 운영하기 위해 단계별로 진행되는 팀 구성, 프로젝트 계획, 팀 운영 및 협업, 중간 및 기말 발표, 그리고 평가 부분에 대한 운영 방법론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제안된 운영방안이 통합 교과로서의 프로젝트 교육과정을 운영하는데 있어서 하나의 밑거름 및 가이드라인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수학과 기하영역 학습을 위한 온라인 RPG 교수 게임의 설계 (A Design of Instructional On-Line RPG for The Learning of Geometry in Mathematics)

  • 유승한;이재인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5권3호
    • /
    • pp.321-328
    • /
    • 2001
  • 일반적으로 학습을 게임과 접목한 프로그램들은 대부분 오프라인을 기반으로 제작되어왔다. 하지만 최근 인터넷 기술의 급격한 발달로 인하여 웹을 기반으로 한 학습 프로그램의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개인 학습을 위한 기존의 오프라인 게임을 온라인에 기반한 학습용 게임으로 제작한다면 보다 많은 학생들이 쉽게 교육용 게임을 접할 수 있으며 오프라인에서와는 달리 경쟁 및 보상 개념의 도입이 쉬우므로 학습자들의 학습 의욕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개념을 바탕으로 초등학교 수학과 도형수업을 수준에 맞게 학습할 수 있는 온라인 롤플레잉 게임을 설계하여 보았다. 초등학생을 위한 수학 온라인 롤플레잉게임은(Mathematical On-line Roll playing gam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은 기존의 온라인 롤플레잉게임의 특성을 학습의 요소와 대응시키고 개인의 학습 의욕을 학업 능력치 등으로 나타냄으로써 학습자들의 자발적인 학습을 유도하였다.

  • PDF

암환자를 위한 모바일 앱용 네비게이션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Navigation Program for Cancer Patients using Mobile application)

  • 권근애;정가진;박주미;정미경;서화정;김지윤;김연희;박정윤
    •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8-38
    • /
    • 2015
  • Objectives: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were to develop and evaluate a mobile application for navigation program for cancer patients who might experience some difficulties in obtaining and understanding further schedules, directions due to flooding information at a time and scattered educational materials. Methods: A mobile application was developed an educational mobile app for cancer patients based on a systematic instructional design model called ADDIE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model. The developed application was evaluated by 76 users through a questionnaire of satisfaction. Results: A mobile app contains educational contents for cancer patients, based on their satisfaction, demand and knowledge about cancer education and information services. It contains management of symptoms, management of my schedule, and information about chemotherapy, FAQ, symptoms dangerous enough to contact the hospital, personal history about how to overcome cancer, hospital convenience facilities and education schedule of cancer center. A result of the evaluation of user's satisfaction showed 59.4% responding 'Satisfied' and 27.4% 'Very satisfied'. Conclusion: The personalized information and education contents for cancer patients by using the mobile application was given to cancer patient and then educational outcomes became more effective. The development of the application which persons can use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enables health care providers to acquire the foundation of the patients-oriented educational system. Education satisfaction and knowledge level was increased, after using mobile application.

사용자간 상호작용 지향적 통합 가상교육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User Interaction-Oriented Integrated Virtual Education System)

  • 박경환;문석원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권2호
    • /
    • pp.215-223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월드와이드웹에 기반하면서 사용자간 상호작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통합 가상교육시스템인 WebClass를 설계하고 구현한 방법을 소개한다. 기존 가상교육 시스댐은 사용자간 상호작용 모텔을 제시하지 않고 다양한 상호작용 기능을 포함함으로써 각 기능들이 유연하게 통합되지 못했다 WebClass에서는 다양한 교수 모델을 지원하기 위한 상호작용 모텔을 설정하고 그 모텔에 기반하여 사용자와 가상교육시스템간의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따라서 단순한 기능위주의 통합이 아닌 사용자간의 상호작용을 기본으로 하여 다양한 상호작용 기능을 갖는 통합 가상교육시스템을 개발하였기 때문에 가상교육이 갖는 상호작용의 부족을 최대한 보완하였다. WebClass에서는 사용자간의 상호작용을 위해 비동기 공유 기능과 동기 공유 기능올 모두 지원한다 이들 공유 기능들은 유기적으로 결합하고 유연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서로 통합함으로써 사용자간의 상호작용을 극대화하여 효율적인 가상교육을 지원할 수 있게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