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structional System

검색결과 268건 처리시간 0.033초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수업분석 프로그램 설계 및 구현 -한국어 특성 반영과 교사활용도 증진을 위한 UI설계를 적용하여-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mart Device Application for Instructional Analysis)

  • 강두봉;정주훈;김영환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31-40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수업 개선을 위한 수업분석 프로그램을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으로 설계 및 구현한 데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간소화하고, 서술어가 뒤에 나오는 한국어 특성을 감안하였으며, 입체적 분석을 위해 Flanders의 '언어상호작용 분석법', Tuckman의 '수업분위기 분석법', Mcgraw의 '과업집중 분석법'의 3가지 방법을 통한 분석이 가능하게 설계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 연구들과 달리 위 3가지 특징을 적용하여 교사들이 손쉽게 스스로 자신의 수업을 분석할 수 있는 앱을 개발했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일선 교사들은 다른 교사의 도움이나 전문적 지식 없이도 수업을 분석하고 피드백 할 수 있어 자발적 수업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최근의 수업 환경에 맞는 수업분석 기법 및 음성인식 시스템 등의 연구와 연계하여 수업분석 원리의 정립과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개발에 기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Web Hypermedia Resources Reuse and Integration for On-Demand M-Learning

  • Berri, Jawad;Benlamri, Rachid;Atif, Yacine;Khallouki, Hajar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1호
    • /
    • pp.125-136
    • /
    • 2021
  • The development of systems that can generate automatically instructional material is a challenging goal for the e-learning community. These systems pave the way towards large scale e-learning deployment as they produce instruction on-demand for users requesting to learn about any topic, anywhere and anytime. However, realizing such systems is possible with the availability of vast repositories of web information in different formats that can be searched, reused and integrated into information-rich environments for interactive learning. This paradigm of learning relieves instructors from the tedious authoring task, making them focusing more on the design and quality of instruction. This paper presents a mobile learning system (Mole) that supports the generation of instructional material in M-Learning (Mobile Learning) contexts, by reusing and integrating heterogeneous hypermedia web resources. Mole uses open hypermedia repositories to build a Learning Web and to generate learning objects including various hypermedia resources that are adapted to the user context. Learning is delivered through a nice graphical user interface allowing the user to navigate conveniently while building their own learning path. A test case scenario illustrating Mole is presented along with a system evaluation which shows that in 90% of the cases Mole was able to generate learning objects that are related to the user query.

웹기반 강의지원시스템에 대한 대학교수의 활용도분석 (Utility Analysis on Activating Web-Based Course Support System by Faculty in Universities)

  • 김경우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221-232
    • /
    • 2009
  • 본 연구는 4년제 대학에서 교수자에 따른 웹기반 강의지원시스템의 활용도를 분석하였다. 수집 자료는 수도권 S대학, D대학, K대학의 2009년1학기 강의에서 담당교수 5,023명과 12,733강좌를 대상으로 웹기반 수업지원시스템의 활용도를 서버에 저장된 로그파일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교수자 및 계열별 강좌의 웹기반 수업지원시스템의 활용빈도 및 백분율을 제시하였다. 뿐만 아니라 수업지원시스템의 주요기능의 활용빈도 및 백분율이 분석되었고, 주요기능 중 공지사항, 수업자료, 공유게시판, 자유게시판 이용횟수에 대하여 교수자 및 계열별 이용횟수에 대하여 카이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전체교수자의 62.28%와 전체강좌의 50.3%가 웹기반 수업지원시스템을 활용하였다. 주요 기능의 이용도를 분석한 결과 수업자료공유의 목적이 43.8%로 가장 높았으며, 공지사항이나 토론 기능의 이용은 다소 낮은 편이다. 이는 대부분의 교수자나 강좌에서 웹기반수업지원 시스템을 오프라인수업의 보충적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어 실제적인 운용과 설계가 요구된다.

창의융합역량향상을 위한 프로젝트 수업 모형개발 (The Development of Project-Based instructional Model for Promoting the creative convergent Competency)

  • 김영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2172-2180
    • /
    • 2016
  • 최근 역량중심교육이 강조되면서, 교육 현장에서 프로젝트수업이 활발하게 행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한 수업의 운영체계를 개발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모듈(교과목)과 연계하지 않고, 독립적인 프로젝트를 운영하는 방법, 둘째, 하나의 프로젝트에 단일 전공(학부) 내 모듈을 연계하여 운영하는 방법, 셋째, 하나의 프로젝트에 2개 이상의 전공 모듈을 연계하여 운영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프로젝트수업을 위한 도구를 제시하였다. 프로젝트 수업의 체계적 관리 및 개선을 통한 수업만족도 제고를 위해 프로젝트수업의 사전, 사후검사를 실시한 결과 프로젝트 수업은 창의적 인성과 문제해결 능력의 향상에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1차 년도 대비 2차 년도에 7%향상되었다. 이에 따라 학생들의 학습 성과 달성률이 높아졌다는 평가가 도출되었다.

에듀테크 기반 학교도서관활용교육 설계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a Design Model for School Library-based Instruction under EduTech)

  • 송기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8권1호
    • /
    • pp.31-51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에듀테크 기반 학교도서관활용교육 설계 모형을 제안하는 것이다. 에듀테크 기반 교육은 학습 경계를 확장하고, 학습자 중심의 디퍼러닝을 위한 새로운 수업 환경과 학습 경험을 필요로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체제이론에 기반을 둔 ADDIE 모형을 수정하여 '분석 단계, 사전 학습 및 개발 단계, 수업 운영 단계, 협동수업 평가 단계'로 구성된 4단계 교수 설계 모형(안)을 제시하였다. 이 모형은 플립러닝과 백워드 교수 설계 요소 및 탐구기반학습 요소를 반영하여 학생 맞춤형 자료 개발과 탐구활동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또한, 학습의 범위를 사전 학습, 대면 학습, 추가 학습으로 확대하여, 협동수업의 다양성을 도모하였다. 그리고 에듀테크 환경에서 학교도서관활용교육 활성화 방안을 사서교사의 전문성, 학교도서관 공간, 예산, 표준 교육과정 개발 및 독서교육종합지원시스템 측면에서 제안하였다.

과학교육 모듈 개발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Science Education Modules)

  • 이화국;김창식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5-37
    • /
    • 1990
  • Development of science education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materials have been considered as the matt essential task for the establishment of scince education as an independent discipline, and for the intrenchment of status and identity of colles of Educat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necessity and types for the development of science education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materials. The nature and structure of science education were discussed in connection with school science subjects, science of education, and the structure of science education system. Also essential theory and practice of modular approach for development of curriculum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organize a guideline for the development of scince education modules. The guideline includes development procedures, major contents. and structure of science education modules which is organized by integration of the nature of scince education and concepts of modular approach for curriculum development.

  • PDF

능력 중심 교육의 가치가 공업계 고등학교 교육의 운영 개선에 주는 시사점 (Suggestions for Improvement of Industrial High School Education Based on the Value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 김희필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33-44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plans to improve the industrial high school through the inquiry of Competency-Based Education(CBE). The suggestions are as followings: (1)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the educational contents of industrial high school must be based on job analysis. (2) Instructional objectives must be defined as a performance objective and enabling objectives. (3) Instruction must be individualized in method, the instructional contents must be organized in the unit of module. (4) Evaluation system must be not knowledge based but performance-based. (5) Physical Environment of work shop must be organized based on facilities, equipments and machines abstracted by job analysis. (6) Competency-Based Teacher Education(CBTE) program is required to train competent teachers in practice.

Taiwanese Science Curriculum Reform and Earth System Education

  • Chang, Chun-Yen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과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및 정기총회
    • /
    • pp.3-10
    • /
    • 2003
  • Curriculum reform has been a significant emphasis for most of countries all over the world for the past few years. It was the first time for Taiwan to develop a new Science and Life Technology curriculum Standards (SaLTS) for grades 1 through 9 compulsory educations. The SaLTS features integrated science content with the aim at motivating students to learn science and encouraging students to apply science to their everyday life, which is practically well aligned with the philosophical essence and foundations of Earth Systems Education (ESE). This paper calls attention to the importance of the inclusion of ESE into the forthcoming science curricula of Taiwan and worldwide and provides some exemplary ESE-inspi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modules that have been successfully implemented in the secondary schools of Taiwan. Hopefully, this paper can shed some lights on the future development of the ESE-based science curricula, instructional modules, and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Procedural Self-Instructional Contents and Application on Smart Glasses

  • Yoon, Hyoseok;Kim, Seong Beom;Kim, Nahyun
    • Journal of Multimedia Information System
    • /
    • 제8권4호
    • /
    • pp.243-250
    • /
    • 2021
  • Instructional contents are used to demonstrate a technical process to teach and walkthrough certain procedures to carry out a task. This type of informational content is widely used for teaching and lectures in form of tutorial videos and training videos. Since there are questions and uncertainties for what could be the killer application for the novel wearables, we propose a self-instruction training application on a smart glass to utilize already-available instruction videos as well as public open data in creative ways. We design and implement a prototype application to help users train by wearing smart glasses specifically designed for two concrete and hand-constrained use cases where the user's hands need to be free to operate. To increase the efficiency and feasibility of the self-instruction training, we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 wearable killer application by integrating a voice-based user interface using speech recognizer, public open data APIs, and timestamp-based procedural content navigation structure into our proof-of-concept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