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quiry Learning

검색결과 641건 처리시간 0.032초

중학교 자유학기제에 적합한 과학 탐구 중심의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cientific Inquiry-based STEAM Education Program for Free-Learning Semester in Middle School)

  • 정현도;이효녕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1권3호
    • /
    • pp.334-350
    • /
    • 2017
  • 이 연구의 목적은 첫째, 자유학기제에 적합한 과학 탐구 중심의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둘째, 자유학기제 교육과정의 중학생에게 적용하여, 학생들의 과학, 기술/공학, 수학에 대한 흥미, 자기효능감 및 관련 진로 선택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데 있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문헌 조사와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개발의 방향을 과학 탐구 중심으로 정하고 프로그램 주제 및 개발 모형을 선정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 초안의 적절성을 위해 2회에 걸쳐 예비 적용과 전문가 집단의 컨설팅을 통해 수정 보완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2015년부터 자유학기제가 전면 시행된 광역시 소재 G중학교 1학년 92명이며, 프로그램 적용 전 후에 학생들에게 나타나는 흥미, 자기효능감 및 진로 선택 변화를 알아보고자 단일집단 사전 사후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적용은 2015년 10월 첫째 주부터 10월 셋째 주까지 진행되었으며 사전 검사 및 사후 검사는 프로그램 처치 전 후 1주일 이내에 각각 실시하였다. 또한 학생들의 구체적인 반응을 알아보고자 14명을 선택하여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Analysis)-설계(Design)-제작(Build)-평가(Assessment)의 4단계로 구성된 ADBA 모형을 적용하여 'RC 비행기' 주제의 융합인재교육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사에 기반을 둔 체계적 전문적 프로그램으로 학생들의 학습 동기를 유발한다는 점과 능동성을 갖춘 자기주도적 학습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둘째, 개발된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은 자유학기제 교육과정 내 중학생의 과학, 기술/공학, 수학에 대한 흥미, 자기효능감, 관련 진로 선택의 모든 정의적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미쳤다. 흥미 영역은 과학, 기술/공학, 수학 교과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변화에 기인하며, 자기효능감 영역은 과학, 기술/공학, 수학 교과에 대해 학생들의 성공적인 경험을 통해서 상승하였으며, 진로 선택 영역은 과학, 기술/공학, 수학이 실생활에 유용하고 해당 직업을 가지면 재미있을 것이라는 인식의 변화로 상승하였다. 이 연구로 개발된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은 자유학기제 정책의 교육 목적에 적합하며 자유학기제와 융합인재교육의 접목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중학생들의 '행복교육'과, '창의 융합형 인재' 양성에 기여할 것이다.

2015 개정 중학교 가정 교과서 지속가능발전교육(ESD) 연관성 및 탐구 성향 분석: '청소년기의 소비생활' 단원을 중심으로 (Analysis of the Relevance to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he Inquiry Tendency of 2015-Revised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s: Focusing on the 'Adolescence Consumption Life' Unit)

  • 김샛별;김예슬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61-177
    • /
    • 2020
  • 본 연구는 2015 개정 중학교 가정 교과서의 '청소년기의 소비생활' 단원을 지속가능한 발전(ESD)의 측면에서 분석해 ESD와의 연관성을 찾고, Romey 분석을 통해 '청소년기의 소비생활' 단원의 탐구 성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ESD와 관련된 평가 기준을 정리하여 환경적 관점(천연자원, 기후변화/재해예방 및 완화, 지속가능한 농촌과 도시), 경제적 관점(기업의 지속가능성, 시장경제, 빈부격차 완화), 사회·문화적 관점(인권/평화/인간보호, 문화적 다양성과 이해, 건강/안전, 시민참여, 국가경영)으로 11개의 핵심 내용을 가진 분석틀을 설정하였다. 설정한 분석틀을 바탕으로 중학교 가정 교과서 12종의 '청소년기의 소비생활' 단원의 학습 내용을 분석하였고, Romey의 탐구적 교과서 분석방법에 따라 본문문장, 사진·삽화·표·그래프, 활동과제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경제적 관점의 '시장경제', '국가경영'의 핵심 요소를 모든 교과서가 본문문장, 사진·삽화·표·그래프, 활동과제의 3가지 형태로 다양하게 제시하고 있었으나, 건강/안전, 시민참여, 지속가능한 농촌과 도시, 기업의 지속가능성 핵심 내용의 내용 요소는 상대적으로 부족해 ESD의 다양한 내용을 다루는 교과서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보았다. 또한 Romey 분석 결과 대부분의 교과서에서 본문문장, 사진·삽화·표·그래프는 권위적 성향으로, 활동과제의 경우 탐구적 성향으로 나타났다. 청소년들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소비 가치관 형성과 행동 실천을 위해 보다 다양한 ESD 관련 내용을 가정과 수업에 반영하고, 탐구적 성향의 학습활동을 수업에 창의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가정과 ESD 수업 모델을 개발해 가정과 교육 현장에서 실천하여 효과를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Inquiry of Students' Attitude towards Group Discussion and Presentation in a Course of Mathematics Education

  • Kim, Seong-A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8권4호
    • /
    • pp.307-319
    • /
    • 2014
  • This research is a survey study on students' attitude toward a class employing small group discussion and presentation by the method of free-listing.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students who registered in the course of Mathematical Logics and Writing during 2011 and 2014. Senior students who took the course of theory of mathematics education previously usually registered the course. The class for this course used to be designed as a class adopting group discussion and presentation. Main theme of this research is not to demonstrate some theories or hypothesis on teaching and learning, but rather to inquire students' attitude toward a class employing the constituents first and then through analyz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to find practical ideas and strategy for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class which brings cultivation of students' understanding, communication and moreover writing in mathematics. Since the survey was given in the $8^{th}$ week of this class, participants of this research could be expected to have more concrete idea for positive or negative aspects of the classes employing these constituents. We compared both research results of 2011 and 2014 to view any changes in students' attitude. Research results are follows. Students began to think that group discussions and presentation bring out better learning to them. Not to give students psychological burden of discussion and presentation, instructors need to provide comfortable atmosphere through arranging suitable grouping and enough time for discussion. Moreover, simple evaluations criteria for group discussions and presentation should be well structured and more concrete guides for them are required to make students to feel comfortable and to concentrate on the given subject for discussion.

식물관찰 활동 및 관찰일지 쓰기를 활용한 수업에 대한 예비초등교사들의 반응 분석 (Analysi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Responses to Learning using Plant-observation Activities and Observation Journal Writing)

  • 김흥태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4권4호
    • /
    • pp.458-475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ponse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o the plant learning using plant-observation activities and observation journal writings. Thirty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Before and after practicing plant observation and observation journal writing for 11 weeks, pre-service teachers' interest to plants, attitude to plant-observation teaching, and plant-observation teaching efficacy were examined using a questionnaire. Also, the observation journals, reflective journal writings, and interviews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their qualitative change. In addition, the pre-service teachers were classified by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cluster analysis with respect to attitude to plant-observation teaching and observation journal writing, and teaching efficacy. While the pre-service teachers showed significant increase of the interest to plants and plant-observation teaching efficacy, and positive change of the attitude to plant-observation teaching, there was a little difference between gender with more positive effects on females. The positive attitude changes of pre-service teachers included positive recognition about plants and the diversity, increased interest and curiosity about plants, careful observation about nearby plants, and independent learning and positive inquiry with plants. In terms of teaching efficacy, they showed positive change such as enjoyment and satisfaction with plant-observation, confidence as elementary teachers in the future, and recognition about the importance of elementary teachers for plant education. However, the changes were different among the groups classified by attitude to plant-observation teaching and observation journal writings, and plant-observation teaching efficacy.

고등학교 생물과 교육 과정의 변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Biological Science Curriculum for High Schools in Korea)

  • 정완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5-27
    • /
    • 1978
  • First: The common points from "syllabus" period to that of "Course of study" are as follows: 1) with no introduction explained. the "Syllabus" or "Course of study" was made to be completed in accordance with the allotment of time (unit). 2) To teach how to rear animals and grow plants, and to make specimens with collected samples formed a great significant field of learning, which meant giving more emphasis on learning classification, life-centered education and basic field of learning than discipline-centered education. 3) The reason why the field of applied biology was emphasized on was that both periods had ideals in Common to educate persons more necessary and useful to the society than to major the pure academic field. 4) Both periods mainly dealt with problems of diseases, and physical health discussed all over the world in 1950's which accounts for necessity of the society to free from ignorance. Second; "The first curriculum period" and "the second one" are observed as follows: 1) The former took the unit (credit) system for the first time. It tried to lay down the conceptual hierarchy with "Biology I" and "II" divided, while "Biolgy I" is better systematized than "Biology II". 2) Discipline-centered education and structure fo knowledge are put more emphasis on especially in "the 2nd curriculum period". 3) And also in this period are included serious problems such as urgency of pollution, importance of nature conservation, population due to the development of industry. 'Third; With the recent curriculum laid down, experiments and teaching contents of subjects are put in harmony with each other and accordingly the process of Inquiry is laid emphasis on. Fourth; It is necessary to set up conceptual sequence and scope effectively in the curriculum.

  • PDF

지구과학 학습을 위한 멀티미디어 학습 자료 데이터베이스 개발 (Development of Multimedia Database for Earth Science Learning)

  • 이원국;김여상;김칠영;김종헌;김희수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16-127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및 고등학교의 지구과학 내용에 대한 멀티미디어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학습프로그램은 HTML 형식이며 텍스트, 사진, 그림, 동영상 등 다양한 내용물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크게 학습 내용, 용어사전, 생활 과학, 탐구 활동, 영상 자료, 형성 평가 등 6가지 데이터베이스 요소들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멀티미디어 학습 프로그램을 교사와 학생들에게 적용해본 결과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 프로그램은 현재 공주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인터넷 흠페이지에서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

  • PDF

가정과교육에서의 창의.인성 수업 모델 개발 - '옷차림과 자기 표현' 단원을 중심으로 - (The Development Teaching Models for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in Home Economics Education - Focusing on the Unit 'Clothing and self-expression'-)

  • 박미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5-56
    • /
    • 2012
  • 본 연구는 가정과교육의 정체성과 본질을 바탕으로 가정교과에서의 창의 인성 교육의 특징과 요소를 탐색하여 도출하고, 가정교과의 창의 인성 수업 모델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먼저 문헌 고찰을 통해 가정과교육에서의 창의성과 인성 교육의 전제와 특징을 탐색하고, 가정과교육에서의 창의 인성 교육요소를 18개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가정과교육에서 창의 인성 교육의 전제와 특징, 창의 인성 교육 요소를 발현하기에 적합한 가정과의 창의 인성 수업 모델로서 실천적 문제해결학습 모형, 창의적 문제해결학습 모형, 탐구학습 모형, 역할놀이(체험학습) 모형을 '옷차림과 자기 표현' 단원에서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창의 인성 교육이 가정과교육의 본질과 부합되는 개념임을 확인하고, 가정과에서의 창의 인성 수업의 기초를 마련한데 의의가 있다. 앞으로 가정과에서의 창의 인성 교육에 대한 철학적 논의의 활성화, 가정과교육에서의 창의 인성 교육 요소에 대한 다양한 검증, 다양한 창의 인성 수업모델 제시, 창의 인성 수업 후 학생들의 변화를 살피는 연구가 필요하다.

  • PDF

교과 연계성 강화를 위한 학습주제 중심의 통합 정보활용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Thematically Integrated Information Literacy Curriculum for Strengthening its Relationship with Curricula)

  • 송기호;김태수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41-64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학습주제의 연결망 구조와 스캔 및 클러스터 분석을 통해서 추출한 정보활용교육의 표준 학습주제를 가지고, 교과 교육과정과의 연계성을 갖춘 통합 정보활용교육과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개발한 통합 정보활용교육과정의 실제 운영을 위한 교수-학습모형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활용교육과 교과 교육과정의 공통성 분석을 위해서 간학문적 성격을 갖는 정보활용교육의 학습주제를 분석기준으로 활용하였다. 공통성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특징을 발견하였다. 첫째, 제1학습주제(기초 학습기술과 인성 영역)가 속한 정보사회, 도서관, 정보기술, 협력기술 영역은 교과 교육과정과 연계성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정보활용교육의 핵심 영역인 제2학습주제(정보문제 해결능력 영역)는 교과 연계성이 낮게 나타났다.

SATIS 14-16 생물영역 단원의 학습목표 분석 (An Analysis of Learning Objectives of Biology Contents in SATIS 14-16)

  • 강순자;정영란;이선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25-331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learning objectives of biology contents in SATIS 14-16. Modified the 5th NAEP three dimentional science assessment framework was used to analyze learning objectives of SATIS 14-16. This study will be a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STS programs in KOREA.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In a content dimension, 'structures and functions of organism'(63.9%) was the most frequently found, followed by 'the nature and our Iives'(22.1%), 'a continuity of Iife'(9.4%) and 'our surrounding Iives'(4.7%). 2. In a cognitive dimension, an understanding of scientific knowledge(32.7%) was the most frequently found, followed by an improvement of inquiry ability(25.6%), attitude(24.7%), and scientific knowledge and its application(17.0%). 3. In a context dimension, a personal context(32.8%) was the most frequently found, followed by a social context(27.3%), a scientific context(20.0%) and a technological context(20.0%). 4.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behavior when each content was compared. In 'surrounding lives' and 'a continuity of life', an understanding of scientific knowledge was the most frequently found. In 'structures and functions of organism' and 'the nature and our lives', proportions of four behavioral catagories were relatively even. 5.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context when each content was compared. In 'surrounding lives', scientific context was the most frequently found, whereas in 'structures and functions of lives', individual context was found the most frequently. In 'a continuity of life', scientific and social context were found more frequently than others. In 'the nature and our lives', social context was the most frequent one.

  • PDF

성격유형별 소집단 협동학습이 유아의 과학활동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mall Group's Cooperative Learning According to Personality Types on Young Children's Science Activities)

  • 강상;신지혜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201-220
    • /
    • 2013
  • 본 연구는 협력적인 탐구과정이 요구되는 과학활동에 초점을 맞추어, 성격 유형별 소집단과학협동학습이 유아의 과학적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 J시에 소재한 S유치원과 J유치원 만 5세를 대상으로 K-ABC 인지능력 검사와 MMTIC 성격유형 검사를 통해 각 기관별로 15명씩 총 30명을 EI지표에 따라 E(외향성)집단과 I(내향성) 집단의 성격유형 동질집단과 EI 혼합집단인 이질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자료 분석은 과학적 태도는 공변량분석(ANCOVA), 과학적 지식 발달은 빈도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소집단 협동학습에서 성격 유형별 동질집단과 이질집단 간 과학적 지식발달에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소집단 협동학습에서 성격 유형별 동질집단과 이질집단 간과학적 태도에도 차이가 나타났다. Scheffe 사후검증을 실시한 결과 E동질집단과 I동질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I동질집단과 이질집단, E동질집단과 이질집단 간에는 차이가 없었고, I동질집단이 과학적 태도 향상에 가장 효과적인 집단구성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