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organic compounds

검색결과 398건 처리시간 0.033초

뽕국수 제조에서 뽕잎의 조건이 뽕국수의 물리적 성질과 화학성분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ulberry Leaf on Physical Properties and Chemical Contents of Mulberry Leaf Noodle)

  • 김현복;양성열;이용기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6
    • /
    • 1996
  • 1995년 봄(5월 13일, 5월 26일, 6월 9일)과 1995년 가울(8월 21일, 9월 4일, 9월 18일)에 각각 채취한 개량뽕 품종의 뽕잎을 자연건조한 것, 뽕잎을 3분동안 찌는 것, 데치는 것 등 전처리를 하여 건조시킨 후 만든 뽕잎가루를 밀가루 무게의 5, 10, 20% 섞은 후 뽕국수를 제조하여 그 물리적 특성 및 유용성분의 함량변화를 조사하였다. 생엽에 대한 건조분말의 수율은 20% 정도이며, 뽕국수 이용에 적당한 분말도 100mesh를 통과하는 수율은 6% 내외이다. 관능검사 결과 봄 때 뽕가루를 밀가루 대비 10% 혼합하였을 때 가장 양호하였다. 시기별 뽕잎중 rutin의 함량은 뽕잎의 채취시기가 늦을수록 낮았다. 5월 13일 3분찜의 경우 319mg/100g DW인데 비해 5월 26일과 6월 9일의 처리에는 111mg/100g DW, 43mg/100g DW으로 각각 감소하였다. 찌거나 데쳐서 분말화하였을 경우 rutin 함량은 자연건조한 뽕잎분말에 비해 각각 63%, 17%에 불과하였다. 시기별 뽕잎중의 ${\gamma}$-aminobutyric acid(GABA) 함량도 채취시기가 경과할수록 감소하여 5월 13일 0.277mg/g FW에 비해 6월 9일에는 그것의 60%까지 감소하였다.

  • PDF

목재의 기상열화 방지에 관한 최근의 연구 동향 (Current Researches on the Protection of Exterior Wood from Weathering)

  • Kim, Yeong-Suk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5호
    • /
    • pp.449-470
    • /
    • 2018
  • 본 총설에서는 외부에 사용되는 목재를 풍화인자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실행되고 있는 최근의 연구동향에 대해 조사 분석하였다. 주요 기상열화 인자로부터 목재의 표면 보호를 위한 연구 동향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목재보존제로 사용된 크롬, 구리 등의 무기화합물이 목재를 기상열화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ACQ처리 목재의 표면에 wax나 oil같은 소수성물질과 UV 흡수제, HALS(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s) 등을 방부목재 표면에 precoating하면 기상열화 저항성을 강화할 수 있다고 보고되었다. 또한 방부목재 표면에 불투명 도막형성의 페인트/스테인 및 반투명스테인등이 기상열화방지에 대한 시너지 효과가 높힐수 있다는 보고들이 다수 있었다. 또한 방부목재의 표면보호를 위한 재도장 처리의 필요성이 시사되었다. 투명성의 도막에 UV방지를 위한 첨가물로서 미세입자의 ZnO 또는 $TiO_2$, Co, Cr, Fe, Mn, Ni과 Ti 등의 금속이온, Tris-resorcinol triazine derivatives, triazine 및 Benzotriazole과 같은 UV흡수제 등이 소개되었다. Methylation, acetylation 또는 alkylation 등과 같이 화학적으로 개질된 경우에는 이로 인한 중량증가가 높은 경우 기상열화 방지효과가 상승된다는 연구들이 소개되었다, 열처리목재의 기상열화 저항성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상반되는 연구보고 들이 있었고, UV저항성을 지닌 도장의 필요성이 강조된 보고가 있어 보다 심도 있는 연구의 필요성이 시사되었다.

양식산 및 자연산 굴(Crassostrea gigas, Ostrea denselamellos)의 성분 특성 (Food Component Characteristics of Cultured and Wild Oysters Crassostrea gigas and Ostrea denselamellos in Korea)

  • 이영만;이소정;김선근;황영숙;정보영;오광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586-593
    • /
    • 2012
  • To identify the food component characteristics of seven oysters(four cultured oysters and two wild oysters Crassostrea gigas and one dendely lamellated oyster Ostrea denselamellos Korean name beotgul) in Korea, the proximate, fatty/amino acid, mineral compositions, texture, color, chemical and taste compounds were investigated. The proximate composition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cultured and wild oysters, whereas beotgul had lower levels of crude protein, ash and lipid content, and a higher carbohydrate content. The amino nitrogen contents of the three main types were 232.8-258.2, 160.5-213.9, and 218.5 mg/100 g, respectively, and the salinities were 1.5-1.7, 1.5-1.8, and 0.9%, respectively. Regarding the muscle texture, the shearing forces were 95-114, 105-132, and 170 g, respectively. Amounts of total amino acids of cultured, wild oysters and beotgul were 9,004-10,198, 8,165-8,942, and 7,767 mg/100 g, respectively. The major amino acids were aspartic acid (Asx), glutamic acid (Glx), proline, alanine, leucine, phenylalanine, lysine and arginine. Regarding inorganic ions, beotgul had much lower Fe and S contents than the cultured and wild oysters. The major fatty acids of cultured and wild oysters were 16:0, 18:0, 16:1n-9, 18:1n-9, 22:1n-9, 16:4n-3, 20:5n-3, and 22:6n-3, and there was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 two. Beotgul had a higher polyenes ratio, i.e., 20:5n-3, and a lower monoenes ratio than the cultured and wild oysters. The free amino acid contents of cultured, wild oysters and beotgul extracts were 1,444-1,620, 1,017-1,277, and 1,144 mg/100 g, respectively, and the major free amino acids were taurine, glutamic acid, glycine, alanine, tryptophan, ornithine, and lysine. There was a little difference in the glycine, tryptophan, ornithine, and arginine contents.

음식쓰레기 퇴비화 과정에서 석탄회 첨가 효과 (Effects of Coal Fly Ash on Composting Process of Household Garbage)

  • 성순희;김우성;서정윤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82-288
    • /
    • 1996
  • 가정에서 발생되는 음식쓰레기의 높은 수분함량 때문에 원활한 퇴비화가 어렵다. 따라서 본 논문은 가정 쓰레기 퇴비화 수분조절제로서 석탄회의 이용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퇴비화기간동안 최고 상승온도는 봄철 $35^{\circ}C$, 여름철 $47^{\circ}C$ 그리고 겨울철 $43^{\circ}C$이었다. 2. 질량은 60일후 70.5% 감소되었으며, 부피는 평균 74.7% 감소되었다. 3. pH의 변화는 3계절 모두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며, 60일 후의 pH는 8.5 였다. 4. 수분함량은 퇴비화 초기에 감소 경향을 보인 후 점차 거의 일정하였다. 60일 후 퇴비의 수함량은 봄철 49.7%, 여름철 33.9%, 겨울철 56.5%였다. 회분함량은 퇴비기간동안은 큰 변화가 없었다. 5. 무기성분 함량은 $P_2O_5$ $0.06{\sim}4.03%$, CaO $0.01{\sim}2.87%$, MgO $0.18{\sim}1.43%$, $K_2O$ $0.39{\sim}2.03%$였다. 각종 중금속 함량은 Hg $ND{\sim}14.08{\mu}g/kg$, Cd $ND{\sim}0.80mg/kg$, Cu $4.99{\sim}28.95mg/kg$, Cr $ND{\sim}242.62mg/kg$, Pb $ND{\sim}20.24mg/kg$, Zn $ND{\sim}59.87mg/kg$이었다.

  • PDF

두과작물 근류균에 대한 생리 및 생화학적 연구 -I. 근류균 균주의 특성과 접종시험-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studies on legunme nodule bacteria, Rhizobia -I. Some charateristics of isolated strains of Rhizobia and inoculation test on soy bean.)

  • 임선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3권1호
    • /
    • pp.51-57
    • /
    • 1970
  • 두과작물과 그 근류균은 특수한 상호관계에 있으며 복잡한 과정을 거쳐 분자질소의 고정작용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기주식물의 종류, 품종에 대한 근류균종 및 균주의 접종친화성은 특이하여 근류형성성과 질소고정력이 다르므로 유효균주를 선발하여 접종의 효과를 기대하게 된다. 본 실험은 우리나라에 재배 또는 야생하는 두과작물 가운데 대두와 사료작물인 alfalfa, clover류, lespedeza, birdfoot trefil의 근류균을 수개지역의 여러품종(대두)에서 채집 분리하여 균의 형태, 배양 및 생리적인 성질등을 조사 비교하여 동정하고 대두 근류균을 대두에 접종하여 근류형성성을 조사 하였다. 분리한 균종과 균주는 형태와 배양특성 및 생리적인 성질로 분류되어 대두 근류균 56과 사료작물에서 11균주를 분리 선발하였다. 각 균주는 탄수화물의 이용성, 유기산생산성, hydrogenase 활성 및 indole 초산 생리력에 많은 정도의 차이가 있었으며 이성질을 근류균 활성과 관련하여 고찰하였다. 근류균의 생육에 끼치는 몇가지 질소화합물의 영향을 시험한 결과는 화합물의 종류와 농도에 따라 달리 나타났으며 asparagine과 glutamine이 가장 유효하였고 hydroxylamine, hydrazine, nitrite azide, thiourea등은 $1{\times}10^(-2)M/l$의 농도에서 균의 발육을 심히 저해하였다. 대두 품종 "장란백목"에 대한 25균주의 접종시험결과는 20균주가 상이한 정도로 근류를 형성하였고 5균주가 근류를 형성하지 않았으며 이 가운데 한 균주에 의하여는 뿌리의 발육이 억제 변형되어 있었다. 이로써 대두품종에 대한 근류균 균주의 근류 형성 친화성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1969년도 문교부 연구조성비의 지원으로 수행하였으므로 이에 당국에 감사하며 또한 연구의 진행에 많은 격려와 고견을 베풀어주신 이춘영 교수, 시료채집에 적극 협조하여주신 김동암, 한상기 교수와 작물시험장 박근용 과장에게 감사의 뜻을 표합니다.

  • PDF

농경지 토양에 집적된 인산의 생물이용가능성 평가 (Evaluation of Bioavailability of Phosphorus Accumulated in Arable Soils)

  • 이슬비;이창훈;김건엽;이종식;소규호;김상윤;김필주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293-299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화학비료와 퇴비를 과다하게 투입하여 인산의 집적 및 유출 위험성이 높은 양파-벼 재배지와 시설재배지의 인산 집적 특성과 인산가수분해효소를 이용한 집적 인산의 수계에서의 생물이용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수용성 인산 중 많은 부분의 유기태 인산이 주변 수계에 유출될 위험성이 높았지만 그동안 제대로 평가되지 못했다. 본 연구결과에서 alkaline phosphomonoesterase와 phosphodiesterase에 의해 이모작토양에서 DUP의 12, 24%가 시설재배지 토양에서 DUP의 18과 44%가 분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양에 축적된 유기태 인산중 orthophosphate monoester와 diester가 주로 인산분해효소에 의해 분해되어 농경지 주변 수계로 유출시 생물 이용 가능성이 큰 것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수계에서 인산의 거동을 이해할 때 유기태 인산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필요할 것이다.

공장폐수중(工場廢水中) 유독성분(有毒成分)의 미생물학적(微生物學的) 처리방법(處理方法)에 관(關) 연구(硏究) - 수은함유량(永銀含有量)과 미생물(徵生物)의 생육(生育)과의 관계(關係)(제1보(第1報)) - (Studies on the Microbiological Treatment of Hazardous Compounds in Waste Waters from Chemical Plants - (I) Relationship between the Content of Mercury Compound and Microbial Growth -)

  • 이지열;장현기
    • 한국균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21-25
    • /
    • 1975
  • 울산지역(蔚山地域)의 화학공장(化學工場)들의 폐수(廢水)가 흐르고 있는 곳의 4개지점(個地點)(four stations)의 수중총수은함유량(水中總水銀含有量) 및 미생물(微生物) 분포(分布)를 각각 조사하였다. 이 조사(調査)의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총수은함유량(總水銀含有量)은 불검출(不檢出)로부터 0.075ppm이고, 평균 0.03ppm인데 A지점(地點)이 가장 많았다. 2) 미생물(微生物)의 분포(分布)로는 Bacteria, Mucor, Aspergillus Cladosporium, Trichothecium(T. roseum) 각(各)1종(種), Penicillium 4종(種), Sterile hyphae 3종등(種等) 12균주(菌株)을 분리(分離)하였다. 3).이들 미생물(微生物)의 생육정도(生育程度)의 수은함유량(水銀含有量)과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무기수은(無機水銀)에 있어서는 10ppm까지에서 대부분 생육(生育)하였으며, 그중 Pe. sp. No.1은 50ppm에서도 생육(生育)하였다. 유기수은(有機水銀)에 있어서는 2ppm에서 어느정도 생육(生育)에 저해(阻害)를 받는것 같이 보였다.

  • PDF

홍삼에 함유된 갈변물질 및 산성다당체에 대한 연구현황 (Current Studies on Browning Reaction Products and Acidic Polysaccharide in Korean Red Ginseng)

  • 이종원;도재호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0권1호
    • /
    • pp.41-48
    • /
    • 2006
  • 우리나라의 건강기능식품법에서는 인삼 또는 홍삼의 기능성이 자양강장, 면역증진 및 원기회복으로 한정되어 있다. 지금까지 홍삼에 함유된 갈변물질과 산성다당체에 대해서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는데, 갈변물질은 항산화 활성과 면역증진기능, 그리고 산성다당체는 소화기관암의 증상개선, 면역기능 증진, 혈압개선, 혈액응고방지, 조혈기능, 알콜해독(간기능 회복, 고지혈 개선 등) 등의 효능이 우수하다고 보고되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현재 인삼과 홍삼의 3가지 기능성외에 항산화활성이라든지 그 외 더 많은 기능성을 추가할 필요성이 있으며, 또 홍삼에 함유되어 있는 활성성분을 적극적으로 이용하여 기준규격형제품은 물론이고 질병위험감소에 대해서 기능성을 표시할 수 있는 개별인정형 제품이나 나아가서는 일반 또는 전문의약품으로 개발하여 홍삼의 이용 가능성을 극대화시키고 국제적으로 경쟁력이 있는 한국인삼으로 그 위상을 제고시켜야 한다고 생각한다.

Ormocer 계열 수복재의 물성에 관한 연구 (SELECTED MECHANICAL PROPERTIES OF ORMOCER RESTORATIVE MATERIALS)

  • 이동수;정태성;김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62-370
    • /
    • 2002
  • 최근 20년간 다양한 종류의 심미 수복재가 개발되었고, 특히 지난 5년 동안에는 그 수에 있어서 극적인 증가추세를 보였다. 최근 들어, ormocer라는 새로운 종류의 광중합형 수복재료가 소개되었는데, 화학 분야에서는 이미 오래 전부터 알려져 있던 성분으로, 광학렌즈 등의 표면경화제로 이용되어 오다가 최근 치과용 수복재에 도입되었다. 'Ormocer' 란 'Organically Modified Ceramics'의 약자로 'Ormosils' (Organically Modified Silicates)로도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새로운 수복재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계통의 광중합형 수복재들(Z-100, Surefil, Tetric Ceram, Dyract AP)과 ormocer(Admira)를 압축강도와 굴곡강도 측면에서 비교 평가하고, 구강내 환경과 유사한 조건에서 수분흡수가 그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할 목적으로 시도되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1일 후에 측정한 Admira의 압축강도는 Surefil보다는 낮았으나, 다른 재료들과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2. 1일 후에 측정한 Admira의 굴곡강도는 다른 4종의 재료에 비해서 낮았다(p<0.05). 2일부터는 3종의 복합레진에 비해서 낮았다(p<0.05). 3. 실험기간(30일) 중 hybrid composite resin군(Z-100, Tetric Ceram)과 packable resin(Surefil)군 간에는 압축강도와 굴곡강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4. 실험에 사용된 5종의 수복재 모두 압축강도와 굴곡강도가 2일까지 증가하다가 7일부터 감소하였다(p<0.05). 5. 각 재료의 시간에 따른 압축강도와 굴곡강도의 변화양상은 통계적으로 유사하였다(p>0.05).

  • PDF

Auger 반응기에서 제조한 다시마 유래 열분해오일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Pyrolysis Oils from Saccharina japonica in an Auger Reactor)

  • 최재욱;손덕원;서동진;김화용;이윤우
    • 청정기술
    • /
    • 제24권1호
    • /
    • pp.70-76
    • /
    • 2018
  • 오거 반응기를 이용하여 해조류 바이오매스인 다시마로부터 열분해 오일 제조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열분해 오일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주요 공정 변수인 열분해 온도 및 오거 컨베이어 속도의 최적 조건은 각각 $412^{\circ}C$, 20 rpm이었으며, 이 때 열분해 오일의 최대 수율은 32 wt%이었다. 낮은 탄소 함량 및 높은 산소 함량으로 인해, 다시마 유래 열분해 오일의 발열량($23.6MJ\;kg^{-1}$)은 기존 화석연료의 약 60% 이었다. 열분해 오일의 GC/MS 분석 결과, 1,4-Anhydro-d-galactitol, dianhydromannitol, 1-hydroxy 2-propanone, isosorbide 등이 주요 화합물로 확인되었다. 촤는 탄소 함량이 낮고 산소함량이 높아 발열량($13.0MJ\;kg^{-1}$)이 낮으며 다량의 무기 성분 및 황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