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hibiting rate

검색결과 234건 처리시간 0.039초

Acer tegmentosum Maxim Prevents Bone Loss by Inhibiting Osteoclastogenesis and Promoting Osteoblast Mineralization in Ovariectomized Mice

  • Oh, Tae Woo;Park, Kwang-Il;Do, Hyun Ju;Kim, Kyungho;Yang, Hye Jin;Cho, Won Kyung;Ma, Jin Yeul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6권1호
    • /
    • pp.83-89
    • /
    • 2020
  • Osteoporosis is a worldwide disease leading to significant economic and societal burdens globally. Osteoporosis is caused by unbalanced bone remodeling between the rate of osteoclast bone resorption and osteoblast bone formation. Acer tegmentosum Maxim (AT) is a traditional herbal medicine containing multiple biological activities such as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purposes. However, its role in osteoporosis has not been fully studied. Therefore, we investigated whether AT has a potent inhibitory effect on osteoporosis and its mechanism through a systemic evaluation in ovariectomized (OVX) mice. OVX mice were orally administrated with the AT at doses of 50, 100, and 200 mg/kg for 10 weeks. Histological images and histomorphometry analyses were performed by H&E and Toluidine blue satin, and the expression levels of receptor activator for nuclear factor-kB ligand (RANKL), nuclear factor of activated T cells cytoplasm 1 (NFATc1), c-Fos, and matrix metalloproteinase 9 (MMP9) related to the osteoclast differentiation were investigated using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Administration of AT prevented bone loss and the alternations of osteoporotic bone parameters at the distinct regions of the distal femur and spongiosa region in OVX mice. Further, administration of AT increased periosteal bone forma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Meanwhile, AT inhibited not only the expression of NFATc1 and c-Fos, which are two major regulators of osteoclastogenesis but also reduced bone resorbed encoding expression of MMP9 and RANKL. Our results indicated that administration of AT prevented bone loss and the alternations of osteoporotic bone parameters at the distinct regions of the distal femur and spongiosa region in OVX mice. Also AT has the bone protective effect through the suppression of osteoclast and promotion of osteoblast, suggesting that it could be a preventive and therapeutic candidate for anti-osteoporosis.

식물유래 생리활성물질의 병원성 미생물 및 반추위 미생물 활성에 대한 영향 (Effects of Plant-origin Biological Active Materials on the Activities of Pathogenic Microbes and Rumen Microbes)

  • 옥지운;이상민;임정화;이신자;문여황;이성실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5호
    • /
    • pp.709-718
    • /
    • 2006
  • 식물유래 생리활성물질인 garlic, scallion, fla- vonoid, urushiol 및 anthocyanidin과 기존의 항균 제품인 Bio-MOS?瑛? 병원성 미생물과 반추위 미생물에 대한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병원성 균인 Escherichia coli O157, Salmonella paratyphi, Listeria monocytogenes, Staphylococcus aureus에 항균활성과 in vitro 반추위 미생물 성장률, 가스 생성량, 암모니아 농도, CMCase 활성 및 미생물 수를 측정하였다. 생리활성물질 0.10% 첨가 후, 배양시험에서는 flavonoid, scallion 및 Bio-MOS?怜? 병원성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하였으나, paper disc법에 의한 항균활성 시험에서는 flavonoid나 scallion을 5.00%이상 처리 시 clear zone이 뚜렷하였으며, scallion이 가장 강력한 항균활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리활성물질의 in vitro 반추위 미생물 발효에 대한 영향은 크지 않았는데, 병원균에 활성을 나타내었던 flavonoid는 1.00% 처리 시 CMCase의 활성이 완전히 없어져 반추위 미생물에 대한 억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scallion은 병원균에는 강한 항균활성을 가지면서 반추위 미생물 발효에는 저해작용을 나타내지 않아 반추 가축의 대체 천연항균제로서 개발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세포 및 동물모델에서의 알코올에 의해 유발된 간손상에 대한 지구자 추출물의 보호효과 (Hepatoprotective Effects of Hovenia dulcis Fruit on Ethanol-Induced Liver Damage in vitro and in vivo)

  • 유양희;정국영;이유현;전우진;이부용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54-159
    • /
    • 2009
  • 알코올에 의해 유도된 간 손상에 대한 지구자 추출물의 보호효과를 연구하였다. HepG2/2E1 세포에서 알코올로 유도된 ROS 생성과 산화적 손상에 대한 지구자 추출물 보호효과를 확인하였다. C57BL/6마우스를 대조군(NC), 알코올군(ET), 알코올과 지구자 추출물 1 g/kg body weight 투여군(ET-HD)으로 나누었다. 5 g/kg body weight의 알코올을 1주일간 ET와 ET-HD군에 투여하였다. 알코올 투여는 혈청 alanine amintransferase(ALT), aspartate aminotransferase(AST) 및 alkaline phosphatase(ALP)를 증가시키고, 지구자 추출물은 이러한 간 기능 지표효소의 증가를 억제시켰다. 간조직의 항산화 효소 활성은 알코올 투여에 의해 감소되었고, ET-HD군에서 SOD 및 GST 활성은 ET군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아졌다. GSH 함량은 ET군에서 NC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아졌고, ET-HD군에서 ET군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아졌으며, NC군과 유사한 함량을 나타내어 간 보호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지질과산화물 함량은 ET-HD군과 NC군이 유사한 함량을 나타냄으로써 알코올에 의해 유도된 지질과산화물 증가에 의한 간손상으로부터 지구자 추출물의 보호 효과를 보여 주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지구자 추출물은 세포 및 동물 모델에서 알코올로 유도된 간 손상으로부터 항산화 방어 대사의 증가와 지질과산화율의 감소에 의해 간세포 보호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이에 지구자 추출물은 알코올성 간 손상으로부터 보호 효과를 갖는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지연된 의도적 재식술을 통한 치주 조직 재생 방법의 고찰 (Delayed intentional replantation: new approach for periodontal regeneration and establishment of theoretical background)

  • 김유경;김동주;이은웅;임현창;이중석;정의원;윤정호;김의성;이승종;최성호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3권7호
    • /
    • pp.485-499
    • /
    • 2015
  • Purpose: Delayed intentional replantation was introduced as a new alternative to treat the teeth with severe periodontal involv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lucidate the possibility of delayed intentional replantation and establish theoretical backgrounds. Materials and Methods: Studies were performed into the following two subjects; (1)Clinical evaluation of patients who underwent delayed intentional replantation using clinical and radiographic data. Severe periodontitis involved teeth were carefully extracted and proper time for delayed replantation was evaluated by analyzing inflammation markers (IL-6, TNF-${\alpha}$). (2) Theoretical studies for efficacy of delayed intentional replantation using (-)-Epigallocatechin-3-gallate (EGCG) for preservation of periodontal ligament cells on root surface by minimizing inflammation and treatment of inflammatory extraction sockets. Results: Meaningful success ratio and survival rate were found in delayed intentional replantation showing reduced bone loss and maintained bone level. Additionally, viability of EGCG applied periodontal ligament cells was much higher than control group. Also, EGCG promoted healing of inflammatory extraction sockets by inhibiting inflammatory cell proliferation. Conclusion: Withi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1-2 weeks after extraction is an appropriate time to do delayed intentional replantation. Also, EGCG provides helpful effects on viability of periodontal ligament cells and periodontium.

무기물성 및 식물성 생리활성 물질이 반추위 미생물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Prepared for Several Minerals and Plants on the Growth of Rumen Microbes)

  • 신성환;이신자;옥지운;이상민;임정화;김경훈;문여황;이성실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11호
    • /
    • pp.1555-1561
    • /
    • 2007
  • 본 연구는 무기물성 및 식물성 유래 생리활성물질로서 scoria, germanium, charcoal, 생강, stevia 및 CLA(conjugated linoleic acid)가 병원성 미생물 및 반추위 미생물에 대한 작용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병원성 균으로서 Escherichia coli O157, Salmonella paratyphi, Listeria monocytogenes 및 Staphylococcus aureus에 적용하여 항균활성을 측정하고, in vitro 발효 시 반추위 미생물 성장률, 가스 생성량, 암모니아 농도, CMCase 활성 및 미생물의 수를 측정하였다. 병원성 미생물 배양액에 생강을 0.1% 첨가한 구에서만 항균활성이 나타났으나, paper disc법에 의한 항균활성 시험에서는 stevia 10%첨가구와 CLA 10% 첨가구에서 E. coli에 대해서 항생제 첨가구인 positive control 구와 비슷한 크기의 clear zone을 형성하였다. in vitro 반추위 미생물 발효시험에서는 생강, stevia 및 CLA가 반추위 박테리아와 프로토조아의 증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생강 첨가구의 경우 메탄 생성균의 서식지로 알려져 있는 프로토조아를 크게 억제함으로써 메탄생성 억제제로서 개발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희토류비료 시비가 사과 과실내 축적과 수확 및 저장 중 사과품질에 미치는 영향 (The Accumulation of Rare Earth Elements Fertilizer and its Subsequent Effects on Apple Fruit Quality at Harvest and During Storage)

  • 정위위;박무용;피터 허스트;윤태명;전익조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52-458
    • /
    • 2012
  • 본 연구는 희토류비료 시비가 8년생 '후지'/M.9 사과의 미량원소 변화 및 사과의 수확 품질과 5개월간 4 저장 후 과실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1년차 희토류 비료의 시비는 '후지' 사과 과실내 란타늄, 프라세오디뮴, 가돌리늄 및 네오디뮴을 축적하였다. 또한 2년차 연구에서 높은 농도의 희토류비료 시비는 보다 많은 량의 희토류 성분을 과실에 축적하여 과실내 희토류의 축적은 희토류비료의 시비량에 비례하였다. 이러한 희토류비료의 시비는 과실내의 다른 미량원소인 칼슘, 마그네슘과 칼륨의 농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희토류비료 시비에 따른 과실 품질조사에 있어, 희토류비료 0.2%의 엽면살포는 수확기 사과 과피의 붉은 색을 증가시켰으나, '후지' 과실의 과중, 경도 및 산도는 변화가 없었다. 저장 사과의 희토류비료 시비효과를 조사한 결과, 희토류비료 처리된 사과의 경우 무처리에 비해 5개월 저장 후 과실의 연화 및 적정산도의 감소를 지연시키며, 호흡률과 에틸렌발생을 감소시켰다.

Applic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producing antifungal substance and carboxylesterase on whole crop rice silage with different dry matter

  • Lee, Seong Shin;Paradhipta, Dimas Hand Vidya;Lee, Hyuk Jun;Joo, Young Ho;Noh, Hyeon Tak;Choi, Jeong Seok;Ji, Keum Bae;Kim, Sam Churl
    • Animal Bioscience
    • /
    • 제34권6호
    • /
    • pp.1029-1037
    • /
    • 2021
  •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effects of antifungal substance and carboxylesterase-producing inoculant on fermentation indices and rumen degradation kinetics of whole crop rice (WCR) silage ensiled at different dry matter (DM) contents. Methods: Dual-purpose inoculants, Lactobacillus brevis 5M2 and Lactobacillus buchneri 6M1, confirmed both activities of antifungal and carboxylesterase in the previous study. The WCR at mature stage was chopped, and then wilted to obtain three different DM contents consisting of 35.4%, 43.6%, and 51.5%. All WCR forages were applied distilled water (CON) or mixed inoculants with 1:1 ratio at 1×105 colony forming unit/g (INO), and ensiled into 20 L mini silo (5 kg) in quadruplicates for 108 d. Results: The INO silages had lower lactate (p<0.001) and butyrate (p = 0.022) with higher acetate (p<0.001) and propionate (p<0.001) than those of CON silages. Ammonia-N (p<0.001), lactate (tendency; p = 0.068), acetate (p = 0.030), and butyrate (p<0.001) concentrations of INO silages decreased linearly with increasing DM content of WCR forage. The INO silages presented higher lactic acid bacteria (p<0.001) with lower molds (p<0.001) than those of CON silages. Yeasts (p = 0.042) and molds (p = 0.046) of WCR silages decreased linearly with increasing DM content of WCR forage. In the rumen, INO silages had higher the total degradable fraction (p<0.001), total volatile fatty acid (tendency; p = 0.097), and acetate (p = 0.007), but lower the fractional degradation rate (p = 0.011) and propionate (p<0.001) than those of CON silage. The total degradable fraction (p<0.001), total volatile fatty acid (p = 0.001), iso-butyrate (p = 0.036), and valerate (p = 0.008) decreased linearly with increasing DM content of WCR forage, while the lag phase (p<0.001) was increased linearly. Conclusion: This study concluded that application of dual-purpose inoculants on WCR silage confirmed antifungal and carboxylesterase activities by inhibiting mold and improving rumen digestibility, while increase of wilting times decreased organic acids production and rumen digestibility.

중금속이 빨간집모기(Culex pipiens)의 치사율과 대사물질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eavy Metals on Mortality and Metabolite Changes in Mosquitoes, Culex pipiens pallens (Diptera: Culicidae))

  • 이수미;신병식
    • 환경생물
    • /
    • 제36권4호
    • /
    • pp.694-700
    • /
    • 2018
  • 중금속이 곤충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빨간집모기(Culex pipiens pallens) 금속용액(Cu, Cd, Hg, Pb, Zn)에서 사육한 후 50% 치사농도($LC_{50}$) 용화시기, 총 지질함량, 지질조성, 총 단백질 함량변화를 측정하였다. 50% 치사농도($LC_{50}$)는 3령 유충으로 24시간 처리한 Hg 처리군에서 $0.45mg\;kg^{-1}$으로 나타나 다른 금속에 비해 독성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고, 용화 시기는 처리군이 대조군(129시간)에 비해 지연되었으며 Cd가 처리군 중 273시간으로 가장 늦게 용화되었다. 중금속에 노출된 모기시료에서 총 여섯 종류의 지질 band가 분리되었으며, 이 중 5종의 지질이 동정되었다(phospholipid, cholesterol, fatty acid, triglyceride, cholesterol ester). 모든 처리군의 총 지질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감소하였다. 또한, 대조군의 단백질 함량($0.51mg\;ind.^{-1}$)이 처리군의 단백질 함량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처리군 중 Hg과 Cd을 처리한 유충의 단백질 함량이 매우 낮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중금속이 처리된 용액에서 사육된 모기유충은 오염된 환경에 의한 먹이 섭취의 장애 및 중금속의 독성으로 인해 단백질 함량과 지질의 감소가 일어나 발육이 느려지고 용화시기가 길어지는 것으로 생각되며 이는 중금속에 의한 체내 물질대사의 변화를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중금속 오염이 모기의 생존과 성장을 억제시켜 모기 개체군 크기에 영향을 줄 것을 나타내며, 추후 연구를 통해 모기의 생육정도를 이용한 오염도 측정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포장재 조건에 따른 365 nm UV-LED 조사의 Bacillus subtilis 생육 억제 효과 (Inhibition Effect of Bacillus subtilis on 365 nm UV-LED Irradiation According to Packaging Materials)

  • 이다혜;정소미;쉬시아오통;김꽃봉우리;안동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332-336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그람 양성의 호기성 유포자 세균 중 자연계에 널리 분포되어 식품에 문제를 일으키는 대표적인 균인 B. subtilis를 대상으로 365 nm UV-LED의 생육 억제 효과를 입증하였다. 또한 365 nm UV-LED 조사 시, 식품 포장재로 흔히 사용되고 있는 유리, LLD-PE, Nylon/LDPE 및 PS 등의 포장 조건에 따른 B. subtilis 생육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B. subtilis의 생육 억제 효과가 가장 뛰어난 재질은 Nylon/LDPE와 LLD-PE로 확인되었고, 대조구의 생존율인 -log 5 값과 비교하여 각각의 생존율은 약 -log 2.5-2.9, -log 2.58-3.61로 나타났다. 이 때 재질의 두께가 미생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관찰되었고, 포장재질에 따라 365 nm UV-LED 투과력이 다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통상적으로 log 3 이상 생균수가 감소하면 99.9% 살균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낼 수 있는데, 본 연구를 통해 365 nm UV-LED가 흔히 사용되고 있는 식품 포장재를 투과하여 균의 생육 억제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365 nm UV-LED의 사용이 식품보존과 식품산업 분야의 응용기술로써 잠재력이 있음을 시사하는 바이다.

녹비작물 토양환원과 태양열 소독에 의한 3년생 인삼의 뿌리썩음병 억제효과 (Effect of Green Manure Incorporation and Solarization on Root Rot Disease of 3-year-old Ginseng in Soil of Continuous Cropping Ginseng)

  • 서문원;이성우;이승호;장인복;허혜지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284-291
    • /
    • 2019
  • Background: Ginseng root rot disease, caused by Cylindrocarpon destructans and Fusarium solani is a major cause of replant failure in continuous cropping ginseng. Methods and Results: To control replant injury in soil infected with C. destructans and F. solani, biosolarization was performed by covering the plot with transparent polyethylene film after adding green manure of maize and sunflower for the summer season. Per 10 a, fresh and dry weight of maize was 10.1 and 2.5 tons, respectively, and that of sunflower was 8.1 tons and 1.2 tons, respectively. Mean maximum temperature at 20 cm depth was $33.2^{\circ}C$, $41.5^{\circ}C$ and $41.8^{\circ}C$ in the control, maize-incorporated and sunflower-incorporated plots, respectively. The elapsed time over $40^{\circ}C$ was 36.4 h in the maize-incorporated plot and 77.3 h in the sunflower-incorporated plot. Biosolarization increased $NO_3$ content in soil, while content of organic matter, Ca, and Mg was decreased. Electrical conductivity, $NO_3$ and $P_2O_5$ in soil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wo years of biosolarization. The number of spores of C. destructans in soi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biosolarization, and sunflower treatment was more effective than maize treatment in decreasing the number of spores. Root yield of 3-year-old ginseng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biosolarization,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ize and sunflower treatments. Rate of root rot in 3-year-old ginseng decreased to 16.5% with the incorporation maize and 5.0% with the incorporation of sunflower, while that in control 25.6%. Conclusions: Biosolarization was effective in inhibiting ginseng root rot by decreasing the density of root rot disease and improving soil chemical proper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