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formation Seeking and Use

검색결과 265건 처리시간 0.027초

사회과 교사의 정보추구행태 분석을 통한 교육정보서비스 제안 (Analysis of Information Seeking Behaviors of Social Science Teachers According to Their Tasks)

  • 임정훈;이종욱;이병기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23-244
    • /
    • 2019
  • 본 연구는 사회과 교사의 과업에 따른 정보추구행태를 분석하여 이들에게 필요한 교육정보서비스를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전지역 13명의 사회과 교사를 대상으로 반 구조화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고, 수집한 자료는 Leckie, Pettigrew and Sylvain의 정보추구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과 교사의 정보요구는 업무 역할과 과업에 따라 내재적 및 외재적 동기에 의해 발생하였다. 그리고 정보요구의 성질인 반복성, 예측 가능성, 긴급성, 난이성은 정보추구행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과 교사는 정보요구를 해결하기 위해 웹 정보, 도서정보, 인적정보 등 다양한 정보원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보원 인식에 미칠 수 있는 요인으로는 신뢰성, 정보의 질, 정보제공 형태, 앞선 정보탐색 성공 경험 여부 등이 식별되었다. 나아가 정보원에 대한 인식 변화를 비롯하여 정보원 이용 빈도를 파악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사회과 교사를 위한 정보서비스로 다양한 유형의 자료 통합제공 서비스, 정보 리터러시 교육, 인적 네트워크 서비스, 도서추천서비스 등을 제안하였다.

기자직의 웹 정보탐색행위 패턴 분석 (Analyzing Patterns in News Reporters'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on the Web)

  • 권혜진;정동열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109-130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기자직의 웹 행동 분석을 통해 웹 정보탐색행위 패턴의 특성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기자직 23명을 대상으로 트랜잭션로그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데이터 수집을 위하여 분석 대상의 컴퓨터에 웹 트래킹 소프트웨어를 설치하였으며, 2주 동안 총 39,860개의 웹 로그가 수집되었다. 세션의 시작과 종료 패턴, 단계별 이행 패턴, 순차규칙 모형이 분석되었으며, 기자직과 일반인의 웹 이용 패턴을 비교하였다. 이를 토대로 기자직의 웹 정보탐색행위 패턴을 사실확인형 탐색, 사실확인형 검색, 조사형 탐색, 조사형 검색 등 4가지 형태로 유형화하였다.

비디오텍스 시스템과 도서관 봉사간의 관계 (The Relation of the Videotex Systems and Library Services)

  • 성기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24권
    • /
    • pp.171-204
    • /
    • 199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hypothesis that the contents and range of library services are changed as the use of videotex systems increases. 1000 members of Chollian II were chosen as subjects for this study and the questionnaire was posted to them. The returned responses to questionnaire were analyzed with the statistical software packages 'SAS PC' and 'STATGRAPHICS'. The findings and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summarised as follows: 1. Users of Chollian II make more use of videotex systems in seeking daily information than in seeking scholarly and professional information. It seems desirable to co-ordinate the services of videotex systems and libraries by redefining the traditional boundary of the two systems. Users will then conveniently get daily information through videotex servics, scholarly and professional information through the reference service of libraries. 2. Sex does not mak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use of videotex systems. Most frequent use of videotex systems is made by those at the age of thirties. Businessmen and enterprisers make the most frequent use of videotex systems. Those of higher education are the best users. 3. As the use of videotex systems increases, use of newspapers and periodicals decreases while its increase rarely has influence on the use of library materials. 4. There is limited correlation between the use of videotex systems and that of library services. The increase of the use of videotex systems does not significantly increase or decrease the use of libraries. It changes, however, the pattern and methods of information services provided by libraries. 5. Users of special libraries make the most frequent use of videotex systems and there is not much difference in the use by users of other kinds of libraries.

  • PDF

재일한인의 일상적 정보요구와 정보추구 - 관서지역 거주 한인을 중심으로 - (Everyday Information Need and Seeking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 이제환;장덕현;이연옥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21-248
    • /
    • 2004
  • 이 연구는 일본에 영주하는 한인(재일한인)의 일상을 '정보적 관점'에서 접근하고 있다. 재일한인의 정보행태를 면밀히 조사하여 재일한인사회와 같은 소수민족사회의 정보환경을 개선하고 정보복지를 구현하는 방안을 모색해 보는데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에 필요한 데이터는 일본 현지를 방문하여 관련 기관들과 다양한 계층의 하인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와 심층면담을 통하여 수집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구체적으로, (1) 재일한인이 일상에서 마주치는 다양한 고민의 유형과 대처 방식, (2) 그러한 일상적 고민의 해결을 위해 도움을 청하는 정보소스의 유형과 특성, (3) 일상의 영위를 위해 필요로하는 정보를 얻기 위하여 그들이 이용하는 정보매체의 유형과 특성, 그리고 (4) 그러한 일상정보의 탐색과 수집 과정에서 그들이 경험하는 각종 장애와 한계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보건분야 연구자들의 정보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광주, 전남 응급구조과 및 전남대학교 간호과학 연구소- (The study of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by health fields researchers)

  • 김미선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77-90
    • /
    • 1999
  • This study focuses on investigating and analyzing overall information use behavior of the health fields researchers. Questionaries were 116 researchers in there nursing university or college and EMT college. Four areas were tested on the basis of the purpose that there would exist unique characteristics in the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of health fields researchers. The findings of the study shows that health fields researchers prefer monographs and journals; they tend to use current materials; the first information source for their research activities is the cited references in the book or journal article; they are likely to delegate literature searching to the librarian, but they tend to conduct direct searching in online setting; in general, they react positively for the rapid change in information environment caused by recent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It is emphasized that to design an efficient information system and provide an effective information service in the health science related library or information center, it is essential to consider the major characteristics and attributes of health fields researchers in terms of their information use behavior.

  • PDF

대학 페이스북에 대한 재학생 이용동기의 탐색적 연구 (The Exploratory Study of College Students'Motivation for the College Facebook Based on Factor Analysis)

  • 조삼섭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111-120
    • /
    • 2018
  • 대학에서 운영하는 페이스북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을 설문조사를 통해 요인분석한 결과, 대학생들은 정서적 친밀감, 정보 업데이트성, 일상공유 욕구, 시간활용 동기, 정보획득 등의 요인으로 페이스북을 활용하려는 동기로 나타났다. 이러한 요인을 가지고 페이스북에 대한 참여의향을 회귀분석한 결과, 콘텐츠가 정서적 친밀도 높은 내용, 주기적인 정보의 업데이트성, 일방적 정보제공보다는 일상공유 콘텐츠가 재학생들의 페이스북 참여의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 페이스북 운영시 일방적인 정보제공 매체로서 소셜미디어를 활용하기 보다는 수용자 학생들의 동기파악을 통해 친밀감제고, 일상공유와 같은 친구 만들기가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노인 당뇨병 환자들의 정보행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ormation Behavior of Older Adults with Diabetes)

  • 김정아;장혜란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97-223
    • /
    • 2016
  • 노인 당뇨병 환자들의 정보행태를 이해하기 위하여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관련요인을 도출하고 측정도구를 설계하여, B병원에서 치료 중인 60세 이상 당뇨병 환자들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면접조사를 수행하였다(N=543). 질환에 대한 인식, 건강정보이해능력, 정보요구, 정보추구, 정보이용, 정보원 이용 애로사항, 선호 정보서비스, 개인적 배경에 대한 기본통계량과 요인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가설검증을 통하여 영향요인을 구명하였다. 노인 당뇨병 환자들은 질환에 대한 인식과 건강정보이해능력이 낮으며, 질환에 대한 인식은 정보요구도, 정보이용도와 상관관계가 있고, 건강정보이해능력은 정보이용도와 상관관계가 있다. 교육경험과 유병기간에 따라 정보요구도와 정보이용도에 차이가 있고, 정보환경, 성별, 나이, 학력에 따라 정보이용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질환인식 캠페인 전개, 정보지원시설 홍보활동, 집단별 정보제공과 서비스 방안 등을 제언하였다.

예비창업자 및 스타트업의 정보이용행태 분석 (Analysis on Information Use Behaviors of Pre-entrepreneurs and Startups)

  • 유수현;박보야나;김완종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10호
    • /
    • pp.91-101
    • /
    • 2017
  • 예비창업자 및 스타트업을 지원하고 활성화하기 위한 국가차원의 제도적·정책적 지원이 강화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은 창업준비 과정에서 필요한 정보의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창업자 및 스타트업이 보다 체계적이고 견실한 창업 진행 과정을 거치도록 콘텐츠나 서비스 측면에서 지원하기 위해서는, 그들의 정보요구 및 정보이용행태를 면밀히 분석할 필요가 있다. 정보이용행태 분석은 도서관 정보서비스 기관에서 학술정보 이용자의 정보요구에 맞추어 해당 정보서비스의 개선을 위해 활용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예비창업자 및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정보이용행태를 분석하였다. 정보이용행태를 조사하기 위한 대표적인 기법인 집단심층면접조사를 예비창업자와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콘텐츠 분석을 통해 이들의 창업 진행 과정, 창업 정보 탐색 현황, 창업 정보원 활용 수준 및 인식을 조사하였다. 이들의 정보이용행태를 반영하여 창업지원 기관 및 프로그램의 콘텐츠와 서비스를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인터넷의 정보의 탐색, 평가 및 활용:대학 이공계 연구자의 사례를 중심으로 (Information Seeking, Evaluation, and Use on the Internet: A Case Study of Science and Engineering Scholars)

  • 이해영;이수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63-181
    • /
    • 2001
  • 본 연구는 다양한 형태와 성격의 정보가 혼재해 있는 인터넷환경에서 이공계연구자들이 어떻게 정보를 탐색하고 평가하며, 이용하는지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를 위한 웹정보의 활용도 인터넷검색방법의 특수성, 검색엔진의 활용범위, 국내외자료의 병행여부, 그리고 인터넷정보의 신뢰도 및 학술적가치를 주요 연구문제로 다루었다. 명지대학교의 이공계 연구자 28명을 인터뷰한 결과에 따르면, 연구참가자들은 취미 여행등 개인적 관심사를 위한 정보검색에는 검색엔진을 많이 활용하지만, 연구를 위한 정보검색에는 본인이 이미 알고 있는 학회, 연구소, 대학 사이트 등을 선별적으로 이용하고 있다. 이는 검색엔진을 통해 검색된 일반 웹 사이트정보는 연구에 직접 사용하기에는 학술적 가치가 부족하다고 믿는것과 방대한 웹 전체를 대상으로는 원하는 정보를 찾기에 어려움이 많다는 것이 주 원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자료에 비해 국내자료는 신빙성, 전문성, 최신성 면에서 뒤떨어진다고 보고 있어, 연구를 위한 정보는 주로 외국자료에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결론에서 검색엔진 개발자와 도서관 관계자 그리고 인터넷 정보의 이용자이자 생산자인 연구자를 위한 제안이 각각 제시되었다.

  • PDF

정보행태 불확신성에 관한 연구 - 경영학분야 박사과정 연구자들을 중심으로 - (Uncertainty Study: Information Seeking Behaviors of Doctoral Students in Business Management)

  • 김양우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65-89
    • /
    • 2012
  • 본 연구는 근거이론(Grounded Theory)방식을 이용하여 학술연구를 목적으로 한 이용자들의 불확신성과 관련된 정보추구행태를 조사하였다. 이론적 표집에 의하여 17명의 경영학 박사과정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질문지, 심층적 인터뷰, 정보탐색과정상의 생각을 말하기 방식(Think-aloud descriptions)을 통한 자료수집이 이루어졌고 수집된 자료는 근거이론의 지속적인 비교분석에 의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는 정보요구의 식별, 정보시스템의 선정, 탐색어의 선택, 정보시스템의 이용 및 탐색결과의 평가 등 5단계에 걸친 이용자 불확신성을 식별하였다. 각 불확신성과 관련, 불확신성의 긍정적인 측면이 조사되었다. 연구결과의 주요 시사점은 정보시스템 및 서비스의 개선과 관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