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formatics Teacher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86초

THE DYNAMIC OF TWO-SPECIES IMPULSIVE DELAY GILPIN-AYALA COMPETITION SYSTEM WITH PERIODIC COEFFICIENTS

  • Zhang, Shuwen;Tan, Dejun
    •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 informatics
    • /
    • 제29권5_6호
    • /
    • pp.1381-1393
    • /
    • 2011
  • In this paper, we consider two-species periodic Gilpin-Ayala competition system with delay and impulsive effect. By using some analysis methods, sufficient conditions for the permanence of the system are derived. Further, we give the conditions of the existence and global asymptotic stable of positive periodic solution.

AN AUTOMATIC AUGMENTED GALERKIN METHOD FOR SINGULAR INTEGRAL EQUATIONS WITH HILBERT KERNEL

  • Abbasbandy, S.;Babolian, E.
    •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 informatics
    • /
    • 제8권2호
    • /
    • pp.429-437
    • /
    • 2001
  • In [1, 2], described a Chebyshev series method for the numerical solution of integral equations with three automatic algorithms for computing tow regularization parameters, C/sub f/ and r. Here we describe a Fourier series expansion method for a class singular integral equations with Hilbert kernel and constant coefficients with using a new automatic algorithm.

ULTIMATE BEHAVIOR OF PREDATOR-PREY SYSTEM WITH CONSTANT HARVESTING OF THE PREY IMPULSIVELY

  • Dong Lingzhen;Chen Lansun;Sun Lihua;Jia Jianwen
    •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 informatics
    • /
    • 제22권1_2호
    • /
    • pp.149-158
    • /
    • 2006
  • In this paper, we consider the Lotka- Volterra predator-prey system, in which constant quantity of the prey is harvested in regular pulses. The ultimate behavior of the solutions starting from different regions is mainly studied. Further, some examples are given to illustrate our results.

PERMANENCE FOR THREE SPECIES PREDATOR-PREY SYSTEM WITH DELAYED STAGE-STRUCTURE AND IMPULSIVE PERTURBATIONS ON PREDATORS

  • Zhang, Shuwen;Tan, Dejun
    •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 informatics
    • /
    • 제27권5_6호
    • /
    • pp.1097-1107
    • /
    • 2009
  • In this paper, three species stage-structured predator-prey model with time delayed and periodic constant impulsive perturbations of predator at fixed times is proposed and investigated. We show that the conditions for the global attractivity of prey(pest)-extinction periodic solution and permanence of the system. Our model exhibits a new modelling method which is applied to investigate impulsive delay differential equations. Our results give some reasonable suggestions for pest management.

  • PDF

정보교사의 역량에 기반한 소프트웨어교육 교원 직무 연수과정 분석 (Analysis of Competency-Based In-service Training Programs for Informatics Teachers)

  • 옥지현;안성진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43-50
    • /
    • 2018
  • 4차 산업혁명시대를 대비한 창의 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소프트웨어(SW) 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급변하는 교육환경에서 정보교사에게 요구되는 역량에 기반한 연수과정 개발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해 소프트웨어교육 담당교원의 직무연수 내용분석을 위한 분석 틀을 선정하고, 현재 소프트웨어교육 담당교원의 역량 강화 연수과정 내용을 중등 정보교사에게 요구되는 역량을 기반으로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직무연수 교재 개발에 참여한 현장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설문 및 협의를 거쳐 역량에 기반한 연수과정 내용요소와 계층적(AHP) 기법으로 역량요소별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일반 및 정보교사에게 요구되는 '국가교육과정의 이해 및 재구성'역량에 해당되는 내용이 전체(15시간) 중 47%(7시간)으로 상대적으로 많이 편중되어 있었으며, 정보교사에게 요구되는 역량요소별 상대적 중요도가 21%로 가장 높게 나타난 '정보 교수학습 전략 수립 및 활용 능력'에 대한 내용구성이 부족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소프트웨어교육 담당교원 연수과정 개발에 있어 부족한 부분에 대해 이해하고, 반영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CS2013 지식영역의 계량화를 통한 컴퓨터과학 영역별 우선순위 설정 (Setting Priorities by Computer Science Area Through Quantification of CS2013 Knowledge Area)

  • 유병건;김자미;이원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25-33
    • /
    • 2017
  • 고등교육의 질 관리를 중요하게 생각한 국가들은 다양한 제도나 방법을 통해 교육의 질 강화를 진행하고 있다. 컴퓨터과학 분야에서도 고등교육의 질 관리를 위해 교육과정 표준을 구성하는 등 끊임없이 노력해 왔다. 컴퓨터과학 분야 교육과정 표준에서 언급한 지식영역의 우선순위를 파악해 보면, 내용체계 구성에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CS2013을 토대로 내용요소에 대한 Tier1, Tier2, Elective의 시수와 세부영역의 수를 중심으로 순위를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지닌 지식영역으로는 Software Development Fundamentals이었다. 해당 지식영역은 CS2013에서 기초 요소이기 때문에 초급코스로 권장한다고 기술되기도 하였다. 도출되어진 영역별 우선순위가 향후 초중등 정보교육과정이나 고등 교양 정보교육과정, 교원양성기관의 정보교육과정 설정에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중등 정보교사 복수전공 특별양성과정의 개선방안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pecial Staff Training for Multiple Majors of Secondary Informatics Teachers)

  • 신수범
    • 창의정보문화연구
    • /
    • 제5권3호
    • /
    • pp.285-293
    • /
    • 2019
  • 2015 개정 중등 정보교육 과정이 소프트웨어 중심 교육과정으로 개편됨에 따라 다수의 정보 전공 교원이 필요하게 되었다. 그리고 중등 정보교사 복수전공 특별양성 연수 과정을 개설하여 올해까지 약 100여 명의 복수전공 정보교사를 배출하였다. 복수전공 특별양성 과정은 단기간 내 관련 교원을 확충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지만, 문제점도 존재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특별양성과정 연수생들을 대상으로 교육편재 및 평가, 교육 운영, 수업 운영, 행사, 교육실습환경, 교육 효과 등에 관한 설문을 하였다. 설문결과, 기초가 부족한 상태에서 교육과정이 진행되어 교과 내용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하였고 짧은 연수 기간과 과도한 주당 시수 편재 등으로 인해 많은 학습 스트레스를 받았으며, 복수전공에 대한 이해와 전문성 향상은 효과가 높지 않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따라서 최소한 1년 이상의 긴 연수 기간이 요구되며 사전연수를 포함한 본 연수를 통해 전문성 강화를 해야 할 것이다.

예비교사의 프로그래밍 교수내용지식 향상을 위한 프로그래밍 교육프로그램 설계 (Designing Programming Curriculum for Developing Programm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Pre-service Informatics Teachers)

  • 안상진;이영준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1-10
    • /
    • 2016
  • 본 연구는 프로그래밍 교육을 효과적으로 실시하기 위한 실제적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프로그래밍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적용하여 예비교사의 프로그래밍 교수내용지식의 변화를 확인한 연구이다. 제작된 교육 프로그램에서는 블록 기반 모바일 프로그래밍 언어인 앱 인벤터를 사용하였고, 문제 기반 학습 방법과 프로젝트 기반 학습 방법을 활용하였다. 개발된 교육프로그램을 예비정보교사에게 교육하고 프로그래밍 교수내용지식을 확인하기 위한 평가문항으로 자기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문제 기반 학습 방법으로 프로그래밍을 학습한 후 프로그래밍 교수내용지식 점수와 교수법영역 지식의 점수가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프로젝트 기반 학습 방법을 적용한 후 내용지식영역, 교수법영역, 교육과정영역의 점수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정보·컴퓨터 중등교사 임용시험의 프로그래밍 문항 분석 (Analysis of Programming Questions of the Informatics·Computer Secondary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 강오한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12권10호
    • /
    • pp.291-298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정보·컴퓨터 표시과목의 임용시험에서 프로그래밍 문항이 프로그래밍 능력을 겸비한 교사 선발에 적합한지 연구하였다. 최근 5년 동안의 문항을 분석한 결과, 프로그래밍 문항의 평균 배점이 교과내용학 총점의 38%(20.8점)로 높게 나타났다. 기출문항에서 프로그래밍 문항의 배점 비중이 높은 과목은 프로그래밍과 자료구조로 확인되었으며, 이들의 평가영역별 배점분포를 분석한 결과 각각 0%~47%, 0%~53%로 영역별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는 프로그래밍 문항이 교육 현장에서 요구하는 교사 선발에 적합한지 교사 3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임용시험의 프로그래밍 문항에서 평가할 내용에 대한 응답으로 컴퓨팅 사고력이 5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문항의 적합도에 대한 응답에서 문제해결력이 5점 척도 기준에서 2.84로 가장 높았으나 전반적으로 적합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래밍 문항 출제를 위해 적합한 언어로 C언어와 파이썬의 응답이 각각 55%, 45%로 나타났다. 이 결과에서 교사들은 기존의 C언어 외에 파이썬 선호도가 매우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프로그래밍 문항 출제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주제기반 설계 모형에 따른 수학-정보 연계·융합 수업 자료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al-Informatics Linkage·Convergence Class Materials according to the Theme-Based Design Model )

  • 이동근;김한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7권3호
    • /
    • pp.517-544
    • /
    • 2023
  • 본 연구는 교과 간 연계·융합 수업자료 개발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음에도 고등학교에서 관련 수업 자료 개발 빈도가 적다는 선행연구의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수학과 정보 과목의 연계·융합 수업자료 개발 과정 및 결과물을 제시한 연구이다. 특히 본 연구는 동일한 교원학습공동체 프로그램에 참여한 6명의 교사들이 수학과 정보 교과 간 연계·융합 수업자료로서의 적합성과 현장 수업 적용 가능성이 높은 자료 개발을 목표로 논의한 과정들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 자료 개발 절차에 따라 주제기반 설계 모형을 적용하여 자료를 개발하였으며, 선행연구와 교원학습공동체 구성원의 합의 결과를 반영하여 100분 블록 수업 시간 동안 수학과 정보 과목의 교사가 함께 수업을 진행할 수 있는 수업 자료를 개발하였다. 개발한 자료는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었던 문제상황을 두 과목의 연결고리로 삼아 학생들이 수학적 모델링과 코딩을 통한 문제해결을 경험할 수 있는 자료이다. 개발된 자료는 '개발 자료를 현장에 적용하기에 타당한 자료인지 살펴보고 적용 실천성을 높이기 위하여' 현장 교사를 대상으로 CVR 검증을 통하여 검증을 하였으며, 그 결과를 반영하여 최종 개발된 수업 자료를 지도안 형태로 제시하였다. 또한 자료 개발 과정에서 개발자들의 경험한 시행착오와 고민도 함께 기술하여 현장 연구자들의 관련 연구 수행에 기초가 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수업자료 개발 모형이 실제 수업에 적용가능한지 탐색할 수 있는 실증적인 자료로서의 가치를 가지며, 이들 자료의 축적은 이론적인 수업 모형과 실제적인 현장 수업 사이의 선순환적인 관계 구축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