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formatics Subject

검색결과 172건 처리시간 0.033초

ESTIMATION OF SCALE PARAMETER FROM RAYLEIGH DISTRIBUTION UNDER ENTROPY LOSS

  • Chung, Youn-Shik
    •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 informatics
    • /
    • 제2권1호
    • /
    • pp.33-40
    • /
    • 1995
  • Entropy loss is derived by the scale parameter of Rayleigh distribution. Under this entropy loss we obtain the best invariant estimators and the Bayes estimators of the scale parameter. Also we compare MLE with the proposed estimators.

A REMARK ON NILPOTENT LIE ALGEBRAS

  • Jung, K.S.
    •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 informatics
    • /
    • 제1권1호
    • /
    • pp.49-54
    • /
    • 1994
  • Let f(n) denoted the number of essential parameters which are needed to classify n-dimensional nilpotent Lie Algebras over the complex number field. Then ${\int}(2n){\ge}{\frac{n(n^2-7)}{6}}-2$.

$\alpha$-COMPACT FUZZY TOPOLOGICAL SPACES

  • Kim, J.K.
    •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 informatics
    • /
    • 제1권1호
    • /
    • pp.79-84
    • /
    • 1994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and discuss the concept of ${alpha}$-compactness for fuzzy topological spaces. And we obtain a product theorem for an arbitrary product of ${alpha}$-compact fuzzy spaces.

JULIA OPERATORS AND LINEAR SYSTEMS (NONUNIQUENESS OF LINEAR SYSTEMS)

  • Yang, Mee-Hyea
    •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 informatics
    • /
    • 제3권2호
    • /
    • pp.117-128
    • /
    • 1996
  • Complementation theory in krein spaces can be extended for any self-adjoint transformation. There is a close relation between Julia operators and linear systems. The theory of Julia operators can be used to construct distinct Krein spaces which are the state spaces of extended canonical linear systems with given transfer function.

$\beta$-COMPACTNESS IN L-FUZZY TOPOLOGICAL SPACES

  • Cho, S.H;Kim, M.Y
    •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 informatics
    • /
    • 제9권1호
    • /
    • pp.359-370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and discuss the concept of $\beta$-compactness for L-fuzzy topological spaces.

2007년 개정 중학교 정보과목 '정보사회와 정보기술' 영역 성취기준 및 평가 기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hievement and assessment standards for the area of "Information Society and Information Technology" in the 2007 revised middle school 'Informatics' subject.)

  • 김경훈;이경낭;강신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63-74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2007년 개정 중학교 정보과목 교육과정의 "정보 사회와 정보 기술"영역의 교육과정 내용을 분석하여 해당 영역의 성취기준을 상세화하고, 성취 기준에 근거한 평가기준을 설정하여 제시하였다. 제시한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은 새 교육과정을 근거로 개발하였기 때문에 2010년도에 적용되는 새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정보 교과의 교수-학습 활동에서 교사들의 학습 목표의 설정, 학습 범위와 내용 수준 설정, 교수-학습 방법 개선, 평가 방법 개선 등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인터넷을 이용한 간호학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분석 -간호정보학을 중심으로- (The Development and Effect Analysis of an Internet Based Nursing Program: Application to Nursing Informatics)

  • 염영희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1035-1044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valuate an internet based program for nursing informatics. The course subject, Nursing Informatics, was made by a computerized instructional module using the internet. The program was developed after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level of competence and knowledge in the subjects. It was based on 10 steps of the CAI module developed by Alessi and Trollip. The subjects consisted of 76 junior nursing students taking a Nursing Informatics course. Two sets of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is study. First,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76 students to collect general information on their experience while using computers and the internet. Secondly, another questionnaire was administrated to 76 students after they took the course. They were asked to evaluate the program in terms of easiness of use, precision of contents, freshness of contents, motivation in learning, effectiveness of learning, enhancement of communication, precision of screen, and interest in the contents. IDs and passwords were given to the students. The students were asked to write their IDs and passwords when they connected to Nursing Informatics (http://hallym.ac.kr/~yhyom/ inform.html). They were led the menu page which was categorized into 8 icons (i. e., syllabus, lecture notes, quick test, Q & A board, assignment, on-line test, related web sites and mailing lists) after confirming their IDs and passwords. The students' responses were very positive. This program was a very useful in increasing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and motivation in the students. Suggest to be use for other nursing courses.

  • PDF

창의적 정보과학교육이 학부모와 초등학생의 정보과학교육에 관한 가치 인식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 Analysis of the Elementary Parent and Students' Perceptions of Value on Computer Science after Creative Computer Science Education)

  • 윤일규;김자미;이원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15-24
    • /
    • 2015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창의적 정보과학교육 이후, 학부모와 학생의 정보과학교육에 대한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정보교과에서는 많은 연구들은 학생의 교과 내용에 대한 효과에 집중하고 있으며, 학부모에 대한 인식 연구는 거의 진행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학부모들이 인식하는 정보과학교육에 대한 가치에 집중하였으며, 실질적으로 학부모들이 정보교과 학습 지지에 관련 있는 정보과학교육에 대한 가치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분석하였다. 따라서 학부모와 학생의 인식 차이 검증을 실시하지 않았고, 각 집단이 인식하는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다중회귀분석으로 진행하여 보다 구체적인 영향력을 산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분석결과, 학부모가 인식하는 학생의 정보과학교육에 대한 가치 인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흥미 및 만족도 변인이며, 학생들은 자기효능감의 변인이 정보과학교육에 대한 가치 인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공립초등학교와 사립초등학교의 정보교육 시수 비교 연구 (A Study on Comparing the Computer Science Education Hours between Public and Private Elementary Schools)

  • 최문석;신승기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21년도 학술논문집
    • /
    • pp.107-112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에서 정보교육을 하기 위해 얼마나 시수가 필요할지 알아보기 위해 서울 소재 사립초등학교의 정보교육 시수를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최근 실시된 2022개정교육과정 온라인 토론참여 및 조사결과 안내에 따르면 학생, 학부모가 정보교육이 강화되기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공립초등학교에서의 정보교육은 2015개정교육과정을 기준으로 실과교과에 별도 단원으로 구성되어 17시간 이상을 실시하게 되어 있다. 서울에 있는 사립초등학교 28개의 평균 정보교육 시수를 조사한 결과 6년 동안 약 152시간의 정보교육시수를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공립초등학교와 약 9배정도의 교육시수 격차가 발생한 것이다. 인공지능이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는 현대 사회에서 정보교육시수는 학생들의 미래역량강화를 위해 꼭 확보되어야 한다. 따라서 초등학교급에서도 정보교육을 하나의 교과로 독립하고 시수를 확보하여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