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fluenza AI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23초

Modulation of Humoral and Cell-Mediated Immunity Against Avian Influenza and Newcastle Disease Vaccines by Oral Administration of Salmonella enterica Serovar Typhimurium Expressing Chicken Interleukin-18

  • Rahman, Md Masudur;Uyangaa, Erdenebileg;Eo, Seong Kug
    • IMMUNE NETWORK
    • /
    • 제13권1호
    • /
    • pp.34-41
    • /
    • 2013
  • Interleukin-18 (IL-18) has been known to induce interferon-${\gamma}$ (IFN-${\gamma}$) production and promote Th1 immunity. Although mammalian IL-18 has been characterized in great detail, the properties and application of chicken IL-18 remain largely uninvestigated as of yet.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immunomodulatory properties of Salmonella enterica serovar Typhimurium expressing chicken interleukin-18 (chIL-18) on immune responses induced by avian influenza (AI) and Newcastle disease (ND) vaccines. After oral administration of S. enterica serovar Typhimurium expressing chIL-18, chickens were vaccinated intramuscularly with the recommended dose of either inactivated AI H9N2 vaccine or ND (B1 strain) vaccine. Chickens receiving a primary vaccination were boosted using the same protocol 7 days later. Humoral and cell-mediated immune responses were evaluated in terms of HI antibody titers and proliferation and mRNA expression of IFN-${\gamma}$ and IL-4 of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PBMC) in response to specific antigen stimulation. According to our results, oral administration of S. enterica serovar Typhimurium expressing chIL-18 induced enhanced humoral and Th1-biased cell-mediated immunity against AI and ND vaccines, compared to that of chickens received S. enterica serovar Typhimurium harboring empty vector. Therefore, we conclude that our proposed vaccination regimen using inactivated AI and ND viruses along with oral administration of S. enterica serovar Typhimurium expressing chIL-18 may provide a novel approach in protecting chicken from currently circulating AI and ND virus strains.

위험 매트릭스(Risk Matrix)를 활용한 조류인플루엔자 인체감염증 위험지역 평가 (High-Risk Area for Human Infection with Avian Influenza Based on Novel Risk Assessment Matrix)

  • 박성대;유대성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41-50
    • /
    • 2023
  • AI인체감염증은 한번 발생하게 되면 막대한 사회경제적 손실이 있으므로, 사전 예방적 관리가 필수적이다. 위험도 평가를 통해 위험요인과 위험지역을 확인하여 방역을 강화하고 사람, 동물, 환경 등 소관 부처 간 분산되어 있는 방역정책 및 관리를 원헬스 차원으로 협업·연계한다면 사회경제적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위험 매트릭스 분석을 통해 가금농장의 고병원성AI와 연계하여 AI인체감염증의 발생 위험지역을 평가하고 위험요인을 분석하였다. AI인체감염증은 가금농장의 고병원성AI와 밀접한 관련이 있고 가금관련 산업 종사자가 가장 감염에 취약한 위험군이기 때문에, 위험 매트릭스는 가금농장의 고병원성AI 평균 발생 건수와 감염에 취약한 가금 관련 축산시설 수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조류인플루엔자 유행시기에 시·군·구별로 가금농장의 HPAI 평균 발생건수를 예측하기 위해 일반화 선형모형 중 과대산포가 있는 가산자료를 분석하는데 이용되는 음이항 회귀모형을 적용하였다. 시·군·구별 가금농장의 고병원성AI 발생건수와 축산시설 수를 적용한 위험 매트릭스 분석 결과, AI인체감염증의 발생위험이 높아 관리가 필요한 지역은 전남 나주, 전북 정읍, 전북 남원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AI 인체감염증의 발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위험요인으로는 가금농장의 저병원성 AI 발생건수, 닭과 오리의 사육 밀도, 축산차량 등록 수로 확인되었다. 가금농장에서 저병원성AI가 1건 발생 시 가금농장의 고병원성AI 발생은 1.687배 증가하고, 닭과 오리의 밀도가 1,000 두/km2 증가할 경우 가금농장의 고병원성AI 발생은 각각 1.618배, 10.252배 증가하며, 축산차량의 경우 100대 증가 시 가금농장의 고병원성AI 발생이 1.134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I인체감염증의 예방을 위해 HPAI의 발생주기인 2~3년 간격으로 위험평가를 실시하고 환경·동물·사람에 대하여 원 헬스(One Health)적 관점으로 위험요인과 위험지역을 관리한다면, AI인체감염증에 대한 방역정책 수립과 사회·경제적 비용 감소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열가수분해 반응을 이용한 조류인플루엔자(AI) 감염 가금류의 사체처리 및 연료화 (Disposal and Waste-to-Fuel of Infected Poultry with Avian Influenza(AI) Using Thermal Hydrolysis Reaction)

  • 송철우;김남찬;정국;류재근
    • 유기물자원화
    • /
    • 제24권4호
    • /
    • pp.49-57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열가수분해 기술을 이용하여 AI 발생으로 인해 살처분된 가금류 사체를 처리하고 연료화 가능성을 판단하고자 하였다. 실험결과 가금류 사체는 일부 모래를 제외하고 모두 액상화 되었으며, 운전온도 $190^{\circ}C$, 운전시간 60분에서 최적효율을 나타냈다. 열가수분해 후 발생한 액상생성물은 탄소 함유량과 발열량이 높고 회분의 함량이 낮아 연료화 하기에 좋은 조건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별도의 보조연료 투입 없이 연소 시 발생하는 폐열만을 활용해 열가수분해 설비를 운전하는 것이 가능하였으며, 연소 시 발생하는 배출가스는 대기에 미치는 영향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팩트체크 - 'AI=오리인플루엔자?' 망언

  • 한국오리협회
    • 오리마을
    • /
    • 통권204호
    • /
    • pp.12-17
    • /
    • 2020
  • 조류인플루엔자가 아니라 '오리인플루엔자'라고? 3년째 계속된 사육제한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오리산업이 코로나19 여파로 소비위축이라는 수렁에 빠져 안간힘을 쓰고 있는 이 때 망언이 터져나왔다. 사건의 발단은 이러하다. 환경부 산하 공공기관인 국립생태원의 김영준 동물관리연구실장이 5월 4일자 한겨레신문(애니멀피플) 인터뷰에서 세계동물보건기구(OIE)의 공식 용어인 '조류인플루엔자(Avian Influenza, AI)'를 부정한 것이다. 급기야 "오리가 AI의 숙주이기 때문에 명칭을 '오리인플루엔자'로 지어야 한다"는 김영준 실장의 망언이 나왔고, 이에 전국의 오리농가들은 분노했다.

  • PDF

SPF 닭에서 재조합 H9N3 조류 인플루엔자 백신의 효능과 안전성 평가

  • 신정화;모인필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2006년도 제23차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90-91
    • /
    • 2006
  • To reduce the economic impact and control Low pathogenic avian influenza (LPAI), vaccination with inactivated vaccine has been considered in this country. We tried to develop inactivated vaccine with reassorted H9N3 AI virus which has different type of neuraminidase compare to those of field AI virus. Before reassorted vaccine was produced, we confirm the virus as master seed by limiting dilution, RT-PCR and sequencing method. Also, we evaluate the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virus to find out the possibility of prevention against field infection of AI virus. Finally, we evaluate the safety and efficacy of the vaccine made of reassorted AI virus in the specific pathogen free (SPF) chickens. After limiting dilution, we choose RV7CE4 as a vaccine candidate and compare the gene sequence of this vaccine strain to those of AI05GA which is parents strain. Compared to amino acid sequences of specific gene of AI05GA and RV7CE4, exhibited a high degree of amino acid sequence homology. In the safety and efficacy test, there were no specific clinical signs or mortality. Reassorted H9N3 viruses were reisolated in cloaca swab on 5 days post inoculation. In the vaccine study, once or twice vaccination was performed and challenged with H9N2 field virus (01310). Vaccine has no adverse effect on birds and formed good immune capability which reduce viral shedding in the birds infected with 01310. Based on the above result, we developed reassorted H9N3 vaccine which will efficiently prevent the low pathogenic AIV (H9N2) infection in the poultry farms.

  • PDF

뉴스기사 분석을 통한 사회이슈와 가격에 관한 연구 - 조류인플루엔자와 달걀가격 중심으로 - (Analysis of the Relations between Social Issues and Prices Using Text Mining - Avian Influenza and Egg Prices -)

  • 한무명초;;이충권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7권1호
    • /
    • pp.45-51
    • /
    • 2018
  • 조류인플루엔자는 전염 속도가 매우 빠르고 양계농장을 중심으로 생산자들과 소비자들에게 심각한 영향을 끼친다. 그중에서도 2016년 말에 전국적으로 발생한 조류인플루엔자는 좁은 공간에 밀집시켜 사육하는 산란계 농장에 큰 피해를 주었다. 이에 따라 달걀과 달걀을 재료로 하는 가공식품의 가격이 급등하였고 언론은 많은 속보성 뉴스기사를 게재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이슈를 반영한 온라인 뉴스기사의 키워드 변화와 달걀가격 변동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6년 11월부터 14주 동안 한국에서 발생한 조류인플루엔자 관련 온라인 뉴스기사 682건과 같은 기간의 달걀가격 변화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회이슈를 반영하는 뉴스기사의 키워드와 실물가격과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전북지역 육용오리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발생 증례 (Occurrence of 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 from domestic ducks in Jeonbuk province)

  • 추금숙;강미선;조범준;이정원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83-290
    • /
    • 2008
  • 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HP AI)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zoonoses in the around of world. That occurred in the domestic ducks of 34 olds day in Jeonbuk of Korea on April 2008. All of infected ducks were died. We could found several clinical signs such as facial swelling with cloudy eyes, conjunctivitis, and neurological sign. In the autopsy, moderate congestion in the kidney, multifocal hemorrhagic foci in pancreas, and mild swelling in brain were observed. Gliosis in brain and severe congestion in kidney were also shown in histopathological findings. Specific band for H5 antibody was detected in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점검 : AI 안심해도 되는가! -세계 AI 발생현황과 AI 예방대책

  • 이윤정
    • 월간양계
    • /
    • 제42권9호
    • /
    • pp.119-121
    • /
    • 2010
  • 무덥던 여름이 지나가고 조금씩 선선한 바람이 부는 계절이 돌아오고 있다. 더위에 지친 사람들과 동물들에게는 반가운 가을이지만, 조류인플루엔자(AI; Avian Influenza)라고 하는 질병 때문에라도 양계농가에서는 마냥 느긋하게 즐길 수만은 없는 계절이기도 하다. 우리나라는 2008년 5월 발생을 마지막으로 H5N1형의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HPAI)가 종식되어 현재는 HPAI 청정국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세계적으로 HPAI 발생이 지속되고 있어 재유입의 가능성이 상존하고 있고, 이전 우리나라에서의 발생이 모두 봄 가을 철새 이동시기에 있었던 점, 그리고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특성상 저온 환경에서 오래 생존할 수 있는 점 등을 생각하면 환경 온도가 낮은 가을에서 다음해 봄까지 기간이 아무래도 문제가 될 수 있는 시기라 하겠다. 따라서 본 원고에서는 우리나라 주변국을 중심으로 세계의 AI 발생현황을 알아보고 다가오는 계절에 대비하여 농가에서 지켜야 할 예방수칙에 대해 간략히 소개해 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