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florescence

검색결과 215건 처리시간 0.019초

Uniconazole 처리시기가 심비디움 Pine Clash 'Moon Venus'와 Green Sour 'A One'의 생장 및 개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Uniconazole Treatment Time on the Growth and Flowering of Cymbidium Pine Clash 'Moon Venus' and Cym. Green Sour 'A One')

  • 김홍열;정재동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7권3호
    • /
    • pp.344-345
    • /
    • 1999
  • 본 연구는 심비디움의 고랭지 이동재배의 대체기술개발을 위하여 생장억제제 uniconazole 처리시기가 심비디움 Pine Clash 'Moon Venus'와 Green Sour 'A One'의 생장 및 개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두 품종 모두 uniconazole의 처리시기가 빠를수록 왜화효과가 강하게 나타났으며 'Moon Venus' 보다 'A One'의 생장억제가 현저하였다. 'Moon Venus'의 경우 5월 7일과 27일 uniconazole 처리에 의해서 개화가 각각 5, 6일 촉진되었으며 또한 화서수, 소화수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A One'의 경우 개화시기는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uniconazole처리에 의해서 화서수와 소화수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두 품종 모두 소화의 크기를 나타내는 하악편의 길이와 폭은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다.

  • PDF

Metabolism of Safrole, a Betel Quid Component, and its Role in the Development of Oral Cancer in Taiwan

  • Liu, Tsung-Yun;Chen, Chiu-Lan;Chung, Yu-Ting;Chi, Chin-Wen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17권
    • /
    • pp.139-144
    • /
    • 2001
  • Chewing betel quid is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oral cancer. The betel quid chewed in Taiwan includes the inflorescence of Piper betle, which contains high concentrations of safrole (15 mg/fresh weight). Piper betle leaf is also used in betel quid; however, the concentration of safrole in betel leaf has not been documented. Chewing betel quid may contribute to safrole exposure in man (420 mm in saliva). Using $a^{32}$P-postlabeling method, we have recently demonstrated the presence of stable safrole-like DNA adducts in human oral tissues following betel quid chewing. Safrole is a rodent hepatocar-cinogen, and the real nature of safrole-DNA adducts in human tissues beside oral has not been elucidated. In this paper, we tested the safrole DNA adducts forming potential in human hepatic and oral derived cells by the ${32}^P$-postlabeling technique. The results suggest that oral cancer derived cell OC-2 alone is not able to form safrole-DNA adduct. However, safrole DNA adducts can be detected following I'-hydroxysafrole, a proximate safrole metabolite, treatment. In addition, pretreament of cytochrome P450 inducers also enhanced the formation of previously undetectable safrole DNA adducts. This finding couples with our previous results suggest that oral may serve as a target tissue for safrole, and safrole may be involved in oral carcinogenesis.

  • PDF

국내에서 수집된 주요 왕포아풀(Poa pratensis L.)의 개화 및 형태적 특성 (Blooming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Native Kentucky bluegrass(Poa pratensis L.) Ecotypes)

  • 심상렬;정대영;안병준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0-18
    • /
    • 2008
  • In this study, about 80 Kentucky bluegrass (Poa pratensis L.) ecotypes native to Korea were collected annually to analyze their morphology and growth characteristics from 1995 to 2007. Kentucky bluegrass ecotypes with superior characteristics of 'Pureundle' (Trial No. : P38), 'Sewon' (P77), 'Inje' (00034), 'Donggang' (00052), 'Hwasun' (01001), 'Pyengchang' (01071), 'Kongju' (02006), 'Chungsong' (02077), and 'Kumsan' (03005) and three foreign cultivars were transplanted to flowerpots in May 8, 2006 in order to analyze the blooming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ut of the selected superior ecotyes, six were collected on the roadsides, two were collected around paddy or dry fields, and one was collected at riverside. Length of 1st internode of 'Chungsong' was the longest (30.7cm), that of 'Pyengchang' was the shortest (12.8cm), and ecotypes showed variation in length. The 1st angle of branches of 'Donggang' was the narrowest ($141.7^{\circ}$), that of 'Hwasun' was the widest ($188.3^{\circ}$), and that of the introduced foreign cultivars were between $159.3^{\circ}$ and $166.7^{\circ}$. The number of nodes of the introduced cultivars were same (six), while that of Korean ecotypes were four to six. Length of flowering culm of 'Chungsong' was the longest (50.7cm) and while that of 'Pyengchang' was the shortest (19.2cm). 'Donggang' with the highest seed yield showed relatively high (36.8cm) inflorescence height when compared to other ecotypes. The five ecotypes of 'Sewon', 'Inje', 'Donggang', 'Pyengchang', and 'Kongju' were investigated to have relatively wide leaf width. Especially 'Sewon' and 'Inje' were investigated to have wide leaves of 4.5mm and over.

Taxonomic status of three taxa of Elsholtzia (E. hallasanensis, E. springia, and E. splendens var. fasciflora) (Lamiaceae) based on molecular data

  • Lee, Chang Shook;Hwang, Kung Ae;Kim, Jin Ok;Suh, Hyoung Min;Lee, Nam Sook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59-266
    • /
    • 2011
  • Elsholtzia hallasanensis, E. springia, and E. splendens var. fasciflora (Lamiaceae) were reported recently as new species or new varieties of E. splendens according to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o reappraise the taxonomic status of these additional taxa an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all Korean Elsholtzia taxa except E. saxatilis, which is distributed in North Korea, molecular studies based on the nrDNA (ITS) and cpDNA (rpl16, and trnH-psbA) sequences of seven taxa of Elsholtzia and one outgroup were carried out. The molecular data support that E. angustifolia and E. minima are distinct species from E. splendens and E. ciliata, respectively, because they have several private marker genes and show monophyly. The molecular data also support that E. splendens has a very close taxonomic relationship with both E. hallasanensis and E. springia. We found that E. splendens var. fasciflora, with multiple inflorescence, was based on several private marker genes and on the monophyly of its trees, suggesting that it can be considered as a variety. Elsholtzia springia, with the same sequences and the sam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with E. hallasanensis after transplanting, should be treated as a synonym of E. hallasanensis. Moreover, we consider the taxonomic status of E. hallasanensis as E. splendens var. hallasanensis (Y. Lee) N.S. Lee & C.S. Lee, stat. nov.

An updated taxonomy of the family Linderniaceae in Korea

  • Bazarragchaa, Badamtsetseg;Yang, Seungah;Kim, Hyoun Sook;Lee, Sang Jin;Lee, Joongku
    • 농업과학연구
    • /
    • 제46권4호
    • /
    • pp.1007-1018
    • /
    • 2019
  • In the present study, according to morphological observations followed by recent circumscriptions, we have classified the Korean taxa of the family Linderniaceae into Scrophulariaceae sensu lato has been considered in several works, though the taxa have remained undefined because identification work was mostly done according to vegetative morphological features, such as the leaf shape, leaf margins, and leaf venation. The taxa of Linderniaceae are mostly considered to be weeds and, for correct identification,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ir taxonomic characteristics. Morphological studies were carried out using samples collected in the field. Micro-morphological observations of the vegetative and floral parts were also performed using light microscopy (LM)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We concluded that important characteristics are reproductive morphologies viz. calyx, stamen structure, capsule shape, calyx ratio with capsule, inflorescence morphology, and seed morphology. As a result, we formulated taxa descriptions and provided a key of the genera of Linderniaceae in Korea. Lindernia crustacea (L.) F. Muell. is transferred to Torenia crustacea (L.) Cham. & Schltdl. Lindernia micrantha D. Don and L. angustifolia (Benth.) Wettstein are a synonym of Vandellia micrantha (D. Don) Eb. Fisch., Schäferh. & Kai Müll. Lindernia attenuata Muhl. and L. dubia var. major (Pursh) Pennell are a synonym of Lindernia dubia (L.). Lindernia verbenifolia (Colsm.) Pennell is a synonym of Bonnaya antipoda Druce. Our study reports the presence of four genera: Bonnaya, Lindernia, Torenia, and Vandellia, comprising six taxa under the family Linderniaceae in Korea.

Jasminum attenuatum Roxb. ex G. Don: 베트남 미기록종 (Jasminum attenuatum Roxb. ex G. Don (Oleaceae): a new record to the flora of Vietnam)

  • ;;;이창영;이중구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263-266
    • /
    • 2013
  • 베트남 Kon Ka Kinh 국립공원에서 최근에 발견된 Jasminum attenuatum Roxb. ex G. Don, (물푸레나무과)을 베트남 미기록종으로 보고한다. 본 종은 근연종인 J. latipetalum과 J. simplicifolium subsp. funale와는 엽신의 모양, 화서에 5-20개의 꽃이 달리고 선상의 포를 가지며 악편은 짧고 무모이며 역원추형의 악을 갖는 특징으로 근연종들과 구분된다. 본 연구에 종 동정을 위한 중요한 형질과 분류학적 기재, 식물도해, 원색사진 및 화분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을 제시하였으며 본 종과 근연종인 J. latipetalum과 J. simplicifolium subsp. funale 와의 분류학적 형질들을 비교하였다.

질소시비량과 예취시기가 답리작 호밀의 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itrogen Fertilizer Application Level and Cutting Time on Forage Yield and Feed Value of Rye in Paddy Field)

  • 김창호;채제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73-381
    • /
    • 1994
  • 호밀을 답리작으로 재배시 수량, 일반사료성분과 에너지 함량 및 수량을 질소시비량 및 예취시기에 따른 반응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호밀은 질소시비량이 30kg/10a까지 많을수록 청예 및 건물수량이 증가하고 건물률은 감소하였으며 식물체의 엽신과 엽초의 비율은 증가하는 반면 줄기와 이삭의 비율은 감소하였다. 2. 호밀은 질소시비량이 많을수록 단백질, 총가소화양분(TDN), 무기물 및 에너지 함량과 수량이 모두 증가하였으며 ADF(acid detergent fiber) 와 NDF(neutral detergent fiber)의 함량은 감소하고 상대적사료가치가 높아졌다. 3. 질소시비량이 많아지면 예취시기가 늦더라도 전체 조단백질 함량 중에서 가급태 단백질이 차지하는 비율이 크게 낮아지지 않았다. 4. 호밀의 수확적기는 관행사료가치의 관점에서 는 대체로 유숙기 무렵으로 판단되었으나 사료의 에너지 관점에서는 이와 다소 차이가 있었다. 증체에너지(NEG)와 유지에너지(NEM) 면에서 본 수확적기는 개화후기에 높고 관행사료가치보다 10일정도 빨랐으며 에너지추정값(ENE)과 필유에너지(NEL)는 유숙기 무렵으로 같았다.

  • PDF

땅두릅의 체세포배로부터 2차배 발생과 식물체 재생에 미치는 싸이토카이닌의 영향 (Effects of Cytokinins on Secondary Embryogenesis and Plant Regeneration from Somatic Embryos of Aralia cordata Thunb.)

  • 이종천;소웅영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49-154
    • /
    • 2000
  • 땅두릅 미성숙 화기절편을 이용하여 1 mg/L 2,4-D의 고체배지에서 배발생 캘러스를 유도하였고 동일조건의 액체배지에서 증식시켰다. 배발생 세포를 270$\mu\textrm{m}$의 걸름체로 거른 다음 배발생 세포는 싸이토카이닌이 포함된 MS 액체배지에서 2주 동안 배양하였고 그후 생장조절물질이 없는 MS 액체배지에서 5주간 배양하여 1차 체세포배가 유도되었다. 이들중 어뢰형과 자엽형 시기의 배를 생장조절물질이 없는 MS고체 배지에 치상하였을 때 캘러스의 형성 없이 2차배가 직접 유도되었다. 2차배를 유도할 때 2mg/L kinetin에서 얻어진 1차 배에서 가장 높은 빈도의 2차배가 발생되었다. 식물체 재생은 1 mg/L kinetin 혹은 1 mg/L zeatin을 처리하여 얻어진 1차 자엽형배로부터 유도된 2차 자엽형배를 생장조절물질이 없는 MS 고체배지에 치상하였을 때 높게 나타났다 (각각 25.4%, 28.6%). 2차배로부터의 3차배 발생과 식물체 재생과의 상관 관계를 볼 때 식물체의 재생에 있어서 3차배의 배발생은 저해적인 영향을 주었다.

  • PDF

수집종 쑥의 청색색소 카마줄렌 함량 변이 (Variation of Chamazulene Contents in Local Collections of Mugwort (Artemisia spp.))

  • 김현주;채영암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81-185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청색색소 카마줄렌을 함유한 쑥 종류를 선발하고, 이 카마줄렌 함량이 집단 내에서 개체에 따라 달라지는 지를 알아보고자 조사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국내 수집종 쑥 5종 쑥(Artemisia indica), 물쑥(Artemisia selegensis), 실제비쑥 (Artemisia japonica var. angustissima), 뺑쑥(Artemisia feddel), 황해쑥(Artemisia argyi)의 정유성분을 분석한 결과 카마줄렌을 함유하고 있는 종은 Artemisia indica이었다. 2. 식물체 내에서 영양생장기와 생식생장기 모두 잎이 화기와 줄기보다 카마줄렌을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 영양생장기에는 상위 엽이 중, 하위 엽보다 2.5배 정도 많은 카마줄렌을, 생식생장기에는 상위 줄기가 중, 하위 줄기보다 5-8배 정도 많이 카마줄렌을 함유하였다. 3. 집단 내 50개체의 개체별 카마줄렌 함량의 변이를 조사한 결과 최소 0.015% 에서 최대 0.113%까지의 큰 변이를 보였으며, 전체 개체의 72%인 36 개체가 0.03% 이상의 카마줄렌을 함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4. 모본과 후대(clones)의 카마줄렌 함량을 비교한 결과 차이가 없었다.

  • PDF

파종기와 예취시기가 답리작 호밀의 생육 및 건물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wing Date and Cutting Time on Growth and Dry Matter Yield of Rye in Paddy Field)

  • 김창호;김성민;채제천;이효원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431-436
    • /
    • 1994
  • 충남 예산지방에서 호밀을 답리작으로 재배할 때 파종기가 생육, 수량 및 식물체 부위별 건물구 성비율에 미치는 영향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예산지방에서 파종기가 11월 5일 이후로 늦어지면 호밀의 출현일수가 길어지고 출현율 및 월동율이 감소하며 출수기가 지연되었다. 2. 호밀의 생장속도는 파종기가 빠를수록 증가하였고 파종기가 11월 5일 이후로 지연됨에 따라 생육량이 크게 감소하였다. 3. 호밀의 청예 및 건물수량은 파종기가 빠를수록 증가하나 다른 지역에서보다 파종적기의 폭이 넓어서 10월 5일에서 10월 25일 사이의 파종기간 차가 크지 않았다. 청예수량은 개화기 예취시, 건물수량은 유숙기 예취시 가장 높았다. 4. 호밀의 식물체 부위별 건물구성비율은 파종기가 빠를수록 그리고 수확시기가 늦을수록 엽신과 엽초의 비율이 감소하고 줄기와 이삭의 비율은 증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