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dustrial code classification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39초

컴퓨팅 사고력 향상을 위한 문제 중심학습 기반 인공지능 교육 방안 (A Study on the PBL-based AI Education for Computational Thinking)

  • 최민성;최봉준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110-115
    • /
    • 2021
  • 4차 산업혁명 시대가 도래하면서 인공지능에 대한 교육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강의식 교육은 지식의 전달을 목적으로 두고 있어 인공지능 분야에서 요구하는 능동적인 문제해결 능력과 인공지능 활용능력을 기르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학습자가 제시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학습이 이루어지는 문제 중심학습 기반 교육 방안을 제안한다. 학습자들에게 제공되는 문제는 완성된 하나의 프로젝트이다. 이 프로젝트는 3가지 종류로 구성된다. 분류 모델, 분류 모델의 학습 데이터, 분류된 결과에 따라 실행될 블록 코드. 해당 프로젝트는 동작은 하지만 각각의 구성요소들이 낮은 동작 수준을 보이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학습자들은 테스팅을 통해 프로젝트의 문제점을 찾고 토론을 통해 해결책을 찾아 좀 더 높은 동작 수준으로 개선하는 과정을 거치며 컴퓨팅 사고력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한국표준산업분류를 기준으로 한 문서의 자동 분류 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utomatic Classification Model of Documents Based on Korean 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

  • 이재성;전승표;유형선
    • 지능정보연구
    • /
    • 제24권3호
    • /
    • pp.221-241
    • /
    • 2018
  • 지식사회에 들어서며 새로운 형태의 자본으로서 정보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그리고 기하급수적으로 생산되는 디지털 정보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 정보 분류의 중요성도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기술사업화 의사결정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맞춤형 정보를 자동으로 분류하여 제공하기 위하여, 기업의 사업 성격을 나타내는 한국표준산업분류(이하 'KSIC')를 기준으로 정보를 분류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정보 혹은 문서의 분류 방법은 대체로 기계학습을 기반으로 연구되어 왔으나 KSIC를 기준으로 분류된 충분한 학습데이터가 없어, 본 연구에서는 문서간 유사도를 계산하는 방식을 적용하였다. 구체적으로 KSIC 각 코드별 설명문을 수집하고 벡터 공간 모델을 이용하여 분류 대상 문서와의 유사도를 계산하여 가장 적합한 KSIC 코드를 제시하는 방법과 모델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IPC 데이터를 수집한 후 KSIC를 기준으로 분류하고, 이를 특허청에서 제공하는 KSIC-IPC 연계표와 비교함으로써 본 방법론을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TF-IDF 계산식의 일종인 LT 방식을 적용하였을 때 가장 높은 일치도를 보였는데, IPC 설명문에 대해 1순위 매칭 KSIC의 일치도는 53%, 5순위까지의 누적 일치도는 76%를 보였다. 이를 통해 보다 정량적이고 객관적으로 중소기업이 필요로 할 기술, 산업, 시장정보에 대한 KSIC 분류 작업이 가능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종 분류체계 간 연계표를 작성함에 있어서도 본 연구에서 제공하는 방법과 결과물이 전문가의 정성적 판단에 도움이 될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미국 및 유럽 의료기기 품목분류 체계 분석을 통한 국내 의료기기 품목분류 개선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Domestic Medical Device Product Classification through Analysis of Medical Device Classification System in the U.S. and Europe)

  • 유강현;손지민;권경민;김유림;이희성;장원석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73-79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medical devices with different management systems through comparison of domestic and overseas medical device product classification systems and to propose management conversion measures for the products. The definitions of medical devices were compared and the scope of medical devices defined by each country was confirmed through surveys of the Medical Device Act, Federal Food, Drug & Cosmetics Act (FD&C) in the U.S., and Medical Device Regulations (MDR) in Europe. Using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s regulations on medical device products and grades, 21 CFR part 860-892 and product code classification files in U.S., and EMDN in Europe as basic data to compare medical device products and derive medical devices with different management systems.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definition and product classification systems of medical devices in Korea, the U.S. and Europe, medical device accessories, prosthetic limbs and aids among assistive devic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drugs, quasi-drugs and industrial products that are not managed by medical devices in Korea are managed as medical devices in the U.S. and Europe. This study aims to improve public health by securing systematic product safety management and essential performance under medical device regulations. Management within a single medical device system will increase the efficiency of licensing work of domestic medical device manufacturers and related organizations. It is also expected to help advance the system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harmony of the item classification system and enhance smooth import and export competitiveness.

도로점용허가 정보관리를 위한 도로점용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System for the Road Occupation Permit Information Management)

  • 김영진;김병곤;정성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2호
    • /
    • pp.6495-6503
    • /
    • 2013
  • 본 논문은 설계도 등 도로점용허가에서 발생하는 정보의 관리를 위한 웹기반의 도로점용시스템 개발에 대해 기술하였다. 도로점용시스템 개발은 도로점용허가 관련 국내외 정보시스템 사례조사, 도로점용허가 업무분석, 도로점용허가 관리대상 정보정의, 시스템 개발 및 적용의 순으로 진행하였다. 도로점용허가 업무분석은 도로법 등 법령조사와 도로관리청의 업무처리 사례를 조사하고, 사용자 요구사항파악을 위해 도로관리청 업무담당자 및 민원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도로점용허가 각 업무에서 발생하는 정보의 관리를 위해 정보의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정보분류코드를 개발하고, 각 정보간의 위계관계를 고려하여 메타정보를 정의하였다. 정보분류코드 및 메타정보를 기반으로 도로점용허가 업무흐름 및 사용자요구사항을 반영하여 도로점용시스템 개발을 진행하였다. 개발한 도로점용시스템은 일선 도로관리청에 적용하였으며, 종이문서로 관리하던 도로점용허가 정보를 전자문서로 관리하게 됨에 따라 도로관리청의 도로점용허가 도서 관리업무 개선과 대국민 민원행정서비스의 품질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과학기술 논문의 참고문헌 텍스트 정보를 활용한 기술의 군집화 (Technology Clustering Using Textual Information of Reference Titles in Scientific Paper)

  • 박인채;김송희;윤병운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25-32
    • /
    • 2020
  • Data on patent and scientific paper is considered as a useful information source for analyzing technological information and has been widely utilized. Technology big data is analyzed in various ways to identify the latest technological trends and predict future promising technologies. Clustering is one of the ways to discover new features by creating groups from technology big data. Patent includes refined bibliographic information such as patent classification code whereas scientific paper does not have appropriate bibliographic information for clustering. This research proposes a new approach for clustering data of scientific paper by utilizing reference titles in each scientific paper. In this approach, the reference titles are considered as textual information because each reference consists of the title of the paper that represents the core content of the paper. We collected the scientific paper data, extracted the title of the reference, and conducted clustering by measuring the text-based similarity. The results from the proposed approach are compared with the results using existing methodologies that one is the approach utilizing textual information from titles and abstracts and the other one is a citation-based approach. The suggested approach in this paper show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the existing approaches and it shows better clustering performance. The proposed approach will be considered as a useful method for clustering scientific papers.

핵심 기술 및 특허 추출을 위한 IP 마이닝에 관한 연구 (A Novel Methodology for Extracting Core Technology and Patents by IP Mining)

  • 김현우;김종찬;이준혁;박상성;장동식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5권4호
    • /
    • pp.392-397
    • /
    • 2015
  • 최근 사회는 아날로그 시대를 거쳐 디지털, 스마트 시대로 접어들었고, 모든 분야의 기술은 끊임없는 변화와 매우 빠른 발전을 하고 있다. 이러한 경쟁사회에서 지식재산, 특히 특허분석을 통한 R&D 전략 수립은 기술경쟁력 향상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다. 특허문서는 명칭, 요약, 상세한 설명, 청구항, 기술분류정보 등 서지정보, 기술문헌과 권리문헌으로 이루어져 있어 대중은 이를 통해 해당 기술에 대한 많은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특허문서의 특징을 정량적으로 활용하고 기술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분석대상 기술의 동향을 파악하는 것뿐만 아니라, 해당 기술 분야의 핵심기술과 특허를 탐색하여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논문은 특허 데이터에 대한 정량적인 방법을 기반으로 한 핵심 기술과 핵심 특허의 도출 방법을 제안한다. 특허문서에 포함되어 있는 기술분류정보, IPC 코드에 통계분석과 사회네트워크분석을 적용하여 연구개발이 활발한 분야와 중심성이 높은 기술을 탐색한다. 그 후 특허의 인용정보와 패밀리정보 분석을 통해 핵심 기술 분야에서 중요성이 높은 특허를 추출하여, 최종적으로 기술경영 및 특허경영 전략 수립 방법을 제안한다.

머신러닝을 이용한 급성 뇌졸중 퇴원 환자의 중증도 보정 사망 예측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everity-adjusted mortality prediction model for discharged patient with acute stroke using machine learning)

  • 백설경;박종호;강성홍;박혜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126-136
    • /
    • 2018
  • 본 연구는 머신러닝을 활용하여 급성 뇌졸중 퇴원 환자의 중증도 보정 사망 예측 모형 개발을 목적으로 시행하였다. 전국 단위의 퇴원손상심층조사 2006~2015년 자료 중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disease-KCD 7)에 따라 뇌졸중 코드 I60-I63에 해당하는 대상자를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동반질환 중증도 보정 도구로는 Charlson comorbidity index(CCI), Elixhauser comorbidity index(ECI), Clinical classification software(CCS)의 3가지 도구를 사용하였고 중증도 보정 모형 예측 개발은 로지스틱회귀분석, 의사결정나무, 신경망, 서포트 벡터 머신 기법을 활용하여 비교해 보았다. 뇌졸중 환자의 동반질환으로는 ECI에서는 합병증을 동반하지 않은 고혈압(hypertension, uncomplicated)이 43.8%로, CCS에서는 본태성고혈압(essential hypertension)이 43.9%로 다른 질환에 비해 가장 월등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반질환 중중도 보정 도구를 비교해 본 결과 CCI, ECI, CCS 중 CCS가 가장 높은 AUC값으로 분석되어 가장 우수한 중증도 보정 도구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CCS, 주진단, 성, 연령, 입원경로, 수술유무 변수를 포함한 중증도 보정 모형 개발 AUC값은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경우 0.808, 의사결정나무 0.785, 신경망 0.809, 서포트 벡터 머신 0.830로 분석되어 가장 우수한 예측력을 보인 것은 서포트 벡터머신 기법인 것으로 최종 확인되었고 이러한 결과는 추후 보건의료정책 수립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전자상거래(G06Q) 분야에서 '사물인터넷' 기술의 CPC 코드 기반 기술 융복합 분석 (Analysis of Technology Convergence of 'Internet of Things' Patents in the Electronic Commerce by the CPC Code Technology)

  • 심재륜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678-683
    • /
    • 2018
  •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인 사물인터넷 기술의 기술 융복합 분석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특허문헌의 주분류-부분류 CPC 코드 관계 활용하였다. 우리나라에 2014년 이후 출원된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특허 중 주분류 CPC 코드가 G06Q50/10(전자상거래 서비스)인 특허문헌 77건에 대해 집중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사물 인터넷 기술은 "전자상거래 서비스(G06Q50/10)"분야에서 부분류 서브 클래스에 해당하는 G06Q(49건), H04L(40건), G08B(24건), G05B(21건), H04W(21건), H04N(16건) 등과 강한 결합 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CPC 코드의 기술 융복합 분석을 활용하면 여러 신기술간 기술 융복합 가능성을 예측하고, 새로운 특허를 개발하여 기업의 기술전략 수립과 새로운 가치 창출에 기여할 수 있다.

특허문헌의 IPC 코드 분석에 의한 사물인터넷 분야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Curriculum of IoT by IPC Code Analysis of Patents)

  • 심재륜;최진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11호
    • /
    • pp.1642-1648
    • /
    • 2021
  • 본 연구는 사물인터넷 관련 특허의 대표 기술을 분석한 후 이를 교육과정에 반영하기 위한 연구이다. 대표 기술을 파악하기 위해 특허문헌의 IPC 코드를 분석하였다. 단독 기술 특허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IPC 코드는 H04L로 974건(32.0%)이고, 복합 기술 특허의 경우 G06Q 710건(29.2%), H04L 396건(16.3%) 순이다. IPC 코드 분석 결과를 WIPO 기술 분류체계에 적용한 결과 단독 기술 특허에서 가장 강조되는 기술은 디지털 통신으로 약 60.5%에 이른다. 복합기술 특허에서 가장 강조되는 기술은 IT경영시스템(710건, 29.2%)과 디지털 통신(589건, 24.2%) 순이다. 본 연구를 통해 사물인터넷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시 고려해야 할 주요사항은 ∇디지털 통신 기술의 강조, ∇IT경영시스템 관련 교육의 확대(창업교육 및 특허 출원 포함), ∇사물인터넷의 확장과 융합 관련 교과목의 반영 등이다. 본 연구 방법은 인공지능과 핀테크 등 최근 대두되는 신산업 신기술 분야의 교육과정 설계 등에 기여할 수 있다.

초대형 컨테이너선의 해치 코밍 용접부의 내부 균열에 대한 파괴역학적 연구 (A Study on Embedded Crack at the Hatch Coaming FCA Butt Weldment in an Ultra Large Containership on the Basis of Fracture Mechanics)

  • 신상범;이주성
    • 대한용접접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용접접합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초록집
    • /
    • pp.61-61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vent the unstable fracture at the FCA butt weldment of hatch coaming deck in the ultra large containership during service life. In order to do it, the behavior of the embedded crack at the weldment under design loading conditions was evaluated in accordance with BS7910. Here, the level of primary stress induced by ship motion was evaluated by the design code of classification society and FEA. The level of residual stress as secondary stress was calculated in consideration of the restraint degree of weldment and welding heat input by using the predictive equation proposed by authors in the previous study. The fatigue crack growth rate at the weldment was evaluated using CT specimen in accordance with ASTM E647. According to the results, although the allowable defect for embedded crack specified in the classification society exists at the weldment, the occurrence possibility of unstable fracture at the weldment could not be negligible, regardless of CTOD value given in this study. So, in this study, the effect of initial defect size, welding heat input, restraint degree and CTOD on the fracture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embedded crack at the weldment was evaluated by the comprehensive fracture assessment. Based on the results, the design criteria including allowable defect, residual stress level and CTOD value was established to prevent the unstable fracture at the FCA butt weldment of hatch coaming deck in an ultra large containership during service life of 20yea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