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dividual Performance

검색결과 2,962건 처리시간 0.03초

바닥복사난방의 실별제어시스템에 관한 열성능 평가 (An Evaluation on the Thermal Performance of the Room Control System for Radiant Floor Heating)

  • 석호태;김오봉;조영흠;김광우;여명석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4권5호
    • /
    • pp.75-82
    • /
    • 2003
  • In this study, the thermal performance of the room control system is analyzed in terms of control performance, potential for coil expansion and energy consumption through experiments comparing the individual room control system and an existing system.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existing system is not able to supply design water flow rate and does not accurately maintain the set point temperature in each room. However, the individual room control system can set a room air temperature for each room, for it is able to supply design water flow and accurately control the set point temperature in each room and can reduce the energy consumption compared to the existing system. Moreover, the individual room control system can reduce the number of coil division zone and facilitates the construction process, because it can extend the length of the coil division.

디지틀 전송선로의 성능 분석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formance Analysis Algorithm for Digital Transmission Lines)

  • 서수완;전동근;차균현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498-508
    • /
    • 1991
  • 본 논문은 비트레벨에서, 3 - 상태 마코프체인의 모델을 사용한 종단대 종단 디지털 접속부에서의 개개 링크들의 에러성능을 평가하는 성능 분석 알고리즘을 표현했다. 링크모델은 개개링크의 버스트에러를 제안했으며, 또한 그것은 여러가지 개개링크들을 연결시키는 방법과 종단대 종단 디지털 접속부에 대한 모델을 추출하는 방법을 나타냈다. 이 결과적인 종단대 종단 모델이 주어진 블럭크기에 대한 비트에러율과 블럭에러와 같은 성능 파라미터를 계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 PDF

Effects of Lactation Stage and Individual Performance on Milk cis-9, trans-11 Conjugated Linoleic Acids Content in Dairy Cows

  • Wang, T.;Oh, J.J.;Lim, J.N.;Hong, J.E.;Kim, J.H.;Kim, J.H.;Kang, H.S.;Choi, Y.J.;Lee, H.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6권2호
    • /
    • pp.189-194
    • /
    • 2013
  •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lactation stage and individual performance on milk cis-9, trans-11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content in dairy cows. In experiment 1, the milk cis-9, trans-11 CLA content from dairy cows in early ($0.33{\pm}0.014%$), middle ($0.37{\pm}0.010%$), and late stages ($0.44{\pm}0.020%$)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and the individual contents of the major fatty acids, especially cis-9, trans-11 CLA in cows of the same lactation were also variable. In the second experiment design as a validation test, our results once again showed that the individual contents of cis-9, trans-11 CLA were various, and a difference of about 2-fold (0.55% vs 0.95%) was observed, although the animals were offered same diet. These data demonstrated that lactation stage and individual performance have considerable effects on milk cis-9, trans-11 CLA contents.

간호사의 셀프리더십 수준이 개인과 팀의 직무역할 수행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Nurses' Self-leadership on Individual and Team Members' Work Role Performance)

  • 김세영;김은경;김병수;이은표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338-348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orrelations between nurses' self-leadership and individual work role performance and correlations between self-leadership in nursing units and team members' work role performance. Methods: Participants were 202 conveniently selected general nurses from 5 general hospitals in Korea. The study was carried out on 35 nursing units. Data were collected during February 2015 with self-report questionnaires. Results: For factors affecting individual work role performance, self-expectation, self-goal setting, constructive thought, clinical career in the present nursing unit and marital status accounted for 44.0% of proficiency, while self-expectation, self-goal setting, constructive thought, and marital status accounted for 42.3% of adaptivity. Self-expectation, self-goal setting, constructive thought, self-reward, clinical career in the present nursing unit and position accounted for 26.4% of proactivity. In terms of team members' work role performance, self-reward and self-expectation in nursing units explained 29.0% of team members' proficiency. Self-reward and self-expectation in nursing units explained 31.6% of team members' adaptivity, and self-reward in nursing units explained 16.8% of team members' proactivity. Conclusion: The results confirm that nurses' self-leadership affects not only individual self-leadership but also team members' work role performance. Accordingly, to improve nurses' work role performance in nursing units of nursing organizations, improvement in nursing environment based on self-leadership education is necessary and nurses' tasks rearranged so they can appreciate work-autonomy and challenges of work.

농업인의 개인역량과 조직성과간의 연관관계 분석 (An Impact Analysis of Famer's Individual Competency on Agricultural Organization's Performance)

  • 김윤두;김사균;김효미;채수호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0권1호
    • /
    • pp.143-172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농업인의 개인역량이 농업인이 속한 조직의 성과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며, 조직성과에 큰 영향을 주는 개인역량의 도출을 통해 농업조직의 성과 향상을 통한 국내농업의 경쟁력제고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분석결과 11개의 농업인 개인역량 중 "관리능력, 고객만족, 마케팅, 정보획득"은 조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략적사고"는조직성과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다소 예측하기 힘든 추상적 역량인 "팀워크, 창조성, 혁신성, 실행성, 유연성"은 통계적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농업인들에게 내재되어 있는 중요 역량으로 조직성과 향상을 위해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교육을 통한 농업인 개인역량 강화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개인투자자의 주식투자 성과 분석 (The Common Stock Investment Performance of Individual Investors in Korea)

  • 변영훈
    • 재무관리연구
    • /
    • 제22권2호
    • /
    • pp.135-164
    • /
    • 2005
  • 개인투자자 10,000명의 1998년부터 2003년까지 6년간의 거래자료와 잔고자료를 분석한 결과, 개인투자자들은 총수익률(gross return) 기준으로 연간 12.3%의 수익률을 실현한 것으로 나타났다. 동기간에 거래소 시장의 가치가중평균수익률은 13.6%였으며 코스닥 시장을 포함하는 종합시장수익률은 9.7%를 기록하였다. 그러나 거래비용을 고려한 순수익률(net return)은 연간 8.3%로 하락하여 시장수익률보다 크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연간 270%가 넘는 거래 회전율이 투자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탓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잔고규모별 초과수익률 분석에서는 투자금액이 상위 20%에 속하는 투자자들은 시장수익률과 비슷한 수준의 수익률을 얻은 반면, 나머지 80%의 투자자들은 시장수익률과 커다란 차이를 보였는데, 왜 많은 개인 투자자들이 시장을 떠나는지를 확인시켜 주는 결과이다. 특기할 사항은 과잉확신으로 인해 거래량이 증가하고 기대효용은 낮아진다는 과잉확신 모형을 지지한다는 점이다. 분석대상인 개인투자자들은 고 베타 주식과 소형주와 가치주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의료기관에서 조직역량과 개인역량이 직무만족 및 업무수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and Individual Capabilities on Job Satisfaction and Work Performance in Healthcare Institutions)

  • 정현석;홍관수;이돈희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4호
    • /
    • pp.65-81
    • /
    • 2020
  • 본 연구는 의료서비스 산업에서 역량을 의료기관 조직과 개인의 차원으로 분류하여 조직역량과 개인역량이 조직구성원들의 직무만족 및 업무수행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개인역량과 조직역량의 구성요인과 함께 직무만족, 업무수행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 이들간의 관계를 검증하여 의료기관에 필요한 역량이 무엇인지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의 한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의사와 간호사 24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설문 분석결과, 첫째, 조직역량은 직무만족 및 업무수행에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역량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업무수행에는 유의한 결과를 얻지 못했다. 셋째, 직무만족은 업무수행에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의료기관 경영진 및 정책입안자에게 조직역량과 개인역량 개발의 중요성에 관한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하였다.

대구 중소기업의 혁신성과에 미치는 개별 협력 활동의 영향 분석: 기술역량의 조절효과 (Analysis for Impact of Individual Cooperation Activity on Small and Medium sized Firms' Innovation Performance in Daegu : The Moderating Effect of Technological Capability)

  • 강석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404-413
    • /
    • 2021
  • 중소기업은 기술력과 다양한 지식을 보유하고 있는 외부기업이나 기관 등과의 기술개발 관련 협력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는데, 자원기반이론의 관점에서 보면 불확실한 경영환경에서의 협력 네트워크 형성은 해당기업이 보유한 또 하나의 자원으로 인식될 수 있다. 기존의 연구와는 달리, 본 논문은 대구지역에 위치한 중소기업들을 대상으로 중소기업의 개별 협력 유형이 혁신활동 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기술역량이 개별 협력 유형과 혁신성과의 관계에서 어떠한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를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중소기업의 개별 협력 활동 중에서 공동연구개발만이 혁신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술역량이 우수할수록 개별 협력 활동이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더욱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중소기업은 제약된 자원에서 야기되는 성장의 걸림돌을 극복하기 위해서 공동의 연구개발과 같이 하나의 자원을 형성하여 외부기업 및 기타 조직과 협력을 해야 한다는 것과 내부적으로 기술역량을 함양하여 개별 협력 활동의 영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온라인 협업 시스템을 통한 프로젝트 성과 창출 메커니즘 연구 : 개인특성, 관계특성, 시스템특성을 중심으로 (Project Performance Creation Mechanism through Online Collaboration System : Focusing on Individual, Relational, and System Characteristics)

  • 박준영;서봉군;박도형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5권1호
    • /
    • pp.47-66
    • /
    • 2018
  • The development of IT is transforming from the way it has been working face-to-face in performing projects to the online collaboration method using web-based tools. Therefore, various online collaboration tools are being developed and commercialized, including 'Google Docs', which is called the online office. Using these online collaboration tools, users can share documents with other users and collaborate in real time. Therefore, in recent years, companies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have been using online collaboration tools to carry out tasks and projects that require collaboration. Various factors can affect the project performance satisfaction through online collaboration tools. In this regard, it is necessary to confirm the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of the project performance. However, there is not enough empirical research on the satisfaction of the performance through the online collaboration tool. Therefore, this study will investigate the mechanism of project performance satisfaction through online collaboration tool considering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project performing subject, the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between the project members, and the system characteristics of the collaboration tool.

대학병원직원의 지식경영활동과 성과에 관한 연구 (Knowledge Management Activity and Performance of University Hospital Employees)

  • 이현숙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91-300
    • /
    • 2014
  • Background: The efficient knowledge management in hospital organization is generally known as the important activities relevant to employees' knowledge sharing behavior and work performance. This research examined factors affecting employees' knowledge sharing behavior and work performance in top 4 university hospitals. This study is based on individual factors such as incentives, reciprocity, behavioral control, and subjective norms. Also, there are organizational factors such as CEO support, learning climate, IT system, rewards system, and trust. Methods: Data was collected from employees who are working at 3 hospitals university in Seoul and 1 university hospital in Gyeonggi-Do through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A total of 779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by PASW SPSS ver. 18.0. (SPSS Inc., Chicago, IL, USA). Results: The significant variables affecting knowledge sharing behavior are behavioral control (in individual factor) and CEO, IT system, and trust (in organization factor). Also the significant variables affecting work performance are incentives, reciprocity, subjective norms, and behavioral control (in individual factor) and CEO support, IT system, reward system, and trust (in organization factor). Conclusion: The personality and organization characteristics factors is important to improve knowledge sharing behavior and work performance of hospital employees. Therefore, to make more efficient knowledge management is to build and system knowledge sharing culture, system, and leadership and to develop practical strateg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