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dividual Feedback

검색결과 241건 처리시간 0.024초

지식관리시스템에서 지각된 피드백, 동기, 지식기여 간의 관계에 대한 실증분석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among Perceived Feedback, Motivation, and Use for Contribution in Knowledge Management Systems)

  • 강희택;오한모
    • 한국경영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73-88
    • /
    • 2012
  • This study examines the role of perceived feedback and motivations on the use for contribution in Knowledge Management Systems (KMS). An individual expects responses from others when he or she posts the knowledge or questions of soliciting knowledge in KMS. If an individual posts a message and there are many responses, motivation to use KMS will develop. Prior research has considered feedback a potential factor that would affect an individual's motivation, such as self-efficacy, but there is few prior works that have tested empirically on how feedback can influence an individual's motivations as well as the use for contribution in KMS. Perceived feedback can be categorized into feedback on posted knowledge and feedback on knowledge request posting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motivations such as organizational reward, knowledge self-efficacy, and enjoyment of helping, except for social reward, are associated with the use for contribution. Our results also show that among perceived feedback, feedback on posted knowledge affects motivation and use for contribution while feedback on knowledge request postings directly influences the use for contribution.

개인피드백과 집단피드백이 과업 수행의 양과 질에 미치는 상대적 효과 검증 (Relative Effects of Individual and Group Feedback on the Quantity and Quality of Task Performance)

  • 문광수;차민정;이계훈;오세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2호
    • /
    • pp.655-664
    • /
    • 2014
  • 최근 많은 기업들이 팀제를 활용하고 있지만 팀의 업무 수행 향상에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피드백 제공방법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팀 수행 상황에서 개인 피드백과 집단 피드백이 과업 수행의 양과 질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는 것이었다. 실험 과제는 영어 문서를 컴퓨터에 입력하는 것이었고 수행의 양은 입력된 단어의 수로, 수행의 질은 올바르게 입력된 단어의 비율로 측정되었다. 혼합설계(mixed design)가 적용되었고 총 48명의 참가자들은 개인과 집단 피드백 집단에 무선적으로 할당되었다. 각 팀은 3명으로 구성되었고 총 4회기 동안 함께 과제를 수행하였다. 개인피드백 조건에서는 각 참가자에게 개인의 수행에 대한 정보만 제공되었고, 집단 피드백 조건에서는 팀의 전체 수행 합에 대한 정보만을 제공하였다. 참가자들의 타이핑 속도를 통제한 공변량 분석결과, 두 가지 피드백 모두 수행의 양을 증가시키는 데 효과적이었지만, 효과크기는 집단 피드백이 더 높았다. 수행의 질에 있어서는 집단 피드백 조건에서만 올바르게 입력한 비율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개인 피드백 보다는 집단 피드백이 과업 수행 증가에 좀 더 효과적, 효율적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본 연구결과는 기존의 연구결과와는 상반된 결과로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관련 연구가 필요하다. 특히 후속연구에서는 문화 차이, 과제 종류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일반강의식 수업에서 교수·학습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in General Lecture Class)

  • 장정희;서종진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4권3호
    • /
    • pp.309-324
    • /
    • 2021
  • 과거에서 현재까지 교양 수학 수업에서 교육 환경의 변화를 추구하였으나 현재에도 대학 교육 여건으로 말미암아 일반강의식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반강의식 수업에서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는 교수·학습 방법을 찾고자 하였다. 개별 과제와 피드백 및 수업 내용을 필기하는 방법이 동일 과제와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이나 동일 과제와 피드백 제공 및 수업 내용을 필기하도록 하는 방법보다는 학생들의 학습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이한 성과급 분배 방식과 피드백 제공 여부가 근로자의 수행에 미치는 상대적 효과 비교 (The Relative Effects of Individual vs. Group Monetary Incentive Systems with and without Feedback on Work Performance)

  • 조항수;이계훈;문광수;오세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359-369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상이한 성과급 분배 방식이 근로자들의 수행에 미치는 효과가 수행 피드백의 제공 여부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 검증하는 것이었다. 서울에 위치한 G 주유소에 근무하는 5명의 근로자들이 실험에 참여하였다. 성과급 분배 방식(동등분배 집단 성과급, 개인 성과급)과 피드백의 제공 여부가 본 연구의 독립변인으로 설정되었으며, 종속변인은 참가자들이 핵심 고객 서비스 행동 5가지를 수행한 비율이었다. ABCAB'C' 피험자 내 설계가 적용되었으며 기저선 조건(A) 후 동등분배 집단 성과급 조건(B)이 제시되었고 이어서 개인 성과급 조건(C)이 제시되었다. 철회(A) 이후 다시 동등분배 집단 성과급 + 피드백 조건(B')과 개인 성과급 + 피드백 조건(C')이 차례로 제시되었다. 연구 결과 수행에 대한 피드백이 제공되지 않는 단계에서는 개인 성과급 조건에서 동등분배 집단 성과급 조건 보다 참가자들의 수행이 더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수행에 대한 피드백이 제공되는 단계에서는 동등분배 집단 성과급과 개인 성과급 조건 간 참가자들의 수행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웹 기반 학습 환경에서 개별 적응적 피드백을 지원하는 e-SRM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e-SRM System Supporting Individual Adjusting Feedback in Web-based Learning Environment)

  • 백장현;김영식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307-317
    • /
    • 2004
  • 웹 기반 교육 환경에서 학습자 특성에 따른 개별 적응적인 피드백 제공의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학습자 특성의 변인 도출의 어려움과 이를 위한 체계적인 전략과 실천 도구 개발이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웹 기반 교수 학습 환경에서 중요시되고 있는 학습자 특성 변인 중에서 학습자의 학습 패턴을 Apriori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유사한 학습 패턴을 갖는 학습자들로 그룹화 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학습자 개인에게 학습 콘텐츠, 학습 경로, 학습 상황 등을 제공하기 위한 e-SRM 피드백 시스템을 설계하고 개발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은 학습자 특성에 맞는 최적의 학습 환경을 제공해 줄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일화 재인 기억에서 강화에 근거한 의사결정 준거 학습의 특성 개인차 연구 (Trait individual difference of reinforcement-based decision criterial learning during episodic recognition judgments)

  • 한상훈
    • 인지과학
    • /
    • 제20권3호
    • /
    • pp.357-381
    • /
    • 2009
  • 이전의 연구들이 외부 피드백 정보에 대한 반응민감도에 성격특성적 개인차가 반영된다는 사실을 밝힌바 있지만, 재인기억과 관련한 의사결정에서 이러한 기질 혹은 특성적 개인차가 어떻게 관여하는지는 아직 알려진 바가 없다. 본 연구는 재인기억 과제에서 피드백에 근거한 의사결정 준거의 순응적 변화정도와 피드백에 대한 일반적 반응민감도의 개인차간 관계를 살펴보았다. 통제 조건인 실험 1에서는 올바른 피드백 조건이 의사결정 준거의 유동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보인 반면 피드백 조작이 이루어진 실험 2에서는 확신도가 높은 오기억 반응에만 선택적으로 편향된 피드백이 주어졌음에도 전반적인 Old/New 반응 범주의 결정준거 또한 순응적으로 이동함이 나타났다. 보다 중요하게 이 피드백에 근거한 의사결정 준거 학습에 나타나는 개별 피험자들의 반응민감도 차이가 강화 추구 혹은 불안 회피와 밀접하게 관련된 안정적 성격(Behavioral Activation System-BAS 혹은Behavioral Inhibition System-BIS)의 개인차에 의해 유의미하게 예측될 수 있음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그동안 외현적인 재인 기억 의사 결정에 있어서 중요하게 여기지 않았던 점증적 강화학습 기제가 결정 준거의 설정에 관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는 데에서 중요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 PDF

구체적 피드백과 포괄적 피드백이 건설 현장 근로자들의 안전 행동에 미치는 상대적 효과 검증 (Relative Effects on Construction Workers' Safety Behavior Between Global Feedback and Specific Feedback)

  • 이계훈;오세진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62-68
    • /
    • 2010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relative effects on safety behaviors between global feedback and specific feedback at a construction site. Participants were 30 full-time workers at a construction site. Five safety related behaviors were identified as critical behaviors. An ABCB within-group design was adopted. After baseline (A), participants received global feedback on their average percentage of all five target safety behaviors (B). In the next phase, participants received specific feedback on the percentages of individual target behaviors (C). In the final phase, the global feedback condition was reintroduced (B). Results showed that both global feedback and specific feedback were effective in increasing the frequencies of safety behaviors and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effectiveness between the two types of feedbacks.

Effects of Peer Feedback Types and Feedback Acceptance Levels on Academic Achievement in Middle School Project-based Learning

  • JIN, Myunghwa;LIM, Kyu Yon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20권1호
    • /
    • pp.57-81
    • /
    • 2019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effects of peer feedback types and feedback acceptance levels on academic achievement in project-based learning. The participants were 70 middle-school students taking an English course. They were divided into corrective and suggestive feedback groups. These participants were asked to create user-created content (UCC) as an individual task and provide peer feedback on a peer's UCC in the same type of feedback group.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peer feedback types (corrective vs. suggestive) and feedback acceptance levels (high vs. low). In particular, the suggestive peer feedback group had higher academic achievement than the corrective peer feedback group. Moreover, the group with a high level of feedback acceptance gained higher academic achievement than the group with a low level of feedback acceptance. Moreover, there was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peer feedback types and feedback acceptance on academic achievemen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eer feedback types and feedback acceptance should be considered for effective peer feedback activity. These findings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peer feedback activity in project-based learning.

퍼지적분을 이용한 내용기반 검색 사용자 의견 반영시스템 (Relevance Feedback for Content Based Retrieval Using Fuzzy Integral)

  • Young Sik Choi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권2호
    • /
    • pp.89-96
    • /
    • 2000
  • 영상의 유사성에 대한 사용자의 주관적인지를 학습하는 방법으로 relevance feedback 기술이 사용되며, 최근 들어 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대부분의 relevance feedback기술은 영상 유사성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특징이 서로 독립적이라는 가정하고 있으나, 이러한 가정은 유사성 판단을 모델링 하는데 있어서 상당한 제약을 두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퍼지 측정과 Choquet 적분을 이용하여, 유사성 판단에 대한 보다 나은 모델링 방법을 제안하고, 이를 이용한 relevance feedback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실험결과를 통하여, 기존의 가중치 평균 방식에 의한 relevance feedback보다 제안된 방식이 우수함을 보인다.

  • PDF

Effects of Ongoing Feedback on Students' Attitudes towards Writing

  • Yang, Tae-Sun
    • 영어어문교육
    • /
    • 제16권1호
    • /
    • pp.171-188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ole of ongoing feedback from the professor in students' processes of learning and developing writing skills. Specifically, the researcher was concerned with how ongoing feedback affected students' attitudes towards writing because in EFL contexts, motivating students to write is a first step to engage them in a challenging journey of academic writing. 20 freshmen taking a writing course, "Paragraph & Essay Writing", at A university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y were asked to complete the questionnaire at the end of the spring semester 2009. The results revealed that receiving ongoing feedback from the professor had a positive influence on affective domain, was helpful to develop learning strategies, and was valuable in learning outcomes. However, they also expressed negative opinions: feeling a burden, focusing on forms, and feeling confused. To reflect their opinions, the following four suggestions were made to create a more effective learning environment: promoting learner autonomy, facilitating individual writing conferences, giving balanced feedback in between form and content, and using judicious feedback through careful stream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