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in General Lecture Class

일반강의식 수업에서 교수·학습 방법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21.09.07
  • Accepted : 2021.09.18
  • Published : 2021.09.30

Abstract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general mathematics classes have pursued change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However, due to the actual college education conditions, general lecture classes are taking place. In this study, we wanted to fi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at would help students in general lecture classes. As a result, one group that took notes about class content and provided feedback on individual tasks was more effective in math achievement than the group that provided feedback on the same task. In addition, one group who took notes on class content and provided feedback on individual assignments was more effective in math achievement than the group who took notes on class content and provided feedback on the same task.

과거에서 현재까지 교양 수학 수업에서 교육 환경의 변화를 추구하였으나 현재에도 대학 교육 여건으로 말미암아 일반강의식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반강의식 수업에서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는 교수·학습 방법을 찾고자 하였다. 개별 과제와 피드백 및 수업 내용을 필기하는 방법이 동일 과제와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이나 동일 과제와 피드백 제공 및 수업 내용을 필기하도록 하는 방법보다는 학생들의 학습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인애.허정필.최성경. (2017). Flipped PBL과 Flipped Learning간의 흥미도 및 학업성취도. 교양교육연구, 11(3), 331-375.
  2. 곽성은. (1997). 컴퓨터 그래픽을 통한 수학교육의 향상.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A, 36(2), 107-117.
  3. 권영성. (2006). 대학의 강의식 수업에서 교수의 효율적인 교수 행동 요인 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서울.
  4. 김동률. (2018). 대학교양수학의 플립러닝과 플림PBL효과성 연구. 한국육합회논문지, 9(6). 209-215.
  5. 김병무. (2002). 대학수학에서 급수의 합에 대한 다양한 접근.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E, 14(1), 91-100.
  6. 김성옥. (2005). 사회과학 전공을 위한 대학 수학 교육. 수학교육논문집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E, 19(4), 587-597.
  7. 김수란. (2014). 대학 수업에서 학습자 질문저해요인 척도 타당화 연구. The Journal of Yeollin Education, 22(3), 249-271.
  8. 김태수.김병수. (2008). 대학수학의 수준별 수업에 따른 학업성취도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E, 22(3), 369-382.
  9. 김향숙. (2003).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for Mathematics using Mahtematica(II).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D, 7(2), 101-123.
  10. 김혜영. (2009). 대학생의 미적분학 성취도와 수학적 자기 효능감의 차이와 관계 연구. 아주대학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수원.
  11. 류지헌.조형정.윤수정. (2007). 학습지 질문 생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 탐색. 교육연구, 30, 109-129.
  12. 박신향. (2016). PBL 수업과 강의식 수업 비교를 통한 수업 방식 선호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9), 495-515.
  13. 박용범.박일영.김한희.임기문.허만성. (2001). 수학교육에서 Maple 모듈의 활용방안.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E, 12, 211-232.
  14. 서종진.유천성.최은미. (2006). 대학수학교육에서 Maple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수학회 논문집, 9(4), 557-573.
  15. 서종진.조승희. (2018). 개별지도가 대학수학 기초학력 부진 학생들의 수학 학업성취도와 수학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1(3), 287-301.
  16. 이정례.이성진.권혁홍.이경희. (2011). 수학 기초학력 향상프로그램이 학업성취도와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E, 25(1), 167-184.
  17. 이정례. (2015). 공과대학 신입생들의 수학에 대한 인식변화에 따른 대학수학 교육방향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E, 29(3), 513-532.
  18. 전명진.조민식. (2005). 대학수학교육에서 기하학의 응용과 교과내용의 구성방안. 수학교육논문집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E, 19(4), 621-631.
  19. 전영배.노은환.최정숙.김대의.정의창.정찬식.김창수. (2009). 미분 문제해결 과정에서의 오류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2(4), 545-562.
  20. 전재복. (2008). 바람직한 대학 기초 수학 교육 과정 운영 방안.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E, 22(4), 399-416.
  21. 정상권.추상목. (1999). 수학교육에서의 Maple 활용방안.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1(1), 157 -185.
  22. 정영숙.성지훈. (2018). 대학 강의식 수업에서 질문 작성 중심의 학습자 질문 활성화 전략에 대한 교육적 효과 인식. 교육문제연구, 31(2), 145-173.
  23. 표용수.박준식. (2009). 대학과목선이수제 교과목의 효율적 운영 방안.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E, 23(2), 279-296.
  24. 표용수.박준식. (2010). 대학수학 기초학력 부진학생을 위한 기초수학 지도방안.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E, 24(3), 525-541.
  25. 한동승.유홍상. (2001). Maple을 이용한 삼각함수의 이해.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4(2), 1-9.
  26. 함승연. (2009). 공대 졸업생들의 공학기초능력 수준과 교육 요구 분석. 대한공업교육학회(대한공업교육학회지), 34(1), 196-209.
  27. 허정필. (2017). Fliled PBL 수업이 흥미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서울.
  28. 허혜자. (1998). Mathematica를 활용한 수학지도. 대한수학교육학회 논문집, 8(2), 541-551.
  29. 황혜정. (2020). 문제 중심(PBL)에 기반한 수업 지도 내용 탐색. East Asian Math. J 36(2), 229-251
  30. Dreyfus, T., & Eisenberg, T. (1982). Intuitive functional concepts: A baseline study on intuitions. Jouornal for Rea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13(5), 360-380.
  31. Hadar. N. M., & Zaslavsky. O. (1987). Error analysis in mathematics education. Journal of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10, 163-172. https://doi.org/10.2307/748804
  32. Knuth, E. J. (2000). Understanding the connections between equation and graphs. Mathematics Teacher, 93(1), 48-53. https://doi.org/10.5951/MT.93.1.0048
  33. Vinner, S., & Dreyfus, T. (1989). Image and Definitions for the Concepts of Function.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0(4), 356-366. https://doi.org/10.2307/7494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