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cremental cure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9초

코어용 레진의 두께가 중합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hickness on the Degree of Cure of Composite Resin Core Material)

  • 권병철;박정원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1권5호
    • /
    • pp.352-358
    • /
    • 2006
  • 본 연구는 코어용 이중 중합 레진의 중합도에 미치는 두께의 영향과 빛이 감소된 깊은 와동에서 자가 중합에 의한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Luxacore Dual과 Luxacore Self (DMG Inc, Hamburg, Germany) 두 종류의 코어용 레진 수복재를 지름 10 mm, 두께가 2, 4, 6, 8 mm 의 Teflon mold에 주입하고 자가중합 시키거나 혹은 $500 mW/cm^2$의 광도로 제조자의 지시에 따라 중합 후 $37^{\circ}C$ 증류수에 24시간동안 저장하였다. 각 시편의 윗면과 아랫면에서 Knoop's hardness를 측정하였다. 결과는 ANOVA로 통계 분석 하였고 Tukey's test로 사후 검정하였다. Luxacore Self와 Luxacore Dual을 자가중합 시킨 군의 중합도는 두께에 따른 영향을 받지 않았다. Luxacore dual을 광중합한 경우 중합은 2 mm, 4 mm와 6 (적층충전) mm군에서는 밑면의 효과적인 중합이 일어났으나 8 (적층충전) mm군, 6, 8 (단일충전) mm군은 밑면에서 불완전한 중합을 보였다 (p < 0.05). 따라서 이 실험 결과에 의하면 4 mm를 초과하는 경우 단일충전보다 적층충전이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Curing Induced Residual Stresses in Laminated Cylindrical Shells

  • Lee, Soo-Yong
    • Journal of Mechan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4권1호
    • /
    • pp.19-29
    • /
    • 2000
  • A viscoelastic finite element analysis is presented to investigate residual stresses occurred in a laminated cylindrical shell during cure. An incremental viscoelastic constitutive equation that can describe stress relaxation during the cure is derived as a recursive formula which can be used conveniently for a numerical analysis. The finite element analysis program is developed on the basis of a 3-D degenerated shell element and the first order shear deformation theory, and is verified by comparing with an one dimensional exact solution. Viscoelastic effect on the residual stresses in the laminated shell during the cure is investigated by performing both the viscoelastic and linear elastic analyses considering thermal deformation and chemical shrinkage simultaneously. The results show that there is big difference between viscoelastic stresses and linear elastic stresses. The effect of cooling rates and cooling paths on the residual stresses is also examined.

  • PDF

광중합방식이 콤포머의 변연폐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OLYMERIZATION TECHNIQUES ON THE MICROLEAKAGE OF COMPOMER)

  • 조옥환;한진순;임미경;이수종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6권1호
    • /
    • pp.32-40
    • /
    • 2001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various polymerization techniques on the microleakage of compomer restorations. Fifty extracted human premolars and molar were used and randomly divided into 5 groups. After cavity preparation, compomer (F2000$^{\circledR}$) was fill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directions. All groups, except group 5, were filled using an incremental technique. Group 1 was polymerized for 40 seconds at a continuous 485mW/$\textrm{cm}^2$ with a VIP$^{\circledR}$(Bisco, USA) light cure unit. Group 2 was polymerized for 20 seconds at 345mW/$\textrm{cm}^2$ and then for 20 seconds at 645mW/$\textrm{cm}^2$ with the VIP equation omitted light cure unit. Group 3 was polymerized at 400mW/$\textrm{cm}^2$, gradually increased to 50mW/$\textrm{cm}^2$ 10 seconds until 550mW/$\textrm{cm}^2$ was reached; total 40 seconds with a Spectrum 800$^{\circledR}$ (Dentsply Caulk, USA) light cure unit. Group 4 was polymerized for 3 seconds using an incremental technique with a Flipo$^{\circledR}$ (LOKKi, France) light cure unit. Group 5 was polymerized for 3 seconds using a bulk fill technique with the Flipo$^{\circledR}$ light cure unit. The specimens were embedded with acrylic resin, and were sectioned with diamond saws in a mesiodistal dir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tooth so as to pass through the center of the restoration, and three surfaces (occlusal, pulpal, and gingival) were examined with SE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Group 5 showed a significantly larger gaps compared to other groups on the gingival, occlusal, and pulpal walls. 2. All groups except group 5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gap on the gingival, occlusal, and pulpal walls. 3.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amount of enamel on the gingival and occlusal walls and polymerization shrinkage.

  • PDF

광 전달 쐐기를 이용한 중합 방법이 레진 충전물의 미세 누출과 미세 경도에 미치는 효과 (THE INFLUENCE OF CURING WITH LIGHT TRANSMITTING WEDGE INSERTED INTO THE COMPOSITE RESIN BODY ON THE DEGREE OF MICROLEAKAGE AND MICROHARDNESS)

  • 서용석;김용기;김종수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731-748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hypothesis that the more thorough cure of lightactivated composite resin could be obtained if a new way of delivering the light source deep through the resin body is developed when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bulk cure or incremental cure. Using cylindrical resin blocks and natural teeth, various curing conditions were tested for their effects on the degree of microleakage and microhardness. Data were analyzed statistically using One-Way ANOVA and Scheff's Multiple Range test.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1. The increment of reduction in microhardness with depth was shown to be higher in group I and II than in group II and V. 2. At the level of lower inner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significantly lower microhardness values were obtained in group I and II when compared to group III, IV and V. Group IV showed the lowest value among three groups(III, IV, V) representing the onl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rom group V(p<05). 3.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the degree of microleakage detected were shown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5) with the exception of group IV and V at both occlusal and gingival margins. 4. Based upon the above-mentioned results, commonly cited recommendation of incremental curing is strongly supported and the light-transmitting wedge insertion method can be considered as a effective and feasible clinical procedure for the better curing of composite resin. However, more studies under a variety of conditions should be completed before this method is applied actually to the clinical setting.

  • PDF

고체 추진제 장시간 물성거동 반응 연구 (A Study of Thermo-rheological Behaviour from Long Term Responses of Solid Composite Propellant)

  • 류태하;김낙현;길태옥;최용규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8-16
    • /
    • 2017
  • 고체 추진기관이 노즐마개에 의해 외기와의 교환이 완벽히 차단된다면, 구조적 안정성은 제작초기 조건인 내부조성간의 잔류반응(Post Cure, Migration etc.), 그리고 자유공간 내의 산소(또는 산화방지제)와 습기(제습제)와의 반응에 종속된다. 이로부터 발생하는 혼합형 고체추진제의 기계적 특성은 매우 복잡하며, 추진기관은 발사직전까지 일교차/년교차의 끊임없는 열하중을 받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고체 추진기관의 제조공정인 성형오븐에서 출고 후 저장안정화까지의 거동을 고체추진제의 열유변학적 단순특성을 적용하여 신속하게 산출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온도제어 가능한 Endurance Test 장치를 고안 제작하였으며, 추가적으로 점진적 응력과 변형율 증가에 따른 비선형 특성도 검토한다.

복합레진 수복시 와동의 크기 및 수복 방법이 교두 굴곡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AVITY SIZE AND RESTORATION METHODS ON THE CUSP DEFLECTION IN COMPOSITE RESTORATION)

  • 이미라;이인복;석창인;이상탁;엄정문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9권6호
    • /
    • pp.532-540
    • /
    • 2004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cusp deflection during composite restoration for MOD cavity in premolar an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cavity dimension, C-factor and restoration method on the cusp deflection. Thirty extracted maxillary premolar were prepared to four different sizes of MOD cavity and divided into six groups. The width and depth of the cavity were as follows. Group 1; $1.5{\;}{\times}{\;}1{\;}mm$, Group 2; $1.5{\;}{\times}{\;}2{\;}mm$, Group 3; $3{\;}{\times}{\;}1{\;}mm$, and Group 4-6; $3{\;}{\times}{\;}2{\;}mm$ respectively. Group 1-4 were restored using bulk filling method with Z-250 composite. However, Group 5 was restored incrementally, and Group 6 was restored with an indirect resin inlay. The cusp deflection was recorded at the buccal and lingual cusp tips using LVDT probe for 10,000 seconds. The measured cusp deflections were compared between group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be of the length of cavity wall/the cube of the thickness of cavity wall ($L^3/T^3$). C-factor and cusp deflection or % flexure ($100{\;}{\times}$ cuspal deflection / cavity width) was analyzed. The cusp deflection of Group 1-4 were $12.1{\;}\mu\textrm{m},{\;}17.2{\;}\mu\textrm{m},{\;}16.2{\;}\mu\textrm{m}{\;}and{\;}26.4{\;}\mu\textrm{m}$ respectively. The C-factor was related to the % flexure rather than the cusp deflection. There was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ship between the $L^3/T^3$ and the cusp deflection. The cusp deflection of Group 5 and 6 were $17.4{\;}\mu\textrm{m}{\;}and{\;}17.9{\;}\mu\textrm{m}$ respectively, which are much lower value than that of Group 4.

두께에 따른 이중 중합형 복합레진의 중합 (Polymerization of dual cured composites by different thickness)

  • 김윤주;진명욱;김성교;권태엽;김영경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3권3호
    • /
    • pp.169-176
    • /
    • 2008
  • 본 연구는 이중 중합형 복합레진에서 재료의 두께, 충전방법 및 중합방법에 따른 중합도를 미세경도 시험을 이용하여 측정하고자 하였다. 이중 중합형 복합레진으로는 MultiCore Flow (Ivovlar Vivadent AG, Schaan, Liechtenstein)와 Bis-Core (Bisco Inc., Schaumburg IL, USA)를 사용하였다. 시편의 제작은 각각 두께가 2(단일충전), 4 (단일충전), 6 (단일충전과 적층충전), 8 (단일충전과 적층충전) ㎜의 Teflon mold에 재료를 주입한 다음 할로겐 광중합기 (Optilux 501, Kerr, Danbury, USA)를 사용하여 광중합하거나 암실에서 30분 동안 기다린 후(자가 중합) Teflon mold에서 제거하였다. 제거한 시편은 $37{\circ}C$ 증류수에 24시간 동안 보관한 후 각 시편의 윗면과 아랫면을 2000번 연마제와 PoGo system (Dentsply, Konstanz, Germany)을 이용하여 마무리하였다. Digital microhardness tester (FM-7, Future-Tech Corp., Tokyo, Japan)를 이용하여 경도값(Knoop hardness number)을 측정하였으며 윗면의 경도값/아랫면의 경도값을 이용하여 경도비를 계산하였다. 계측치는 one-way ANOVA로 통계 분석 후 사후검정은 Scheffe 다중비교법을 이용하였다. 이중 중합형 복합레진의 중합도에 대한 두께의 영향을 보면 재료에 따라 다른 결과를 보였다. 2, 4, 6 mm 군에서는 MulriCore Flow와 Bis-Core 모두 두께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았지만 8 mm 군에서는 MultiCore Flow의 아랫면에서 다른 두께의 군보다 낮은 경도값을 보였다. 충전방법에 따른 중합도의 차이를 보면, 재료의 두께나 재료에 따라 다른 결과를 보였다. 6 mm 군에서는 단일충전군과 적층충전군 사이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8 mm 군에서는 Bis-Core에서는 차이가 없는 반면 MultiCore Flow에서는 단일충전한 군이 적층중전한 군보다 낮은 경도비를 보였다. 중합방법에 따른 중합도의 차이를 보면, 재료에 따라 다른 결과를 보였다. Bis-Core의 경우에는 윗면과 아랫면 모두에서 이중 중합 시킨 군이 자가 중합 시킨 군보다 높은 경도값을 보였다. 그러나 MultiCore Flow의 경우, 윗면에서는 이중중합 시킨 군이 더 높은 경도값을 보였지만 아랫면에서는 더 낮은 값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코어용 이중 중합형 복합레진을 깊은 와동에 충전할 경우 적층충전이 추천되며, 또한 광중합을 해 줌으로써 더 좋은 물리적 성질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두께에 따른 이중 중합형 복합레진의 중합 (Polymerization of dual cured composites by different thickness)

  • 김윤주;진명욱;김성교;권태엽;김영경
    • 대한치과보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치과보존학회 2008년도 Spring Scientific Meeting(the 129th) of Korean Academy if Conservative Dentistry
    • /
    • pp.169-176
    • /
    • 2008
  • 본 연구는 이중 중합형 복합레진에서 재료의 두께, 충전방법 및 중합방법에 따른 중합도를 미세경도 시험을 이용하여 측정하고자 하였다. 이중 중합형 복합레진으로는 MultiCore Flow (Ivovlar Vivadent AG, Schaan, Liechtenstein)와 Bis-Core (Bisco Inc. Schaumburg IL, USA)를 사용하였다. 시편의 제작은 각각 두께가 2 (단일충전). 4 (단일충전), 6 (단일충전과 적층충전), 8 (단일충전과 적층충전) mm의 Teflon mold에 재료를 주입한 다음 할로겐 광중합기 (Optilux 501 Kerr, Danbury, USA)를 사용하여 광중합하거나 암실에서 30분 동안 기다린 후(자가 중합) Teflon mold에서 제거하였다. 제거한 시편은 $37^{\circ}C$ 증류수에 24시간 동안 보관한 후 각 시편의 윗면과 아랫면을 2000번 연마제와 PoGo system (Dentsply, Konstanz, Germany)을 이용하여 마무리하였다. Digital microhardness tester (FM-7, Future-Tech Corp., Tokyo, Japan)를 이용하여 경도값(Knoop hardness number)을 측정하였으며 윗면의 경도값/아랫면의 경도값을 이용하여 경도비를 계산하였다. 계측치는 one-way ANOVA로 통계 분석 후 사후검정은 Scheffe 다중비교법을 이용하였다. 이중 중합형 복합레진의 중합도에 대한 두께의 영향을 보면 재료에 따라 다른 결과를 보였다. 2, 4, 6 mm군에서는 MultiCore Flow와 Bis-Core 모두 두께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았지만 8 mm 군에서는 MultiCore Flow의 아랫면에서 다른 두께의 군보다 낮은 경도값을 보였다. 충전방법에 따른 중합도의 차이를 보면 재료의 두께나 재료에 따라 다른 결과를 보였다. 6 mm 군에서는 단일충전군과 적층충전군 사이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8 mm 군에서는 Bis-Core에서는 차이가 없는 반면 MultiCore Flow에서는 단일충전한 군이 적층충전한 군보다 낮은 경도비를 보였다. 중합방법에 따른 중합도의 차이를 보면, 재료에 따라 다른 결과를 보였다. Bis-Core의 경우에는 윗면과 아랫면 모두에서 이중 중합 시킨군이 자가 중합시킨 군보다 높은 경도값을 보였다. 그러나 MultiCore Flow의 경우, 윗면에서는 이중중합 시킨 군이 더 높은 경도값을 보였지만 아랫면에서는 더 낮은 값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코어용 이중 중합형 복합레진을 깊은 와동에 충전할 경우 적층충전이 추천되며, 또한 광중합을 해줌으로써 더 좋은 물리적 성질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Bulk-base 복합 레진의 중합 깊이에 따른 미세경도 평가 (Evaluation of Microhardness of Bulk-base Composite Resins According to the Depth of Cure)

  • 노유미;신비솔;김종수;유승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335-340
    • /
    • 2017
  • 복합 레진은 소아치과 영역에서 대중적으로 사용되는 재료가 되었다. 하지만 복합 레진은 중합 수축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적층 충전을 해야 하기 때문에 긴 시술 시간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임상가들은 bulk-filling 재료에 관심을 돌리기 시작하였고, 최근 bulk-base 복합 레진이 새로 출시되었다. 본 연구는 bulk-base 복합 레진의 깊이별 미세경도 측정값을 비교, 평가하였다. 실험군으로 1종의 저점도 bulk-base 복합 레진과 1종의 고점도 bulk-base 복합 레진을 사용하였고 대조군으로 1종의 전통적 복합 레진을 사용하였다. 각 깊이별 재료들의 미세경도에 대한 결과로 대조군의 경우는 중합 깊이가 깊어질수록 미세경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05). 이에 반해 실험군 인 HFB는 0 mm와 4 mm에서, 그리고 MFB는 0 mm와 2 mm, 0 mm와 3 mm에서 각각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높이에 따른 유의한 감소 경향을 보이지는 않았다. 각각의 깊이에서 시편들의 미세경도를 비교하였을 때 표면과 2 mm에서는 대조군이 실험군보다 큰 미세경도를 보였다(p < 0.05). 3 mm에서는 저점도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미세경도가 크게 나왔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 하지만 4 mm에서는 모든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큰 미세경도 값을 보였다(p < 0.05). 이번 실험을 통하여 bulk-base 복합 레진이 4 mm에서 기존의 복합 레진보다 더 높은 미세경도를 보였고 표면과 2 mm에서는 더 낮은 미세경도를 보이는 것을 관찰하였다. 그러므로 bulk-base 레진의 기계적 성질의 향상을 통해 표면의 낮은 미세경도 특성이 극복된다면 소아 환자의 수복 치료 시 적용이 고려되어 질 만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