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come Poverty Line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19초

사적 소득이전의 빈곤완화 효과 (The Effects of Private Income Transfers' Reducing Poverty in Korea)

  • 손병돈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39권
    • /
    • pp.157-179
    • /
    • 1999
  • 이 연구는 사적 소득이전이 우리나라의 빈곤율을 어느 정도 낮추며, 소득계층별로 사적 소득이전에 의한 빈곤감소 효과가 어떻게 차이가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1996년, 1997년, 1998년 도시가계조사 원자료와, 한국보건사회연구원과 한국노동연구원이 1998년도에 조사한 실업가구조사 원자료를 분석자료로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우리나라의 사적 이전은 공공복지와는 비교가 안될 정도로 큰 규모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도시근로자 가구, 실업가구 모두에서 사적 이전소득 수혜율이 공적 이전소득 수혜율 보다 휠씬 높았고, 이전소득의 절대량도 사적 이전이 공적 이전보다 더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사적 이전에 의한 빈곤감소 효과는 그다지 크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도시근로자 가구 전체를 대상으로 할 때, 사적 이전의 빈곤감소율은 $10{\sim}11%$ 정도이고, 실업가구 전체를 대상으로 할 경우 빈곤감소율은 3% 내외에 불과했다. 셋째, 사적 이전은 극빈층의 빈곤감소에는 거의 기여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도시근로자 가구 전체를 대상으로 할 때, 사적 이전은 극빈층이라고 할 수 있는 하위 5% 계층의 빈곤율을 전혀 하락시키지 못했고, 실업가구를 대상으로 할 경우에도 소득이 전혀 없거나 매우 적은 가구들인 하위 40% 이하 계층의 빈곤율을 겨우 $0.6{\sim}0.7%$ 포인트 정도밖에 떨어뜨리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적 이전이 극빈층의 빈곤감소에는 거의 기여하지 못하지만, 극빈층이 현재의 생활을 유지하는 데는 매우 중요한 것으로 밝혀졌다. 도시근로자 가구를 대상으로 할때, 사적 이전소득을 수혜하는 하위 5% 계층의 경우 경상소득 대비 사적 이전소득의 비율이 25.6%에 이르며, 실업가구들에서 사적 이전소득이 있는 하위 20%계층의 경우소득 대비 사적 이전소득의 비율이 1이며, 하위 $21{\sim}40%$ 계층의 경우에도 그 비율은 52%에 달한다.

  • PDF

빈곤가계의 복지지원을 위한 빈곤선 설정의 이론적 고찰 (Theoretical Review to Draw Poverty Lines)

  • 박명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63-73
    • /
    • 1995
  • Absolute poverty is redefined as biological existence level poverty and relative poverty is also redefinded as 'the state that relatively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specific society's average living standard under the condition that basic needs on the biological existence level has been satisfied.' Then absolute poverty and relative poverty lies on the same welfare continuum. Therefore these two can be regarded as one unified concept. Theoretical bottom line of poverty is the biological existence level and ceiling is average income. Poverty line for the social policy is to be drawn between ceiling and floor. Using these standard lines three poverty bands are categorized : minimum subsistence level, minimum decency level.

  • PDF

The Impact of Financial Inclusion on Economic Growth, Poverty, Income Inequality, and Financial Stability in Asia

  • RATNAWATI, Kusuma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10호
    • /
    • pp.73-85
    • /
    • 2020
  • As an effort to achieve sustainable development and increase people's welfare, financial inclusion has become the policy agenda of many countries. Therefore, the effect of financial inclusion on economic growth, poverty, income inequality, and financial stability in several countries in Asia has become the goal and this is the subject of this study. Financial inclusion is measured by 3 dimensions, namely banking penetration, access to banking services, and use of banking services. Poverty ratio below the national poverty line and the Gini coefficient are used as indicators of poverty and income inequality. Financial stability is measured by Bank Z-Score and bank nonperforming loans. The results from the hypothesis test shows that all dimensions of financial stability simultaneously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economic growth, poverty, income inequality, and financial stability. On the other hand, the partial impact of financial inclusion dimension on economic growth, poverty alleviation, income inequality, and financial stability in ten countries of Asia has not been optimal. The derived results of this study is required to be interpreted and considered by the Governments of each country in developing strategies for increasing financial inclusion, so that the policy to achieve sustainable development and enhancement of people's welfare can be achieved.

Overcoming Poverty and Social Inequality in Third World Countries (Latin America, Africa)

  • Drobotya, Yana;Baldzhy, Maryna;Pecheniuk, Alla;Savelchuk, Iryna;Hryhorenko, Dmytro;Kulinich, Tetian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3호
    • /
    • pp.295-303
    • /
    • 2021
  • The relevance of the research is due to the fact that the issue of poverty is one of the most acute social problems of the beginning of the third millennium. The phenomenon of poverty is widespread in third world countries as well as it is observed in relatively developed countries. Poverty rates in Latin America are threatening. Consequently, the issue of social and economic inequality in these countries has become extremely acute. The purpose of the research: to identify the causes of poverty and social inequality and substantiate the main directions of poverty reduction in third world countries. The research methods: comparative analysis; index method; systematization; grouping; generalization. Results. The classification of the causes of poverty has been carried out and the directions of its overcoming in the countries of Latin America on groups of indicators have been defined, namely: 1) political; 2) economic; 3) demographic; 4) regional-geographical; 5) social; 6) qualification; 7) personal. Based on the Net Domestic Product indicator, a comparison of economic indicators of the studied countries has been carried out. It has been revealed that from 1990 to 2018 income inequality increased in 52 of 119 countries studied, and decreased in 57 states. Inequality has increased in the world's most populous countries, particularly China and India. In general, countries with growing inequality are home to more than two-thirds (71%) of the world's population. Trends in the distribution of income in the world have been investigated by applying the Gini index, the high level of which is observed in Latin America (Colombia 48,9%, Panama 46,1%, Chile and Mexico 45,9%). The forecast of the impact of the Covid-19 pandemic on this issue has been outlined; the ways of its impact on the economies of the countries have been studi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main directions and mechanisms of the strategy for poverty reduction and social inequality in the third world countries have been identified. The implementation of the poverty reduction strategy presented in this academic paper may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economic situation of the population of Latin American countries.

계층별 수비패턴 분석을 통한 외식비의 빈곤선 설정 -1993년 도시근로자 가계를 중심으로- (Setting Poverty Line of Food Away from Home by Comparing of Consumption Pattern among different Social Classes -With a focus on the 1993 Urban Wage Earner's Family-)

  • 류정순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4권2호
    • /
    • pp.277-288
    • /
    • 1996
  • Food away from home consumption pattern difference among 20 different social strata has been observed in order to make judgement how much food away from home expenditure should be included in the 2 tiered poverty line. It was found that it was reasonable to include food away from home expenditure in the minimum living cost. And as social class rose expenditure amount and percentage of consumption compared to total food expenditure increased and income elasticity and margial propensity decreased. Percentage of consumption compared to total expenditure increased up to middle class however from 14/20 and up strata decreased as social strata rose. For 4 members city wage earner family suggested monthly poverty line is 16, 977 and suggested monthly relative poverty line is 60, 651.

  • PDF

이전소득의 독거노인가구 빈곤경감 효과 비교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overty-Mitigating Effects Originated from Transfer Income Systems among Single-Elderly-Households)

  • 김수영;이강훈
    • 한국노년학
    • /
    • 제29권4호
    • /
    • pp.1559-1575
    • /
    • 2009
  • 2008년 기초노령연금제도가 시행되면서 공적 노후소득보장의 근거가 마련되었다. 하지만 아직 기초노령연금은 보조수당의 범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어 소득보장제도로서의 핵심적인 역할을 하기에는 미흡한 수준이며, 경제적 자립이 어려운 노인들은 총소득 중 여전히 사적이전소득 의존율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경제활동이 원활하지 못하거나 공적소득보장제도의 적용을 제대로 받지 못하는 노인가구의 빈곤율은 노인이 아닌 가구에 비해 더 높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공적이전소득이 노후 생활보장의 핵심적인 수단이 되어야 한다는 전제에서 공적이전소득과 사적이전소득이 노인가구의 빈곤을 어느 정도 경감시키는가를 비교해 보았다. 특히 노인인구 중에서도 상대적으로 더 취약한 독거노인가구를 대상으로 하여 공적 및 사적 이전소득의 빈곤경감 효과를 비교분석함으로써 공적 소득보장제도의 중요성을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65세 이상 혼자 사는 독거노인가구이며, 분석자료는 통계청의 가계조사 중 2006년-2008년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독거노인가구의 빈곤정도와 이전소득의 빈곤경감 정도를 상대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우리나라 전체인구 및 전체 노인가구의 빈곤율과 비교하였고, 독거노인가구에 속한 하위집단의 빈곤정도와 이전소득의 빈곤경감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성별, 연령, 경제활동 여부 등 인구사회학적인 특성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가구 전체의 빈곤율은 기초노령연금 및 장기요양보험제도가 시행된 2008년 이후에도 전년대비 감소하지 않았다. 둘째, 독거노인가구를 포함한 노인가구에서 두 가구 중 한 가구는 절대빈곤상태에 놓여 있으며, 특히 독거노인가구 중 여성, 비근로, 저학력, 고령, 농어촌 노인가구의 빈곤율이 상대적으로 더 높았다. 셋째, 독거노인가구의 빈곤감소에서 공적이전에 의한 빈곤감소효과가 조금씩 증가하는 추세이지만, 여전히 사적이전에 의한 빈곤감소가 공적이전에 의한 빈곤감소보다 더 크게 기여하였다. 넷째, 공적이전효과 중에서는 생계비 지원 등의 사회보장 수혜효과가 공적연금효과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Households' Characteristics, Forest Resources Dependency and Forest Availability in Central Terai of Nepal

  • Panta, Menaka;Kim, Kyehyun;Lee, Cholyoung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8권5호
    • /
    • pp.548-557
    • /
    • 2009
  • For centuries, forests have been a key component of rural livelihood. They are important both socially and economically in Nepal. Firewood and fodder are the basic forest products that are extracted daily or weekly basis in most of the rural areas in Nepal. In this study, a field survey of 100 household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degree of forest dependency and forest resource availability, households' livelihood strategy and their relationship with forest dependency in Chitwan, Nepal. A household' response indexes were constructed, Gini coefficient, Head Count Poverty Index (HCI) and Poverty Gap Index (PGI) were calculated and one way ANOVA test was also performed for data analysis. Data revealed that 82/81% of all households were constantly used forest for firewood and fodder collection respectively while 42% of households were used forest or forest fringe for grazing. The Forest Product Availability Indexes (FPAI) showed a sharp decline of forest resources from 0.781 to 0.308 for a 20-yr time horizon while timber wood was noticeably lowered than the other products. Yet, about 33% of households were below the poverty threshold line with 0.0945 PGI. Income distribution among the household showed a lower Gini coefficient 0.25 than 0.37 of landholdings size. However, mean income was significantly varies with F-statistics=246.348 at P=0.05 between income groups (rich, medium and poor). The extraction of firewood, fodder and other forest produc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income group with F-statistics=16.480, 19.930, 29.956 at P=0.05 respectively. Similarly, landholdings size and education were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income groups with F-statistics=4.333, 5.981 at P=0.05 respectively.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income status of households was the major indicator of forest dependency while poor and medium groups were highly dependent on the forests for firewood, fodder and other products. Forest dependency still remains high and the availability of forest products that can be extracted from the remaining forestlands is decreasing. The high dependency of households on forest coupled with other socioeconomic attributes like education, poverty, small landholders and so on were possibly caused the forest degradation in Chitwan.Therefore, policy must be directed towards the poor livelihood supporting agenda that may enhance the financial conditions of rural households while it could reduce the degree of forest dependency inspired with other income generating activities in due course.

장기 정착 새터민의 빈곤특성 연구: 남한 빈곤층과의 비교 고찰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overty of North Korean Settlers: A Comparison with the South Korean Poor)

  • 김연희;조영아;유시은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1권1호
    • /
    • pp.195-218
    • /
    • 2009
  • 본 연구는 장기정착 새터민의 빈곤 문제를 남한빈곤층과 비교를 통하여 빈곤의 규모, 심도, 기여 요인들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해서 제3차 새터민 추적조사 자료와 한국사회복지패널 1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였다. 새터민의 가구소득은 남한주민의 약 70% 정도로 낮았으나, 빈곤선 200%이상 가구 비율은 남한가구 비율과 비슷한 수준으로 전반적인 경제수준의 향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절대빈곤선 100%미만은 남한주민의 2배, 절대빈곤선 50%미만 가구의 비율은 남한 비교층의 8배에 달하고 있다. 새터민의 정착기간이 길어지면서 빈곤을 탈출하는 새터민의 수가 늘어가고 있는가 하면 절대빈곤선 이하에 있는 새터민 빈곤층의 빈곤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새터민의 빈곤결정요인은 연령, 취업가구원수, 건강만족도 등으로 나타났다. 결론에서 새터민 정착지원정책에 대한 함의가 논의되었다.

  • PDF

차원계수방식에 의한 다차원적 빈곤 측정 (Measurement of Multidimensional Poverty by Counting Approach)

  • 최균;서병수;권종희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3권1호
    • /
    • pp.85-111
    • /
    • 2011
  • 다차원적 빈곤접근에 있어 빈자의 구분방식에는 복합지수방식, 합집합 및 교집합방식이 있는데 이들 방식들은 타당하지 않은 문제들이 있었다. Alkire와 Foster는 이 문제를 해소하는 방법으로 합집합과 교집합의 중간 형태로서 결핍차원들의 개수를 경계선으로 이용하는 차원계수방식을 이론화하였다. 차원계수방식에 의해 우리나라의 다차원적 빈곤을 측정한 결과, 3개 결핍차원을 정책적 차원빈곤선으로 하는 경우 다차원적 빈곤율은 20% 수준으로서 10명 중 2명이 다차원적으로 빈곤하였다. 다차원적 빈곤율이 높은 것은 자산, 소득, 사회보장, 건강 등 여러 차원으로 결핍의 폭이 넓은데 기인하였다. 여성, 한 부모, 노인, 비경제활동인구 등 취약계층일수록 다차원 빈곤의 폭이 넓고 가중되고 있었다. 연구결과 현행 기초생활보장제도가 탈 빈곤유도와 기초생활보장이라는 두 가지 정책목표를 각각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근로능력 유무에 따라 수급자선정과 지원체제를 이원화하고 차원계수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유용하다고 본다.

  • PDF

의사결정나무분석을 활용한 노인빈곤 결정요인 분석 (Determinant of the Elderly Poverty Using Decision Tree Analysis)

  • 박미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7호
    • /
    • pp.63-69
    • /
    • 2018
  • 본 연구는 6차 년도 국민노후보장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노인빈곤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별, 연령, 교육수준, 건강상태와 같은 노인의 개인적 특성, 거주지역, 가족 구성 형태와 같은 노인가구의 특성, 근로소득 유무, 임금근로자 여부와 같은 노인 근로적 특성, 그리고 공적연금수급 여부, 사적연금수급 여부, 사회보장급여수급 여부, 부동산 소득 여부, 개인연금형태 수입 여부와 같은 은퇴 후 근로 외의 발생소득 특성을 노인빈곤 변인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6차 년도 조사대상 5,254가구 중 65세 이상 그리고 노인가구를 분류한 후 결측값이 포함된 것을 제외한 총 3,418명이 분석에 활용하였다. 의사결정나무분석 결과, 노인빈곤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변인은 근로소득 유무로 나타났다. 근로소득이 없는 빈곤노인의 경우 공적연금수급 여부, 교육수준, 거주지역이 그리고 근로소득이 있는 빈곤노인의 경우 임금근로자 여부와 성별이 빈곤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이런 분석결과를 토대로, 노인빈곤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Senior re-employment 노동환경 조성, 무료 직업교육 프로그램 개발 제공, 공적연금 수급 확대 및 미래연금수급 안전성 보장 및 강화 차원의 현행 연금제도 개선 필요성, 여성 노인 우선적 고용 및 임금근로 조건에 의한 노인 고용 업체 인센티브 제공 등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