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bred line

검색결과 132건 처리시간 0.033초

QTLs analysis associated with a major agronomic traits in hanareum2×unkwang rice recombinant inbred line

  • Lee, Ji Yoon;Cho, Jun Hyeon;Kang, Ju Won;Shin, Dong Jin;Kim, Tae Heon;Song, You Chun;Han, Sang Ik;Park, Dong Soo;Son, Young Bo;Cho, Su Min;Oh, Myeong Kyu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101-101
    • /
    • 201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mprove yield potential of Tongil type rice variety based on QTLs analysis associated with yield component using a total of 386 rice recombinant inbred lines (RILs) derived from a cross between Tongil type high yield variety "Hanareum2" and Japonica variety "Unkwang". 384 SNP markers were used, and 241 of them (62.6%) were polymorphic between Hanareum2 and Unkwang. One hundred forty-four QTLs in 11 traits, such as heading days, were detected. Most of them were 21 QTLs associated with 1000 grain weight and the least was 8 QTLs associated with panicle number. The QTL, qDTH3-2 associated with days to heading was identified to delay heading date for 2.4~2.6 day. Eleven QTLs were associated with culm length. The QTL, qCL1-2 on chromosome 1, was identified to decrease culm length. A total of 16 QTLs were detected for panicle length. Three QTLs, qPL3, qPL6, and qPL7-1 were increased panicle length. Seven QTLs related to panicle number except qPN7 were increased the number of panicle. Four QTLs related to grain number per panicle, qGNP2-1, qGNP6, and qGNP7, were increased the number of grains. Three QTLs associated with grain filling rate, qGFR1, qGFR2-2, and qGFR7-1 were increased grain filling rate. Twelve QTLs associated with 1,000 grain weight. were increased the grain weight. Fourteen QTLs were identified associated with grain length. 10 QTLs, such as qGL1-1, were increasing grain. Fifteen QTLs associated with grain width were detected. The 8 QTLs, such as qGW1-1, were elongated grain width. Seventeen QTLs were associated with grain thickness, and ten QTLs of them were increased grain thickness. We need further study to develop introgression lines of each QTL to improve yield potential of Tongil type rice variety.

  • PDF

Genetic Mapping of Resistant Genes in Brassica pekinensis Against Plasmodiophora brassicae Race 6

  • Lee, Gung-Pyo;Baek, Nam-Kwon;Park, Kuen-Woo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8권5호
    • /
    • pp.266-270
    • /
    • 2002
  • Inbred lines of Chinese cabbage KU-101 (resistant line against Plasmodiophora brassicae race race 6) and CS-113 (susceptible line) were crossed and their progeny lines F$_1$, BC$_1$F$_1$, F$_2$, and F$_3$ were produced for the construction of the genetic linkage map of R brassicae race 6-resistant Brassica campestris ssp. pekinensis genome.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RFLP) was applied to compare between parents and their f$_2$ progenies with a total of 192 probes and 5 restriction enzymes. The constructed RFLP map covered 1,104 cM with a mean distance between genetic marker of 8.0 cM, and produced 10 linkage groups having 121 genetic loci. The loci of P. brassicae race 6 (CR6)-resistant Brassica genome were determined by interval mapping of quan-titative trait loci (QTL), which resulted from bioassay using the same race of the fungi in P3 population. Resistant loci were estimated in numbers 1 (Gl) and 3 (G3) linkage groups. In the regression test, Gl had a value of4.8 logarithm of odd (LOD) score, while C3 had values of 4.2-7.2. Given these results, the location of the CR6-resistant loci within the Brassica genome map can now be addressed.

RAPD Pattern of Ginseng(Panax ginseng C.A. Meyer) Lines Containing High Level of Ginsenoside

  • Kang, Tae-Jin;Kim, Se-Young;Rho, Yeong-Deok;Deok-Chun
    • Plant Resources
    • /
    • 제6권3호
    • /
    • pp.170-174
    • /
    • 2003
  • The important component for medical effect in ginseng is ginsenoside. Korea Ginseng & Tobacco Research Institute contains approximately 200 lines produced by inbred selection. It is assumed that ginseng lines containing high level of ginsenoside should be included in those lines. Besides, new breeding methods such as cell line selection in vitro and hairy root were recently developed. Therefor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ct genes related to ginsenoside, and to use it for selection marker to select and distribute lines containing high level of ginsenoside. DNA was extracted from both ginseng roots and hairy roots,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line containing high ginsenoside(KG101) and normal ginsenoside(KG103) were analysed. As a result, 28 out of 36 primers showed bands, and many primers showed band difference between ginseng lines. It is considered that the bands should be analysed using DNA sequence comparison to check if those are related to ginsenoside. In case of hairy roots of ginseng, almost no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wo lines.

  • PDF

The Improvement of Early Egg Productivity in Korean Native Ogol Chicken Selected by Serum IGF-I Concentration

  • Kim, D. H.;Kim, M. H.;W. J. Kang;D. S. Seo;Y. Ko
    • 한국동물번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물번식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초록집
    • /
    • pp.17-17
    • /
    • 2002
  • There are considerable reports that the expression of insulin-like growth factor-Ⅰ (IGF-Ⅰ) is related to ovarian regulation and oviductal development in poultry. Korean Native Ogol Chicken (KNOC) have been inbred to keep a pure line so that there has been limitation in the improvement of egg productivity by genetic studies.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arly egg productivity of KNOC pre-selected by IGF-Ⅰ expression. (omitted)

  • PDF

Aggressiveness in Plasmopara halstedii (sunflower downy mildew)

  • Sakr, Nachaat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7권2호
    • /
    • pp.110-115
    • /
    • 2011
  • Aggressiveness was studied in seven Plasmopara halstedii (sunflower downy mildew) pathotypes: 100, 300, 304, 314, 704, 710 and 714. Aggressiveness criteria including percentage infection, latent period, sporulation density and reduction of hypocotyl length (dwarfing) were analysed in one sunflower inbred line showing a high level of quantitative resistance. Genetic relationships were detected between the seven pathotypes using 12 EST-derived markers. Pathotypes 100, 300, 304 and 314 were characterized with shorter latent period and higher sporulation density than pathotypes 710, 704 and 714. All pathotypes showed high percentage infection values and caused a large reduction in seedling size except for pathotype 314 involved in dwarfing. Pathotypes 714, 704 and 314 had an intermediary genetic position between the pathotypes 100 and 710. No correlation was detected between aggressiveness traits and EST genotypes.

Breeding of Powdery Mildew Resistant Squash 'Miso'

  • Cho, Myeong-Cheoul;Om, Young-Hyun;Huh, Yun-Chan;Cheong, Seung-Ryong;Kim, Dae-Hyun;Mok, Il-Gin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9권spc호
    • /
    • pp.1-5
    • /
    • 2011
  • A new powdery mildew resistant squash (Cucurbita moschata Duch.) 'Miso' was bred from a cross between powdery mildew resistant true variety 'Sangol' and powdery mildew susceptible inbred line 'Seoulmadi' at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NIHHS). The 'Miso' variety was vigorous and highly resistant to powdery mildew. It showed white green fruit color. The variety yielded 21.3MT/ha which is 52% more than control variety.

분자마커 이용 여교잡 육종을 위한 토마토 유전자원 평가 및 SSR 마커 개발 (Evaluation of Germplasm and Development of SSR Markers for Marker-assisted Backcross in Tomato)

  • 황지현;김혁준;채영;최학순;김명권;박영훈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0권5호
    • /
    • pp.557-567
    • /
    • 2012
  • 본 연구는 마커이용여교잡(marker-assisted backcross, MAB)을 통한 내병성 토마토 신품종육성에 필요한 기초 정보를 얻기 위해 수행되었다. TYLCV, 시들음역병, 청고병, 흰가루병에 내병성인 공여친 계통 10종과 이병성이지만 우수 원예형질을 지닌 회복친 계통 4종에 대해 병리검정과 TYLCV 내병성 연관 분자마커 분석을 수행하였다. MAB를 위한 회복친 유전자 선발(background selection)용 마커개발을 목표로 SOL Genomics Network에 공시된 토마토 유전자지도(reference map)로부터 전 게놈에 균등히 분포된 108개(염색체 당 평균 9개) SSR 마커를 분석하여, 총 303개의 다형성 마커를 기반으로 공여친, 회복친 계통 간 유연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유사도 값의 전체 범위는 0.33-0.80으로계통 간 가장 높은 유사도 값(0.80)을 나타낸 것은 청고병에 저항성인 '10BA333'와 '10BA424'이었고, 가장 낮은 유사도 값(0.33)을 나타낸 것은 시들음역병에 내병성인 야생종 L3708(Solanum pimpinelliforium L.)과 청고병에 저항성인 '10BA424'이었다. 유사도 값을 이용하여 UPGMA 분석한 결과, 유사도 0.58를 기준으로 나누었을 때 3개의 군(cluster)으로 분류되었는데, 대부분 동일한 내병성을 지닌 공여친계통 간 유전적 거리가 가까워 이들은 공통된 저항성 재료를 이용한 육성과정에서 파생된 계통일 것이라 판단되었다. 계통수(dendrogram)를 기준으로 유전적 거리가 지나치게 멀지 않으면서 비교적 다수의 회복친 유전자 선발용 SSR 마커의 확보가 가능한 여교배 조합(공여친 ${\times}$ 회복친)은 TYLCV 내병성의 경우 'TYR1' ${\times}$ 'RPL1', 청고병의 경우 '10BA333' 또는 '10BA424' ${\times}$ 'RPL2', 흰가루병의 경우 'KNU12' ${\times}$ 'AV107-4' 또는 'RPL2'로 판단되었다. 시들음역병의 경우 내병성 공여친인 'L3708'은 야생종으로서 모든 회복친 계통들과 유전적 거리가 매우 멀었으며, 적절한 조합은 유사도 값이 0.41이며 계통 간 45개의 다형성 SSR 마커가 선발된 'L3708' ${\times}$ 'AV107-4'로 판단되었다.

캘러스 유도에 의한 수박 형질전환 (Genetic Transformation of Watermelon (Citrullus vulgaris Schard.) by Callus Induction)

  • 권정희;박상미;임미영;신윤섭;한지학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4권1호
    • /
    • pp.37-45
    • /
    • 2007
  • 수박은 형질전환이 매우 어렵고 직접적인 신초 유도방법으로는 안정된 형질전환을 기대할 수 없어서, 다른 여러 작물에서 높은 효율을 보였던 캘러스 유래 신초 유도 방법을 도입하고자 하였다. 수박의 최적 캘러스 유도조건은 자엽 절편체의 경우 2.0 mg/L zeatin과 0.1 mg/L IAA이었으며 뿌리 절편체의 경우 2.0 mg/L BA와 0.1 mg/L 2,4-D이었다. NptII 유전자의 선발 항생제는 kanamycin보다는 paromomycin 빠르고 효과적이었으며, 수박의 절편체에 Agrobacterium을 접종 한 후 paromomycin을 125 mg/L 첨가한 배지에서 선발하였다. pmGFP5-ER vector로 형질전환한 후 캘러스 상태에서 형광현미경을 통해 GFP 유전자의 도입을 확인하였으며, 딱딱한 초록색의 캘러스에서 강한 GFP 발현을 관찰하였고, 자엽유래 캘러스의 경우 WM8에서 9.0%, 뿌리유래 캘러스의 경우 WM6에서 8.3%의 가장 높은 GFP 발현 효율을 보였다. GFP 유전자 도입과 같은 방법으로 WMV-CP 유전자가 있는 pWMV2300 vector로 형질전환한 후 캘러스 상태에서 PCR 및 Southern blot 분석을 한 결과, 두 점의 캘러스에서 WMV-CP 유전자가 도입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확립된 수박의 캘러스 유도 시스템은 안정된 수박 형질전환 방법에 기초 자료로서 이용될 것이다.

분벽성 옥수수에 대한 Esterase 동위효소의 유전분석 (Genetic Analysis of Esterase Isozymes in Tillering Maize)

  • 이희봉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46-150
    • /
    • 1990
  • 분벽성 옥수수에 대한 esterase 동위효소의 유전양상을 알아보고자 acrylamide gel 6.5%를 사용하여 분벽성인 IK 계통과 대조구로 무벽성인 A-type 계통을 교배하여 얻은 $F_1$$F_2$ 종자를 28$^{\circ}C$ 암조건하에서 발아시킨 유조직 중심주를 공시하여 전기영동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실험에 공시된 중심주조직은 음극효소를 포함하여 총 13개의 동위효소가 확인되었으며 이동거리에 따라 유전분이 양상이 5개군으로 구분되었다. 2. 원점으로부터 0.5cm에 존재하는 E$_{0.3}$, E$_{0.4}$, E$_{0.5}$ 동위효소는 2개의 대립인자에 의해 지배되었고, E$_{0.3}$+E$_{0.4}$ 변이체는 공우성 대립인자에 의해 지배되었다. 3. 밴드의 이동거리가 1.0cm에서 1.8cm에 존재하는 E$_{1.0}$ , E$_{1.2}$ , E$_{1.5}$ , E$_{1.8}$ 의 4개의 동위효소는 2개의 대립인자에 의해 지배되었고 존재하지 않는 비활성 밴드가 우성으로 작용하였다. 한편 변이체로 나타난 E$_{1.2}$ +E$_{1.5}$ 의 동위효소는 공우성 대립인자로 작용하였다. 4. 밴드의 이동거리가 2.8cm에서 3.5cm에 존재하는 E$_{2.8}$ , E$_{3.0}$ , E$_{3.5}$ 인 세 개의 밴드는 이들 중에서 두 개씩 나타나는 밴드가 세 개 모두 나타나는 개체수보다 현저히 많이 나타났다. ($\chi$$^2$=0.327$^{**}$ ). 5. 밴드의 이동거리가 3.8cm 이상에서 나타난 동위효소는 활성이 매우 낮았고 이들 효소는 모두가 두 개의 대립인자에 의해 지배되었다. 따라서 분벽성 옥수수 중심주 조직에 대한 esterase 동위효소는 멘델식 유전법칙에 의해 지배된다고 생각된다.각된다.각된다.

  • PDF

배추 유래 신규 건조 저항성 관련 유전자, BrDSR의 분리 및 기능 검정 (Isolation and Functional Identification of BrDSR, a New Gene Related to Drought Tolerance Derived from Brassica rapa)

  • 유재경;박영두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3권4호
    • /
    • pp.575-584
    • /
    • 2015
  • 건조 스트레스는 작물의 생존과 생산성을 결정하는데 매우 중요한 환경요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배추에서 신규 건조 스트레스 저항성 유전자를 동정 검정하는 것이다. 건조 스트레스 하에서 생육된 지부('Chiifu') 배추를 이용하여 제작된 KBGP-24K 마이크로어레이 데이터 분석을 통해 738개의 건조 반응 유전자 중 기능은 밝혀져 있지 않지만, 건조 스트레스 하에서 발현량이 6배 이상 크게 증가한 1개의 유전자를 선발하여 BrDSR(B. rapa Drought Stress Resistance)이라 명명하였다. 이의 검정을 위해 내혼계배추('CT001')에서 BrDSR을 동정한 결과 438bp의 오픈리딩프레임과 145개의 아미노산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동정된 완전장의 cDNA 염기서열은 형질전환용 과발현 vector인 'pSL100' 제작에 이용하였다. BrDSR이 식물체에서 건조 스트레스 저항성을 향상시켜줄 수 있는지 분석하기 위해 담배 형질전환을 수행하였다. PCR과 DNA 블롯 분석으로 선발된 T1 세대 담배 형질전환체들을 대상으로 quantitative real-time RT PCR 분석을 수행한 결과, 형질전환체의 BrDSR 발현량은 비형질 전환체 보다 2.6배까지 증가하였다. 또한 건조처리 10일째 수행한 표현형 분석에서 BrDSR이 발현되는 담배 형질전환체들이 비형질전환체들 보다 우수한 건조 저항성을 보였다. 연구 결과들을 종합하면 BrDSR은 건조 스트레스 하에서 식물의 생장과 생존에 효과적인 저항성 기능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