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 vitro Rumen Fermentation

검색결과 252건 처리시간 0.027초

통옥수수 및 Steam-flaked 옥수수 기초사료가 반추위미생물 발효성상과 한국재래산양 반추위대사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hole or Steam-flaked Corn Based Diet on Ruminal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In Vitro and Ruminal Metabolism in Korean Native Goat In Vivo)

  • 배귀석;배정희;윤석준;장문백;고종렬;하종규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6호
    • /
    • pp.757-768
    • /
    • 2002
  • 본 연구는 반추가축에 있어 통옥수수를 주로 이용한 조사료 무급여사료의 발효특징을 알아 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대조구는 steam- flaked corn으로 구성된 농후사료 (80%)와 볏짚(20%)을 혼합한 사료 SFCR)와 통옥수수와 면실피로 구성된 조사료 무급여사료(WC)를 사용하였다. 실험 1은 한우 반추위 미생물을 이용하여 in vitro 시험을 2처리 3반복 시험을 배양시간 48시간 동안 실시하였고, 실험 2는 한국재래산양을 이용한 반추위 내 발효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in vivo 시험을 2처리 4반복 실험을 15일간 실시 하였으며, in sacco 시험은 2처리 3반복으로 시험을 3일간 실시하였다. 실험 1에서 SFCR구와 WC구 모두 반추위 적정 pH를 유지하였으며 처리간에 유의성은 없었으나 배양 4시간 대에 SFCR에서 다소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Gas 발생량은 SFCR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1), $NH_3$-N 농도는 WC구에서 다소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Total VFA농도는 8시간대까지 WC구에서 유의성있게(p<0.01) 낮았고 이후 유의성은 없었으나 두 처리구 모두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전체 평균 Acetate 함량은 SFCR구에서 모두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1), 전체배양시간에 동안 propionate 함량은 WC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p<0.01). 건물소화율은 두 처리구 모두 유의적 차이가 없으나 SFCR구에서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다. 실험 2에서 두 처리구 모두 전체적으로 다소 낮은 pH를 보였으며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나 SFCR구에서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다. 반추위 미생물단백질 함량은 SFCR구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나, $NH_3$-N 농도는 WC구에서 유의하여 높았다(p<0.01). Total VFA함량과 propionate 함량도 WC구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나(p<0.01), acetate 함량은 유의성은 없었고 WC구에서 다소 높았다. 전체적인 Lactate 함량은 두 처리구에서 유의적 차이를 보였으나(p<0.01) 산독증 발병 수준 이하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Nylon bag에 의한 한국재래산양 반추위 내 in sacco 건물소실율은 SFCR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p<0.01). 이상의 시험 결과에 의하면 농후사료 80%와 볏짚 20%로 구성된 SFCR 사료가 반추위 내 발효 특성에 있어서 통옥수수와 면실피로 구성된 조사료 무급여사료와 큰 차이가 없었으며, 반면 조사료 무급여사료는 사료 가공비용 감소에 의해 경제성이 증가할 것이다.

사료작물 사일리지의 단백질 분획 및 Borate-phosphate Buffer 추출이 In vitro 발효성상, Gas 발생 그리고 분해율에 미치는 효과 (Protein Fractionation of Whole Crop Silages, and Effect of Borate-phosphate Buffer Extraction on In vitro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Gas Production and Degradation)

  • ;김광림;지병주;;오영균;홍성구;송만강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1권5호
    • /
    • pp.369-378
    • /
    • 2009
  • 본 시험은 여러 종류(호밀, RS; 볏짚, RSS; 소맥, WS; 트리티케일, TS; 귀리, OS; 청보리, BS)의 사일리지를 대상으로 단백질을 분획(fractionation)하고, in vitro 방법으로 buffer 추출 전과 추출 후의 사일리지를 배양하였을 때 반추위 미생물에 의한 발효성상, 가스발생량 및 분해율을 조사하고자 실시되었다. 사일리지의 가용성 물질은 boratephosphate 용액으로 추출하였으며, 반추위액과 인공 타액이 동일한 비율로 구성된 배양액을 혐기적인 조건에서 48시간동안 배양($39^{\circ}C$)하면서 발효 성상과 nylon bag을 이용한 사일리지의 in vitro 분해율을 조사하였다. 사일리지의 soluble protein (SP) 함량은 RSS에서 총 CP 함량 중 2.11%로 가장 낮았으며, RS와 BS 및 OS에서는 7% 이상의 높은 함량을 보였다. 또한 A fraction (NPN)은 RS에서 총 CP의 74.33%로 가장 높았으나 TS 및 RSS의 NPN 함량은 48% 정도로 비교적 낮았다. Buffer 불용성 단백질(IP) 중 B2 fraction은 RS, RSS 및 WS에서 총 CP의 7% 이상으로 비교적 높았던 반면 TS (1.45%)와 BS (2.13%)에서 매우 낮았다. 이와는 달리 $B_3$ fraction은 WS (4%)를 제외하고는 다른 사일리지에서 5.99~15.20%의 함량을 보였다. 체내 이용성이 매우 낮은 C fraction은 볏짚 사일리지(RSS)에서 27.07%로 다른 종류의 사일리지(1.40~9.93%)에 비하여 현저히 높은 수준이었다. 배양 12시간 까지는 추출 전에 비하여 추출 후의 사일리지 배양액에서 pH가 높았으나 (P<0.01~P<0.001) 48시간에는 오히려 추출 전의 사일리지 배양액의 pH가 낮았다(P<0.01). 배양액의 ammonia-N는 모든 사일리지에서 추출 전의 농도가 추출 후의 농도에 비하여 현저히(P<0.01~P<0.001) 높았으나 사일리지 종류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았다. 모든 사일리지에서 추출 후에 비하여 추출 전의 VFA 농도가 현저히 증가되었다(P<0.01~P<0.001). Acetate의 조성 비율은 buffer 추출 전에 비하여 배양 24시간까지 추출 후 모든 사일리지에서 높았던 (P<0.01~P<0.001) 반면 propionate와 butyrate 비율은 배양 24시간까지 추출 전에 더 높았다(P<0.001). 배양 12시간까지는 buffer 추출 전의 사일리지로부터 더 많은(P<0.01~P<0.001) 양의 gas가 발생되었지만 그 후로(24~48시간)는 오히려 buffer로 추출된 후의 사일리지에서 발생량이 더 많았다(P<0.01). 추출 후에 비하여 추출 전 사일리지의 DM과 CP 분해율이 현저히(P<0.001) 높았으나 NDF 분해율의 경우 오히려 추출 후의 사일리지에서 높았다(P<0.001). 그러나 각 사일리지에 대한 buffer 추출 전 후의 평균치에서는 사일리지 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시험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사일리지로 인해 현저히 증가된 NPN 함량이 사일리지의 단백질 이용율을 크게 낮출 것으로 보이며, 단백질을 포함한 buffer 가용성 물질은 사일리지의 초기 발효를 크게 촉진할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보호아미노산의 추가 공급이 반추위 발효성상 및 비유중기 착유우의 유량 및 유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pplementation of Ruminally Protected Amino Acids on In vitro Ruminal Parameters and Milk Yield and Milk Composition of Dairy Cows in Mid-lactation)

  • 이종민;남인식;안종호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0권2호
    • /
    • pp.199-208
    • /
    • 2008
  • 본 연구는 보호아미노산 추가 공급이 비유중기 착유우의 반추위 발효 성상 및 유생산량과 유성분 등의 생산성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in vitro 시험과 in vivo 시험을 각각 실시하였다. In vitro 시험은 각각 4g의 공시사료를 이용하였으며, 처리구에는 보호라이신(PRLys, 2.71 %)과 보호메치오닌(PRMet, 0.90%)을 3:1로 혼합하여 첨가한 후 48시간동안 배양한 후 처리구와 대조구의 pH와 건물소화율을 확인하였다. 또한 In vivo 시험은 3:1로 혼합한 보호라이신 (PRLys, 2.71%)과 보호메치오닌(PRMet, 0.90%) 100g을 1일 2회로 나누어 비유 중기 착유우에 오전과 오후 착유 시 정량급여 한 후 생산되는 우유의 양 그리고 유성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아미노산의 추가 급여로 인한 in vitro 반추위 pH와 건물소화율은 배양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나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사용된 보호아미노산은 반추위 미생물의 건물분해 능력 등 반추위 발효성상에 악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비유중기 착유우에 보호아미노산 급여기간에 따른 유생산량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대조구와 처리구에서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이는 시험기간이 경과함에 따른 착유일수 증가로 인한 자연감소로 보여지며, 대조구에서 보다 처리구에서의 유량감소율이 적었다. 4% FCM과 유단백생성량은 대조구에서 각각 11.25%, 11.09% 그리고 처리구에서 6.16%, 5.47%의 감소를 나타내어 대조구보다 처리구에서 감소 비율이 낮았다. 보호아미노산 첨가 시 우유중 지방생성량은 대조구(0.79kg)에 비하여 처리구(1.10kg)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in vitro의 경우 보호아미노산 첨가시 반추위 내 발효성상에 문제가 없었고, 비유중기 착유우를 대상으로 한 in vivo 시험에서는 처리구에서 산유량 및 유성분의 감소가 대조구보다 적었으며 이는 고능력우의 비유중기 시기에 보호아미노산을 급여할 경우 산유량 및 유성분의 감소비율을 효과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Formitella flaxinea에 의하여 발효된 우분-톱밥 배양물의 사료가치 평가 (Evaluation of Feed Value for Cow Manure-Sawdust Mixtures Fermented by a Fungal Mycelium of Formitella flaxinea)

  • 김용국
    • 유기물자원화
    • /
    • 제14권1호
    • /
    • pp.103-111
    • /
    • 2006
  • 본 연구는 젖소폐기물인 우분을 톱밥과 혼합한 후 Formiella flaxinea 균사체를 배양하여 이들 원료가 혼합된 배양물을 반추가축사료로 재활용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생젖소분을 마른 톱밥과 혼합하여 수분 50%(M50; 우분 57%:톱밥 43%), 수분 55%(M55; 우분 64%:톱밥 36%), 수분 60%($\underline{M60}$; 우분 70%:톱밥 30%), 수분 65%($\underline{M65}$; 우분 76%:톱밥 24%), 수분 70%($\underline{M70}$; 우분 83%:톱밥 17%), 수분75%($\underline{M75}$; 우분 90%:톱밥 10%)그리고 수분 80%($\underline{M80}$; 우분 96%:톱밥 4%) 함유한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혼합물은 $29^{\circ}C$ 배양기에서 Formiella flaxinea균사에 의하여 2주간 및 4주 배양하였다. 배양물에 대한 화학조성분 및 반추위액을 이용한 in vitro 건물소화율을 측정하여 배양처리하지 않은 혼합물과 비교하였다. 혼합물의 조단백질 함량은 균사발효에 의하여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배양 4주에서 배양물 $\underline{M50}$,$\underline{M60}$, $\underline{M70}$$\underline{M80}$에 대한 중성세제섬유소(NDF)함량은 90.6, 85.3, 80.4 및 76.4%로 비배양혼합물 91.1, 89.9, 84.3 및 79.4%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P<0.05). 그러나 산성세제섬유소(ADF) 함량은 배양물 75.8, 70.4, 67.6 및 59.0% 는 비배양물 70.2, 67.8, 61.7 및 56.3%보다 높게 나타났다(P<0.05). 반추위액을 이용한 in vitro 건물소화율은 배양물이 49.4, 36.8, 28.6, 및 22.3%로 비배양물의 34.1, 27.5, 20.6 및 15.4%보다 높게 나타났다(P<0.05).

  • PDF

Effects of Methylcellulose on Fibrolytic Bacterial Detachment and In vitro Degradation of Rice Straw

  • Kim, Min Ji;Sung, Ha Guyn;Upadhaya, Santi Devi;Ha, Jong K.;Lee, Sung Sill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6권10호
    • /
    • pp.1459-1465
    • /
    • 2013
  • Two in vitr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methylcellulose (MC) on i) bacterial detachment from rice straw as well as ii) inhibition of bacterial attachment and fiber digestibility. To evaluate the effect of MC on fibrolytic bacterial detachment (Exp 1), in vitro bacterial cultures with 0.1% (w/v) MC solution were compared with cultures without MC after 8 h incubation. The effect of MC on inhibition of bacterial attachment was determined by comparing with real-time PCR the populations of F. succinogenes, R. flavefaciens and R. albus established on rice straw pre-treated with 0.1% MC with those on untreated straw after incubation for 0, 6 and 12 h (Exp 2). The major fibrolytic bacterial attachment on rice straw showed significantly lower populations with either the addition of MC to the culture or pre-treated rice straw compared to controls (p<0.05). Also, the digestibility of rice straw with MC was significantly lower compared with control (p<0.05). The F. succinogenes population did not show detachment from rice straw, but showed an inhibition of attachment and proliferation on rice straw in accordance with a decrease of fiber digestion. The detachments of Ruminococcus species co-existed preventing the proliferations with subsequent reduction of fiber degradation by MC during the incubation. Their detachments were induced from stable colonization as well as the initial adhesion on rice straw by MC in in vitro ruminal fermentation. Furthermore, the detachment of R. albus was more sensitive to MC than was R. flavefaciens. These results showed the certain evidence that attachment of major fibrolytic bacteria had an effect on fiber digestion in the rumen, and each of fibrolytic bacteria, F. succinogenes, R. flavefaciens and R. albus had a specific mechanism of attachment and detachment to fiber.

Antifungal and carboxylesterase-producing bacteria applied into corn silage still affected the fermented total mixed ration

  • Dimas Hand Vidya Paradhipta;Myeong Ji Seo;Seung Min Jeong;Young Ho Joo;Seong Shin Lee;Pil Nam Seong;Hyuk Jun Lee;Sam Churl Kim
    • Animal Bioscience
    • /
    • 제36권5호
    • /
    • pp.720-730
    • /
    • 2023
  • Objectiv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orn silage as a source of microbial inoculant containing antifungal and carboxylesterase-producing bacteria on fermentation, aerobic stability, and nutrient digestibility of fermented total mixed ration (FTMR) with different energy levels. Methods: Corn silage was used as a bacterial source by ensiling for 72 d with an inoculant mixture of Lactobacillus brevis 5M2 and L. buchneri 6M1 at a 1:1 ratio. The corn silage without or with inoculant (CON vs MIX) was mixed with the other ingredients to formulate for low and high energy diets (LOW vs HIGH) for Hanwoo steers. All diets were ensiled into 20 L mini silo (5 kg) for 40 d in quadruplicate. Results: The MIX diets had lower (p<0.05) acid detergent fiber with higher (p<0.05) in vitro digestibilities of dry matter and neutral detergent fiber compared to the CON diets. In terms of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the MIX diets had higher (p<0.05) acetate than the CON diets. The MIX diets had extended (p<0.05) lactic acid bacteria growth at 4 to 7 d of aerobic exposure and showed lower (p<0.05) yeast growth at 7 d of aerobic exposure than the CON diets. In terms of rumen fermentation, the MIX diets had higher (p<0.05) total fermentable fraction and total volatile fatty acid, with lower (p<0.05) pH than those of CON diets. The interaction (p = 0.036) between inoculant and diet level was only found in the immediately fermentable fraction, which inoculant was only effective on LOW diets. Conclusion: Application of corn silage with inoculant on FTMR presented an antifungal effect by inhibiting yeast at aerobic exposure and a carboxylesterase effect by improving nutrient digestibility. It also indicated that fermented feedstuffs could be used as microbial source for FTMR. Generally, the interaction between inoculant and diet level had less effect on this FTMR study.

Caprylic Acid와 Cyclodextrin 복합물이 In vitro 반추위 발효성상 및 메탄 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prylic Acid and Cyclodextrin Complex on In vitro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Methane Production)

  • 김경훈;설용주;이성실;오영균;남인식;김도형;최창원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5호
    • /
    • pp.657-666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caprylic acid와 cyclodextrin과의 complex(CA-CD complex)의 첨가수준이 in vitro 반추위 발효 성상과 메탄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CA-CD complex 무첨가구를 대조구로 설정 하였으며, 처리구로는 CA 20mg 단독 첨가구(T1), CD 830mg 단독 첨가구(T2), CA-CD complex 425mg 첨가구(T3, CA 함량 10mg), CA-CD complex 850mg 첨가구(T4, CA 함량 20mg), CA-CD complex 1700 mg 첨가구(T5, CA 함량 40mg)이며, 3반복으로 4, 8, 12시간의 배양 실험을 수행하였다. 모든 시험구에서 배양 12시간까지 pH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특히, 배양 8시간 후부터 T2, T3, T4, T5 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Total VFA 농도는 대조구에 비해 T2, T3, T4, T5구들이 8시간과 12시간에서 유의적(P<0.05)으로 감소하였다. Propionate 농도는 배양 8시간에서만 다른 처리구보다 T4, T5 처리구가 유의적(P<0.05)으로 높게 나타났다. Acetate:Propionate(A/P) 비율은 모든 배양시간에서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암모니아 농도는 대조구에 비해 T2, T3, T4, T5 처리구에서 배양 4시간부터 대조구보다 암모니아 농도가 유의적(P<0.05)으로 감소하였다. Total gas는 T1구에서 대조구보다 유의적(P< 0.05)인 감소가 있었으나, T2, T3, T4, T5 처리구에서는 대조구에 비하여 12시간에서 유의적(P<0.05)으로 증가하였다. Total gas 발생량에 대한 메탄 비율(%)은 12시간 배양시간에서 대조구는 3.4%이었지만, 메탄 발생량이 가장 적었던 T1구는 2.8%, 메탄 발생량이 가장 많았던 T2구는 5.1%, 그리고 T3, T4, T5구는 평균 2.7%로 T1구와 통계적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CA-CD complex를 이용하면, 반추위내 발효에 부정적 영향 없이 메탄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OMPARATIVE RESPONSES OF RICE (ORYZA SATIVA) STRAW TO UREA SUPPLEMENTATION AND UREA TREATMENT

  • Kumar, M.N.A.;Sundareshan, K.;Jagannath, E.G.;Sampath, S.R.;Doyle, P.T.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4권1호
    • /
    • pp.91-97
    • /
    • 1991
  • Twenty five 75% Holstein Friesian cross bred bullocks fed rice straw (Oryza sativa) of long form, were fed with the following five treatments. 1. Rice straw, untreated (RS) 2. RS + water (1:1), stored for 24 hours (WRS) 3. RS (100 kg) + urea solution (4 kg urea/100 litre water) and dried (USRS) 4. RS (100 kg) + urea solution (as in 3) stored in wet condition for 24 hours (UWRS) 5. RS (100 kg) + urea solution (as in 3) stored in pit for 21 days (UTRS). Potential digestibility of treatments of RS was evaluated by monitoring (in vitro) Simulating Rumen like Fermentation (SRLF). The results indicated that Dry Matter Intake (DMI), digestibility of nutrients, N utilization were of the order UTRS > UWRS > USRS > WRS and RS (p < 0.05 to p < 0.01). SRLF index was high (255.84) for UTRS and least (145.58) for USRS. It was intermediary (199.66) for UWRS. The acetyl content (AC) of UTRS with higher hemicellulose (HCE) digestibility (80.8%) was low compared to UWRS, USRS, RS and WRS. The acetate content was of the order UTRS < UWRS < USRS < WRS and RS thereby indicating that reduction in acetyl content was an index of positive response of urea-treatment of RS. In addition, the ratio of HCE/AC in faeces of UTRS was 0.87 as against the ratios (2.26-2.48) observed in other treatments recording reduction in AC due to urea-treatment. Among the treatments, USRS only supplemented N while UTRS in addition to utilization N, increased the digestibility of structural carbohydrates. Reduction in treatment time from 21 days to 1 day (UWRS) resulted in improvements similar to those of UTRS.

Addition Effect of Seed-associated or Free Linseed Oil on the Formation of cis-9, trans-11 Conjugated Linoleic Acid and Octadecenoic Acid by Ruminal Bacteria In Vitro

  • Wang, J.H.;Song, M.K.;Son, Y.S.;Chang, M.B.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5권8호
    • /
    • pp.1115-1120
    • /
    • 2002
  • The effects of seed-associated or free linseed oil o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long-chain unsaturated fatty acids composition, especially the formation of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and octadecenoic acid (trans-11 $C_{18:1}$, $t-C_{18:1}$) by mixed ruminal bacteria were examined in vitro. Concentrate (1% of culture solution, w/v, as-fed basis) with ground linseed (0.6% of culture solution, w/v, DM basis) or linseed oil as absorbed onto ground alfalfa hay was added to 600 ml mixed solution consisting of strained rumen fluid and artificial saliva at the ratio of 1:1 in a glass culture jar. The culture jar was covered with a glass lid with stirrer, and placed into a water-bath ($39^{\circ}C$) and incubated anaerobically up to 24 h. Seed-associated or free linseed oil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pH and ammonia concentration in the culture solution. Molar percent of acetate tended to increase while that of propionate decreased with the addition of free oil treatment throughout the incubation. Differences in bacterial number were relatively small, regardless of the form of supplements. Decreasing trends in the compositions of linoleic acid ($C_{18:2}$) and linolenic acid ($C_{18:3}$) but increasing trends of stearic acid ($C_{18:0}$), $t-C_{18:1}$ and CLA compositions were found from culture contents up to 12h incubation when incubated with both ground linseed and linseed oil. The compositions of $C_{18:0}$, $C_{18:2}$ and $C_{18:3}$ were greater but those of oleic acid ($C_{18:1}$), $t-C_{18:1}$ and CLA were smaller in a culture solution containing ground linseed than those containing linseed oil. The ratio of $t-C_{18:1}$ to CLA was lower in the culture solutions containing linseed oil up to 12h incubations as compared to those containing ground linseed.

Chemical Composition, Degradation Characteristics and Effect of Tannin on Digestibility of Some Browse Species from Kenya Harvested during the Wet Season

  • Osuga, I.M.;Abdulrazak, S.A.;Ichinohe, T.;Fujihara, T.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8권1호
    • /
    • pp.54-60
    • /
    • 2005
  • A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objective of evaluating the nutritive value of some browse species from Kenya. The species evaluated included: Bauhinia alba, Bauhinia variegata, Bridelia micrantha, Calliandra calothyrsus, Carisa edulis, Cratylia argentea, Gliricidia sepium, Lantana camara, Maerua angolensis, Sesbania micrantha and S. sesban. The browses were evaluated by their chemical composition including phenolics, in vitro gas production and tannin activity (tannin bioassay). All the species had high crude protein content (149-268 g/kg DM) and low NDF content (239-549 g/kg DM). The feeds had varying contents of total extractable tannins (TET) ranging from low (3-22 mg/g DM), moderate (42-58 mg/g DM) and high (77-152 mg/g DM). Calliandra calothyrsus had the highest tannin content. Significant (p<0.05) variation in gas production was recorded among the species. Sesbania micrantha had the highest (p<0.05) potential gas production while Gliricidia sepium had the highest (p<0.05) rate of gas production. Use of polyethylene glycol (PEG 6000), to assess the adverse affect of tannins, indicated that tannins in browse species with high tannin content had inhibitory effects on rumen microbial fermentation as indicated by the gas production. Estimated organic matter digestibility and metabolizable energy also increased with PEG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such Kenyan browse species have the potential to be used as feed supplements for ruminant anim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