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plant Patient

검색결과 1,008건 처리시간 0.026초

20년전 악교정수술을 받았던 환자의 심한 전치부 반대교합의 해결을 위한 임플란트 치료 증례 (Implant treatment on anterior cross-bite of a patient who had orthognathic surgery 20 years ago)

  • 박광만;이성복;이석원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7권3호
    • /
    • pp.245-253
    • /
    • 2019
  • 골격성 3급 부정교합의 악교정 수술로 구강기능과 안모를 개선할 수 있다. 악골부조화가 클수록 술전 교정치료에 의한 치아 이동량이 더욱 커지기 때문에 치주조직에도 큰 변화를 줄 수 있는데, 특히 하악 전치부 치주조직의 파괴가 주로 발생된다. 이 보고는 20년전 골격성 3급 부정교합과 하악전돌로 악교정수술을 받은 후 하악 전치부의 심한 동요 및 반대교합의 해결을 위해 내원한 49세 여성환자의 증례로, Face Hunter, Plane System 및 ARCUS digma II를 이용하여 Top-Down concept의 개인 맞춤형 분석으로 치료계획을 수립하였다. 하악 전치부 발치를 동반한 순측 치조골 성형술과 임플란트 식립 후 즉시임시치관에 의한 즉시부하를 시행하였다. 최종 보철물은 CAD/CAM에 의한 Zirconia 수복물로 제작 후 구강 내에서 나사유지형으로 장착하였다. 6개월이 경과한 현재까지 보철물의 파절과 동요 등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기능 및 심미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실패한 이중관 국소의치에서 하이브리드 텔레스코픽 이중관 국소의치를 이용한 임상증례 (A clinical report of hybrid telescopic double crown denture with friction pin in a failed double crown denture case)

  • 박종훈;조진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9권2호
    • /
    • pp.201-209
    • /
    • 2021
  • 가철성 국소의치 치료 시 유지력을 얻는 방법에 따라 많은 연구와 임상적인 적용이 이루어 지고 있다. 그중 한 종류인 이중관 의치는 독일과 스웨덴과 같은 유럽의 나라에서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다. 텔레스코픽 이중관 국소의치는 구강 위생관리의 편의성, 지대치로 교합력의 수직적인 전달, 그리고 지대치들 간의 2차적인 고정과 같은 장점들이 있어 클라스프 유지형 가철성 국소의치에 비해 임상적으로 더 나은 결과를 보여줄 수 있다. 본 증례에서 처음에 환자는 자연치를 이용하여 상악에 프릭션핀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텔레스코픽 이중관 의치를 제작하였습니다. 7년 뒤 환자의 불량한 구강위생관리 습관과 정기검진의 부재로 지대치들에 치주염이 발생하였고 5개중 4개의 자연치 지대치를 발치하게 되었다. 남은 1개의 자연치 지대치의 내관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3개의 추가적인 임플란트를 식립하였다. 대합치인 하악이 고정성 보철임에도 불구하고 전략적인 임플란트 식립으로 인해 환자는 새롭게 제작된 상악 치아-임플란트 연합 이중관 의치에 적응하였고 만족하였다.

구강안면 근긴장이상을 가진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구치부 지르코니아 교합면을 갖는 상악 총의치와 하악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물의 수복 (Maxillary complete denture with posterior zirconia occlusion and mandibular implant support fixed prostheses in completely edentulous patients with orofacial dystonia)

  • 서종민;정창모;이소현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9권4호
    • /
    • pp.237-249
    • /
    • 2023
  • 구강안면 근긴장이상(Orofacial dystonia)은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불수의적으로 얼굴, 입술, 혀 및 턱 주변을 불규칙적이거나 반복적으로 움직이는 신경운동학적 장애로 틱장애로 불리기도 한다. 이러한 증상을 갖는 무치악 환자는 총의치 사용의 어려움과 더불어 언어 장애 및 연하곤란, 구강안면의 통증까지 기능적이고 심미적인 문제점들을 겪게 된다. 본 증례에서는 비교적 젊은 나이에 완전 무치악 상태를 경험하게 된 구강안면 근긴장이상 환자를 위해, 양측 구치부 지르코니아 교합면을 갖는 상악 총의치와 하악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물의 수복치료를 시행하고 지속적인 미소훈련을 시행하여 안면근육의 심미적인 개선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치료의 결과, 환자는 저작기능과 심미성이 향상된 것 뿐만 아니라, 심리적 안정감을 회복하여 정상적인 일상생활이 가능해진 것에 대해 매우 만족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자성 어태치먼트의 형태와 수에 따른 하악 임플란트 피개의치의 유지력에 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Retention of Implant Overdenture According to the Shape and the Number of Magnetic Attachment)

  • 서민지;이준석;조인호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4권2호
    • /
    • pp.169-181
    • /
    • 2008
  • 치과용 자석의 개선으로 자성 어태치먼트를 이용한 임플란트 피개의치의 사용이 늘고 있다. 또한 여러 형태의 자성 어태치먼트가 개발되어 임상 상황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시중에 판매되는 세 가지 형태의 임플란트용 자성 어태치먼트를 이용해 자성 어태치먼트의 형태와 임플란트 수에 따른 임플란트 피개의치의 유지력을 비교 분석하였다. 식립된 임플란트가 1개인 경우를 1군, 2개인 경우 2군, 4개인 경우를 3군으로 하였고, 자성 어태치먼트의 형태에 따라 flat type, cushion type, dome type으로 세분하였다. Instron으로 수직방향, 사선방향, 전후방향의 인장력을 가하여 자성 어태치먼트의 형태에 따른 유지력의 차이, 힘의 방향에 따른 유지력의 차이, 자성 어태치먼트의 수에 따른 유지력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임플란트의 수와 상관없이 수직력은 flat type이 가장 컸으며, 측방력은 dome type이 가장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임플란트가 1개일 때 flat type의 수직력이 전후방회전력보다 크게 나타났고, 임플란트가 2개일 때는 dome type과 flat type이, 임플란트가 4개일 때는 cushion type과 flat type에서 수직력이 전후방회전력보다 크게 나타났다. 3) 임플란트 수에 따른 유지력 측정결과, 자석의 형태에 상관없이 임플란트 수가 많을수록 유지력은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큰 유지력이 필요한 환자에게는 flat type이, 유해한 수평력이 존재하는 환자에게는 dome type의 이용이 유리하고, 임플란트가 1개일 때 flat type, 2개일 때 dome type과 flat type, 임플란트가 4개일 때 cushion type과 flat type이 피개의치의 안정성이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성 어태치먼트의 형태에 상관없이 임플란트의 수가 증가할수록 더 큰 유지력을 나타냈다. 따라서 임플란트 피개의치 사용 시 적절한 유지력과 안정성을 얻기 위해서 임플란트의 수와 자성 어태치먼트 형태의 고려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P.intermedia의 유전자 이종성과 가족내 전이에 관한 연구 (TRANSMISSION OF PREVOTELLA INTERMEDIA BY GENOMIC DAN FINGERPRINTING)

  • 이승민;김각균;정종평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5권1호
    • /
    • pp.89-98
    • /
    • 1995
  • P. intermedia are considered an important pathogen in adult periodontitis, rapidly progressing periodontitis, refractory periodontitis, pregnancy gingivitis, acute necrotizing ulcerative gingivitis, pubertal gingivitis. So far 2 DNA homology groups and 3 serotypes of P. intermedia have been reported but there is no data available as yet regarding genetic diversity for the species P. intermedi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using bacterial DNA restriction endonuclease analysis, genetic diversity between individual strains of P. intermedia which are indistinguishable by serotyping and biotyping, occurrence of an intrafamilial transmission and genetic heterogeneity between P. intermedia strains isolated within a patient and within the same serotypes. The families who have had no systemic disease, no experience of periodontal treatment for the previous 1 year and no experience of antibiotics for the previous 6 months were selected and subgingival plaque was collected at 4 sites in each person and incubated in the anaerobic chamber. P. intermedia were identified by colony shape, gram stain, biochemical test, SK-I03(Sunstar Inc.) test and IIF using monoclonal antibody was perfomed for the determination of serotypes. P. intermedia strains were grown in BHI broth and whole genomic DNA was extracted and digested by restriction endonuclease. The resulting DNA fragments were separated by agarose gel electrophoresis, stained and photographed under UV.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trafamilial vertial transmissions could be assessed in 2 families and horizintal transmissions in another 2 families. There were different DNA digest patterns within a patient, so P. intermedia showed that individuals could be colonized by multiple clonal types at anyone time. And different serotypes could be found within a patient and in the same serotype within a patient, obvius genetic heterogeneity could not be assessed. But in the same serotype in different famies,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DNA digest patterns.

  • PDF

대동맥판막, 승모판막, 삼첨판막과 심실중격을 침범한 심내막염 -1예 보고- (Infective Endocarditis Involving Aortic Valve, Mitral Valve, Tricuspid Valve, and luterventricular Septum -A Case Report)

  • 박종빈;서동만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2호
    • /
    • pp.200-204
    • /
    • 1997
  • 본 증례는 고유 대동맥 판막, 승모판막, 삼첨판막과 심실중격을 침 범한 심내막염환자의 성공적 치료에 대한 보고이다. 환자는 11세때 심실중격결손폐쇄와 대동맥판막성형술을 받은 16세 남아로서 심내막염으로 항생제치료에도 불구하고 난치성 심부전을 보였다. 수술소견상 이전 수술시 폐쇄한 심실중격폐쇄를 따라 커다란 결손을 보였으며 다발성 천공과 우종을 동반한 대동맥 판막역류, 우종을 동반한 승모판 역류, 대동맥 판륜주위농양, 심실중격의 심근농양, 천공과 우종을 동반한 삼첨 판역류 소견을 보였다. 수술은 모든 감염조직과 괴사조직을 근치적절제후 심실중격결손을 Dacron patch로 폐쇄하면서 대동맥판막륜부위까지 확장보강하였으며, 대동맥판막치환시 확장보강한 Patch에 인공판막을 거치시켜 안전하게 치환할 수 있었다. 승모판막은 치환하였고, 삼첨 판은 자가심낭편으로 재건하였다. 환자는 수술후 6주간 항생제치료후 다른 합병증 없이 건강한 상태로 퇴원하였다.

  • PDF

비골 골절에서 외측 비골 절골술의 적용 (Application of Lateral Osteotomy in Nasal Bone Fracture)

  • 임광열;송제니퍼김;황소민;정용휘;조가형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04-110
    • /
    • 2012
  • Purpose: Who may dare to state that optimal choice of treating nasal bone fracture is closed reduction? Few decades of authors' experience in nasal bone fracture has lead to believe that more active and assertive approach in nasal bone fracture by performing simultaneous lateral osteotomy may be applied in proper indications to acquire more accurate reduction and cosmetically satisfying result. Methods: From May 2008 to October 2009, among 241 nasal bone fracture patients, 20 patients underwent simultaneous lateral osteotomy with nasal bone fracture reduction. Followed by rigid septal correction, nasal cavity is packed to stabilize the fracture segment for safer osteotomy. Through intranasal incision, in selected cases of difficult reduction or for cosmetic purposes, various types of lateral osteotomy was performed corresponding to the fracture anatomy, conditions of the nasal cavity. Postoperative nasal packing was retained for one week and nasal dorsum splint for 3 weeks. Results: Lateral osteotomy was utilized for difficult cases of closed reduction, for correction of wide nose, hump and deviation in 9, 5, 2, and 4 cases, respectively. Patient satisfaction was scaled 90% in satisfaction and moderate in 10% (2 cases), complaining of mild nasal tip deviation. Physicians detected 2 cases of apparent deformity with patient recognition; one patient with mild step deformity at the osteotomy site and the other patient with minimal implant mobility. Conclusion: By accompanying profound understanding of the fracture anatomy, more active and assertive approach in nasal fracture reduction can be coincide with simultaneous lateral osteotomy to reduce the rate of secondary deformity and to obtain more cosmetically satisfying result.

초음파를 이용한 턱관절질환의 진단과 초음파 가이드의 활용 (Diagnostic Application of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and Ultra Sound Guided Oral &Maxillofacial application)

  • 성태환;박정현;김선종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5권11호
    • /
    • pp.789-799
    • /
    • 2017
  • Ultrasound images are noninvasive, can be observed in real time, have no radiation exposure, do not cause pain, and are not restricted in use depending on the patient's prosthetic implant or medical condition. Since the use of ultrasound in the dental field was first applied for tooth preparation in 1957, the use of diagnostic ultrasound for the first time in 1963 has been reported. Currently, it is used in the diagnosis of soft tissue lesions such as malignant tumor or salivary gland disease, fine needle aspiration test, temporomandibular joint disease, lymph node metastasis, measurement of muscle thickness and inflammatory diseases, differentiation of periapical cyst and granulation tissue, measurement of periodontal tissue thickness. The ultrasound image can be visualized in real time. The clinician can explain the structure to the patient while consulting the patient and consult the patient. When injecting the drug into a specific site or aspirating a specific site or substance, So that it can be confirmed and practiced. Recently, ultrasonic equipment specialized in the dental field has been developed and marketed, and it is expected that the use of ultrasonic waves will become active in the dentistry. In the future, development of popular equipment with size and frequency suitable for dental diagnosis and various researches on maxillofacial ultrasonic anatomy. If clinical studies are continuously carried out to demonstrate efficacy, ultrasound is expected to aid in accurate diagnosis and treatment throughout the dentistry.

  • PDF

치주낭 측정시 probe 굵기에 따른 환자의 통증과 측정값의 비교분석 (Comparison analysis of pain experienced by patients during periodontal examination using thinner versus thicker probes)

  • 김수한;홍기석;정진형;임성빈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7권2호
    • /
    • pp.193-200
    • /
    • 2007
  • During periodontal examination and periodontal recall visit, patients might feel pain. Probing with 0.45mm diameter probe, "overprobing" into connective tissue underlying periodontal pocket could be the primary aspect of pain.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performed during recall visit, was to compare the levels of pain experienced by patients during periodontal probing using probes with the tip diameter of either 0.45mm or 0.63mm. Twenty patients were enrolled: 3 periodontists each exammined 20 patients at the Dankook university dental hospital. in each patient at six sites per tooth, diagonal maxillary/mandibular quad-rants were probed with 0.45mm diameter and 0.63mm diameter probe. Lower pain responses following probing with the 0.63mm diameter probe as compared to the 0.45mm probe were observed for patients of therapist 2 and the upper VAS quartile Groups(P<0.05). For therapist 1 and 3 groups, no differences were found. Patient worry about the pain while dental treatment procedures. If therapist use 0.63mm diameter probe while periodontal examination and recall visit, the patient's pain and discomfort could be reduced. Therefore, patient will cooperate more during the treatment, which leads to a better result. Dental therapists should make an effort to minimize the degree of discomfort during treatment. Dental therapist periodically should evaluate this part of their skill by asking patients and promote this skill.

Recurrent ST segment elevations in a patient with asymptomatic early repolarization during head and neck surgery: implications of vasospastic angina

  • Park, Se-Ung;Kim, Sung-Hoon;Kwon, Hye-Mee;Koh, Gi-Ho;Nam, Gi-Byoung;Karm, Myong-Hwan;Kim, Wook-Jong;Ku, Seung-Woo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18권3호
    • /
    • pp.189-193
    • /
    • 2018
  • A 57-year-old woman scheduled for cochlear implant removal exhibited preoperative electrocardiographic findings of early repolarization (ER). Four episodes of transient ST segment elevations during surgery raised suspicion for vasospastic angina (VA). In the post-anesthetic care unit, the patient complained of chest discomfort and received sublingual nitroglycerin with uncertain effect. The patient refused to proceed with postoperative invasive coronary angiography, resulting in inconclusive diagnosis. Intraoperative circumstances limit the diagnosis of VA, which emphasizes the need for further testing to confirm the diagnosis. When VA is suspected in patients with underlying ER, it is reasonable to consider invasive examination to establish the diagnosis and prevent recurrence of VA. If ST changes are observed during surgery in patients with preoperative ER, careful monitoring is recommended. Due to general anesthesia, the absence of patient symptoms limits the definitive diagnosis of those with suspected VA. Therefore, additional postoperative surveillance is recommen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