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plant Patient

검색결과 990건 처리시간 0.03초

하악 부분 무치악 환자에서 Milled-bar와 ADD-TOC 부착 장치를 이용한 탈착 가능한 지르코니아 보철물 수복 증례 (Detachable zirconia prosthesis using Milled bar and ADD-TOC attachment in partial edentulous mandible: A case report)

  • 손민성;허중보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1권1호
    • /
    • pp.90-99
    • /
    • 2023
  • 임플란트 피개의치는 골 흡수가 심한 완전 무치악 또는 부분 무치악 환자의 구강 기능 회복을 위한 치료 방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Milled bar를 이용한 임플란트 피개의치의 경우 bar가 임플란트 고정체를 연결 고정하므로 기계적으로 유리하며, bar에 추가적으로 부착 장치를 적용하면 임플란트에 가해지는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 증례에서는 4개의 임플란트를 사용하여 임플란트 피개의치를 사용하던 환자가 의치의 반복적인 파절과 유지력의 약화로 인해 새로운 보철물 제작을 원하여 ADD-TOC 부착 장치가 부착된 milled bar와 탈착 가능한 지르코니아 보철물을 CAD-CAM 방식으로 제작하였고, 이를 통해 기능적, 심미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다.

Associated Factors and Prevention of Upper Pole Rippling in Prepectoral Direct-to-Implant Breast Reconstruction

  • Da Hye Ryu;Oh Young Joo;Yun Ho Roh;Eun Jung Yang;Seung Yong Song;Dong Won Lee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50권6호
    • /
    • pp.541-549
    • /
    • 2023
  • Background Despite its many advantages, prepectoral breast reconstruction also carries the risk of implant rippling. The recent introduction of partial superior implant coverage using a pectoralis muscle slip in prepectoral direct-to-implant (DTI) breast reconstruction has shown the potential to minimize upper pole rippl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rippling and the effectiveness of our surgical technique. Methods In total, 156 patients (186 breasts) who underwent prepectoral DTI breast reconstruction between August 2019 and March 2021 were identified retrospectively. Patient data were analyzed from medical records. Univariable and multivariable logistic analyses were performed to contextualize the risks associated with rippling deformity relative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other clinical factors. Retrospective propensity-matched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rippling deformity and the reconstruction method. Results Patients with body mass index (BMI; odds ratio [OR], 0.736; p < 0.001), those with a postoperative chemotherapy history (OR, 0.324; p = 0.027) and those who received breast reconstruction via the superior coverage technique (OR, 0.2; p = 0.004), were less likely to develop rippling deformity. The median follow-up period was 64.9 weeks,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atients in types of mastectomy, implant, or acellular dermal matrix. Patients who underwent superior coverage technique-based reconstruction showed significantly reduced rippling (OR, 0.083; p = 0.017) Conclusion Patients with higher BMI and prior postoperative chemotherapy were less likely to develop rippling deformity. The superior coverage technique can be effective in minimizing upper pole rippling.

Bone-Anchored Hearing Aid Implant에 대한 1.5 T와 3.0 T에서 MRI 안전성의 생체외 평가 (In Vitro Assessment of MRI Safety at 1.5 T and 3.0 T for Bone-Anchored Hearing Aid Implant)

  • 연규진;김현수;이승근;이태수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0권1호
    • /
    • pp.19-25
    • /
    • 2017
  • 본 연구는 1.5 T와 3.0 T Magnetic Resonance Imaging에서 Bone-Anchored Hearing Aid (BAHA) implant의 수평인력, 회전력, 그리고 자화감수성 인공물의 크기를 표준측정 방법에 의해 측정하여 MR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BAHA implant의 고정장치와 지지대는 0.5%의 철(iron)이 포함 된 티타늄으로 만들어졌으며, 길이는 10 mm (고정장치 4 mm, 지지대 6 mm), 최대 직경은 7.0 mm이다. 수평인력 측정장치와 자화감수성 인공물 측정장치는 각각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 (ASTM) F2052-06, F2119-07을 참조하여 아크릴을 이용해 제작했으며, 회전력 측정은 원형 플라스틱 용기를 이용한 측정장치를 사용하였다. 자기유도에 의한 BAHA implnat의 수평인력은 주자장이 가장 큰 지점인 96 cm지점에서 최대 변위각을 측정하였고, 회전력은 원형용기 내부의 $45^{\circ}$간격의 실선 위에 놓았을 때 나타난 회전형태를 정성적 평가기준으로 측정하였다. 자화감수성 인공물은 황산구리($CuS0_4$) 용액이 채워진 용기의 중앙에 BAHA implant를 매달아 영상을 획득한 후 Susceptibility Artifact Measurement (SAM) software를 이용해 크기를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수평인력은 1.5 T와 3.0 T에서 변위각과 변위력은 모두 0으로 나타났다. 회전력은 1.5 T에서는 0(no torque), 3.0 T에서는 +1(mild torque)로 나타났다. 자화감수성 인공물은 최소 13.20 mm, 최대 38.91 mm의 크기로 나타났다. 따라서 1.5 T, 3.0 T의 MR 환경에서 BAHA implant는 환자에게 안전하다.

($Implantium^{(R)}$) implant의 단기 생존율 및 치유 양상에 대한 연구 (The analysis of short term success rate and healing patterns of $Implantium^{(R)}$ Implant)

  • 채경준;정성민;정의원;조규성;채중규;김종관;최성호;김창성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6권3호
    • /
    • pp.683-691
    • /
    • 2006
  •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distribution of patients who installed Implantium implant in Yonsei University Dental Hospital and types of implant site for about 1 years recall check and success rate. 164 implants were installed to 52 patients in this study. It shows the conclusion below. 1. Patients at the age of 40s and 50s were 65% of all implant cases and average number of implant was 4 (man), and 2.7 (woman). 75 implants were operated on maxilla and 89 were mandible. 19 implants on anterior region and 145 implants on posterior region. 2. Most distribution of bone qaulity for implant site was type III(37.2%) and bone quantity was type C(61. 7%) 3. The majority of implants were those of 10, 12mm in length (85%) and regular diameter in width (48.8%). 4. 30 implants were installed with the advanced technique-GER, window opemng, osteotome technique. 5. Two implants were removed before prosthodontic treatment due to the osseointegraton failure. The success rate was 98.8% in 15.2 months follow up period and the marginal bone loss was 0.28mm. The results provided us with basic data on patient type, implant distribution, bone condition, and survival rate. Within the limit of present study, It was concluded that Implantium implant could be used satisfactorily in various clinical situations.

짧은 임플란트의 생존율과 변연골 흡수량에 관한 임상적 연구 (Clinical Study on the Survival Rate and Marginal Bone Resorption of Short Implants)

  • 명태수;정승현;김태영;김유리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8권1호
    • /
    • pp.1-13
    • /
    • 2012
  • 짧은 임플란트는 상악동이나 하치조신경 등의 해부학적 구조물이 있거나 심한 치조골 흡수로 인해 제한적인 치조제 높이를 가지는 부위에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길이 10 mm 이하의 임플란트에서 임플란트의 길이, 직경, 식립 부위, 골이식술 유무, 보철물의 연결고정 유무가 임플란트의 생존율과 변연골 흡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원광대학교 치과병원 임플란트센터에서 길이 10 mm 이하의 임플란트를 식립한 137명의 환자, 227개 임플란트를 대상으로 진료 기록부를 통해 임플란트의 길이, 직경, 식립 위치, 골이식 유무, 보철물의 연결고정 유무를 조사하였다. 변연골 흡수량은 Emago advanced v5.6(Oral diagnostic systems, Amsterdam, The Netherland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총 227개의 임플란트 중 8개가 실패하여, 전체 짧은 임플란트의 생존율은 96.5 %로 나타났다. 골이식 부위와 상악에 식립된 경우 더 높은 실패율을 보이는 경향이 있었으며, 임플란트의 길이와 직경은 변연골 흡수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실패 요인을 조사하였을 때, 상악의 불량한 골질과 골이식 유무가 임플란트의 더 높은 실패율에 영향을 미쳤다. 10 mm 이하 임플란트에서 길이, 직경, 식립 부위, 골이식술과 보철물의 연결 고정은 임플란트 생존율과 변연골 흡수량에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What is the effect of initial implant position on the crestal bone level in flap and flapless technique during healing period?

  • Al-Juboori, Mohammed Jasim;Ab Rahman, Shaifulizan;Hassan, Akram;Ismail, Ikmal Hisham Bin;Tawfiq, Omar Farouq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43권4호
    • /
    • pp.153-159
    • /
    • 2013
  • Purpose: The level of the implant above the marginal bone and flap design have an effect on the bone resorption during the healing perio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tec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the implant at the implant placement and the bone level at the healing period in the mesial and distal side of implants placed with flapless (FL) and full-thickness flap (FT) methods. Methods: Twenty-two nonsubmerged implants were placed with the FL and FT technique. Periapical radiographs were taken of the patient at implant placement, and at 6 and 12 weeks. By using computer software, bone level measurements were taken from the shoulder of the healing cap to the first bone implant contact in the mesial and distal side of the implant surface. Results: At 6 week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restal bone level at the implant placement and crestal bone level of the FT mesially was significan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0.675, P<0.023). At 12 weeks, in the FT mesially, the correlation was nonsignificant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0.297, P<0.346). At 6 weeks in the FT distally, the correlation was nonsignifican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0.512, P<0.107). At 12 weeks in the FT distally, the correlation was significant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0.730, P<0.011). At 6 weeks in the FL mesially, the correlation was nonsignificant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0.083, P<0.809). At 12 weeks in the FL mesially, the correlation was nonsignificant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 0.062, P<0.856). At 6 weeks in the FL distally, the correlation was nonsignificant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0.197, P<0.562). At 12 weeks in the FL distally, the correlation was significan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0.692, P<0.018). Conclusions: A larger sample size is recommended to verify the conclusions in this preliminary study. The bone level during the healing period in the FT was mo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implant level at implant placement than in the FL.

혈압 상승으로 인한 의식하 진정 요법의 실패 -증례보고- (Failure of Intravenous Sedation due to Significant Hypertension -A Case Report-)

  • 고세욱
    • 대한치과마취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26-130
    • /
    • 2007
  • Sedation is often indicated for the relief of anxiety for outpatient oral surgery. In combination with local anesthesia, it is safe and effective method of treatment. However, it is not always effective in allowing the physician to complete the planned oral surgery procedure. On occasion, a procedure is left unfinished due to patient combativeness and discomfort and hypertension in spite of increase in sedative doses. Episodic increases in blood pressure were most commonly caused by light anesthesia or sedation and by the patient's experience of pain during treatment. Female patient was 42 years old. blood pressure is 150/90 mmHg. Extraction and implant surgery was done under IV sedation. During seadtion, her blood pressure was increased (200/100 mmHg). Surgery was stopped. She was done monitoring blood pressure. The blood pressure was decreased to 130/90 mmHg. Sedation was failed due to significant hypertension. Blood pressure is seldom increased during sedation but we should evaluate the patient's medical history and know guideline for hypertension crisis.

  • PDF

실패한 임플란트 보철수복물을 가진 환자의 교합평면 재설정 (Re-establishment of occlusal plane in a patient with a failed implant prosthesis)

  • 강현구;고경호;허윤혁;조리라;박찬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6권2호
    • /
    • pp.141-153
    • /
    • 2018
  • 계속적인 치아의 상실과 마모 및 보철물의 실패로 초래된 생리적이지 못한 교합평면은 비심미성, 저작 효율의 감소 및 교합 간섭와 같은 기능적인 문제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무치악 환자나 교합 평면이 붕괴된 환자의 보철 치료 시, 저작 기능과 조화로운 교합평면의 설정이 중요하다. 본 증례의 환자는 완전 무치악 상태인 상악을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로 수복하였다. 6년 경과 관찰 시, 기존 임플란트 보철물의 도재 파절, 마모, 나사풀림과 같은 기계적 합병증이 관찰되었고, 대합하는 전치의 마모 및 정출과 일부 구치부 치아의 상실로 인해 교합평면이 붕괴된 상태였다. 진단 과정을 거쳐 무치악 부위의 추가적인 임플란트 식립과 보철물의 재제작 및 모든 잔존 치아의 수복을 통해 전악구강회복을 시행하였다.

무치악 환자에서 CAD/CAM을 이용한 임플란트 식립($NobelGuide^{TM}$) 및 즉시하중 증례 (Restoration of an Edentulous Patient with CAD/CAM Guided Implant Surgery ($NobelGuide^{TM}$) and Immediate Loading: Case Report)

  • 고경호;임광길;김대곤;박찬진;조리라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7권2호
    • /
    • pp.233-245
    • /
    • 2011
  • 임플란트 시술에서 CAD/CAM을 포함한 컴퓨터 기술의 발달은 단순히 임플란트를 보다 정확하고, 예측 가능하게 식립하는 것뿐 아니라, 무피판(flapless) 수술과 즉시하중을 가능하게 하였다. 그러므로 술후 출혈과 불편감의 감소 및 시술시간과 치유기간을 단축시키는 장점이 있으며, 시술 후 즉시 보철물을 장착해 줌으로써 환자의 구강기능을 단기간에 회복시키고 경조직과 연조직의 형태를 보존하여 최종보철 시 유리한 환경을 만들어 줄 수 있게 되었다. 본 증례는 상 하악 무치악 상태로 내원한 40세 남성 환자로 하악 총의치의 불안정성 및 불편감 등을 호소하였으며, 하악에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물을 통한 수복을 원하였다. 충분한 골량, 환자의 참여도, 경제적인 여건, 전신적인 건강 등을 고려하여 하악에는 CAD/CAM 기반의 수술용 스텐트를 이용한 수술 및 미리 제작된 고정성 임시보철물을 이용하여 즉시하중을 부여하는NobelGuide 보철을 계획하였으며, 상악에는 총의치를 계획하였다. 환자의 안모를 평가하여 임시의치를 제작하였으며, 복제한 임시의치를 바탕으로 스텐트를 제작하고, 컴퓨터단층촬영을 시행하였다. 3차원으로 변환된 영상을 기반으로 하악에 7개의 고정체를 생역학적 조건과 치조골의 상태에 맞게 분산 배치하였다. 제작된 수술용 스텐트에 맞게 주모형을 제작하고, 임시고정성 보철물을 제작하여 장착함으로써 즉시하중을 부여하였다. 식립 3개월 후 골유착 정도를 평가하고 최종보철물을 제작하였다. 추후 발생할 수 있는 상악 골흡수를 방지하기 위해 주기적인 내원 및 검사를 통해 성공적인 치료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