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age retrieval

검색결과 1,058건 처리시간 0.029초

상표 영상 검색 시스템 (Trademark Image Retrieval System)

  • 신성윤;백성은;표성배;이양원
    • 한국컴퓨터정보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85-190
    • /
    • 2007
  • An image retrieval system is a piece of software that searches identical or similar images based on various image-specific features. This paper proposes a trademark image retrieval system that uses image colors and forms. In the proposed system, input images are segmented into several other regions, and color distribution histograms for different regions are extracted for use as color information. The proposed system uses form information through the preprocessing process such as boundary surface extraction, centroid extraction, angular sampling and, and through calculating the sums of the distances between the centroid and the boundary surfaces, standard deviations, and the ratios between long and short axes. Like this, the color and form information extracted is used to perform retrieval through measuring similarity.

  • PDF

컬러에지의 벡터적 결합을 이용한 e-카탈로그 영상 검색 (e-Catalogue Image Retrieval Using Vectorial Combination of Color Edge)

  • 황의선;박상근;전준철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9B권5호
    • /
    • pp.579-586
    • /
    • 2002
  • 영상의 에지정보를 이용한 내용기반 영상 검색 방법은 현재 MPEG-7(Moving Picture Experts Group) 에서 제안된 에지 서술자(edge descriptor)가 대표적인 방법이며, 이때 사용된 에지의 정보는 영상의 명암도에 따른 에지히스토그램을 이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컬러 에지 추출 방법을 제시하고, 제안된 방법에 의해 컬러 에지히스토그램을 특징 값으로 하는 내용기반 영상검색 방법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제안된 방법에 기반하여 인터넷 쇼핑몰에서 사용되는 e-카탈로그 상품 영상 검색에 적용하였다. 성능평가를 위하여 기존 MPEG-7에서 제시된 에지히스토그램에 의한 영상검색 방법과 비교하여 보았으며 실험결과 제안된 방법이 검색에 있어서 우수함을 입증할 수 있었다. 컬러에지의 추출은 컬러 영상의 R,G,B 채널의 각 성분의 벡터적 결합방법과 에지 맵의 벡터 노름(norm) 특성화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결과적으로 내용기반 영상 검색은 생성된 최종 에지모델이 갖는 에지의 방향성을 이용한 컬러 에지히스토그램을 통하여 수행된다.

영상편집효과를 고려한 내용기반 영상 검색의 개선에 관한 연구 (Improvement of Content-based Image Retrieval by Considering Image Editing Effect)

  • 강석준;배태면;김기현;한승완;정치윤;남택용;노용만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564-575
    • /
    • 2006
  •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사용자들은 다양한 유통 경로를 통하여 많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내용기반 영상 검색시스템은 영상 데이터의 내용을 다양한 시각적 특정 값들로 표현하여, 수많은 영상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을 검색하고 원하지 않는 영상을 필터링 하도록 한다. 그러나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편집은 영상 데이터의 고유한 시각적 특정 값들을 왜곡시켜 잘못된 검색 결과나 필터링 결과를 제공하여 내용기반 영상 검색시스템의 성능을 저하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영상편집효과 가운데 글자삽입, 프레임의 삽입, 그리고 여러 영상으로의 구성과 같은 편집효과에 대해 분석하고 이러한 편집효과를 제거하는 알고리즘을 고려한 내용기반 검색시스템을 제안하였으며, 실험을 통해 향상된 검색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의미 기반 검색을 위한 이미지 내용 모델링 (Image Content Modeling for Meaning-based Retrieval)

  • 나연묵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30권2호
    • /
    • pp.145-156
    • /
    • 2003
  • 현존하는 대부분의 내용 기반 이미지 검색 시스템은 칼라, 모양, 텍스처 특징을 이용한 유사도-기반 검색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신경과학 이미지 데이타베이스의 경우, 이미지에 대한 전역적 평균 특징 값을 기반으로 한 유사 이미지의 검색이 임상 병리학자들에게는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 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신경과학 데이터베이스 상의 이미지에 대한 실용적인 내용 기반 검색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이미지의 내부 내용이나 의미를 표현하는 일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이미지들에 대해 보다 유용한 검색을 지원하기 위하여 이미지 내용과 그에 관련된 개념 지식을 표현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객체지향 메시지 경로 식을 이용하여 이러한 고급 검색을 지원하기 위한 연산의 의미를 기술한다. 제안된 기법은 유연하고 확장 가능하므로 보다 강화된 내용 검색을 위해 이미지 내용에 대한 보다 많은 의미를 점진적으로 추가해 나갈 수 있다.

PPD: A Robust Low-computation Local Descriptor for Mobile Image Retrieval

  • Liu, Congxin;Yang, Jie;Feng, Deyi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4권3호
    • /
    • pp.305-323
    • /
    • 2010
  • This paper proposes an efficient and yet powerful local descriptor called phase-space partition based descriptor (PPD). This descriptor is designed for the mobile image matching and retrieval. PPD, which is inspired from SIFT, also encodes the salient aspects of the image gradient in the neighborhood around an interest point. However, without employing SIFT's smoothed gradient orientation histogram, we apply the region based gradient statistics in phase space to the construction of a feature representation, which allows to reduce much computation requirements. The feature matching experiments demonstrate that PPD achieves favorable performance close to that of SIFT and faster building and matching. We also present results showing that the use of PPD descriptors in a mobile image retrieval application results in a comparable performance to SIFT.

칼라공간과 키워드를 이용한 내용기반 화상검색 시스템 설계 및 구현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Content_Based Image Retrieval System using Color Space and Keywords)

  • 김철원;최기호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4권6호
    • /
    • pp.1418-1432
    • /
    • 1997
  • 일반적인 내용기반 화상 검색 기법은 검색 인덱스로서 칼라와 텍스쳐를 사용하며, 칼라기법인 칼라히스토그램과 칼라쌍 검색 기법은 공간정보와 텍스트가 부족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칼라공간과 키워드를 결합한 내용 기반 화상 검색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화상검색을 위한 전처리기에서는 기존의 HSI(Hue, Saturation, Intensity) 좌표계를 사용하였고, 화상으로부터 색채 영역과 비색채영역을 검출해 내었다. 화상의 크시는 200*N 또는 N*200으로 정규화하고 256칼라로 변환시킨다. 칼라 공간으로 칼라 선택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배경과 색채를 위한 2개의 칼라히스토그램을 사용한다. 공간정보는 최대 엔트로피 이산화를 사용함으로써 얻어진다. 키워드는 화상의 종류, 칼라, 모양, 위치, 크기를 선택 가능하도록 했으며, 입력되는 색채에 대해서는 한국 공업 규격의 유채색과 무채색 15가지 색으로 제한하였다. 화상검색 방법은 유사도 검색의 특징 키로 사용하였고, 화상 검색시 특정 성분의 가중치에 따른 검색을 위해 사용자는 질의어 입력시 칼라공간 ${\alpha}(%),\;키워드\;{\beta}(%)$등의 가중치를 화상 내용 특징에 따라 그 값을 조절하여 부여할 수 있는 방안을 개발하였다. 질의 화상에 대한 칼라공간, 키워드와 같은 추출된 특징중 하나의 특징으로 검색 실험한 결과는 가중치를 부여하여 실험한 결과보다 검색 효율이 낮았으며 가중치를 부여한 경우 측정된 파라메타의 평균치는 Precision(0.858), Recall(0.936), RT(1), MT(0)를 보임으로써 칼라공간, 키워드 내용기반 화상 검색 시스템들 보다 높은 검색 효율을 입증해 보였다.

  • PDF

모바일 디바이스상에서 공간-칼라와 가버 질감을 이용한 내용-기반 영상 검색 (Content-based Image Retrieval using Spatial-Color and Gabor Texture on A Mobile Device)

  • 이용환;이준환;조한진;권오진;김영섭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91-96
    • /
    • 2014
  • Mobile image retrieval is one of the most exciting and fastest growing research fields in the area of multimedia technology. As the amount of digital contents continues to grow users are experiencing increasing difficulty in finding specific images in their image libraries. This paper proposes a new efficient and effective mobile image retrieval method that applies a weighted combination of color and texture utilizing spatial-color and second order statistics. The system for mobile image searches runs in real-time on an iPhone and can easily be used to find a specific image.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new method, we assessed the iPhone simulations performance in terms of average precision and recall using several image databases and compare the results with those obtained using existing methods. Experimental trials revealed that the proposed descriptor exhibited a significant improvement of over 13% in retrieval effectiveness, compared to the best of the other descriptors.

내용기반 이미지 및 비디오 검색 시스템 성능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formance Analysis of Content-based Image & Video Retrieval Systems)

  • 김성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97-115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먼저 이미지 및 비디오 내용기반 검색 시스템 개념 및 유형을 분석 한 후 현재 상용중인 내용기반 검색시스템 5개를 선정해서 기존의 선행연구 및 각 시스템 홈페이지를 방문하여 성능을 분석 하였다. 그 결과 멀티미디어 정보검색의 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내용기반 검색과 주석기반 검색을 병행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영상의 에지 특징정보를 이용한 주석기반 및 내용기반 영상 검색 시스템의 구현 (Implementation of Annotation-Based and Content-Based Image Retrieval System using)

  • 이태동;김민구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7권5호
    • /
    • pp.510-521
    • /
    • 2001
  • 영상은 대용량적인 특성과 비정형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영상을 검색하기 위해 영상의 정확한 특징정보를 추출하여 검색 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한다. 영상 검색 시스템은 텍스트 기반의 전통 데이타베이스와는 다른 모델링 방법과 검색방법을 사용한다. 따라서, 영상 검색 시스템에서의 검색속도와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새로운 영상 데이타베이스 생성기법과 효율적인 검색 기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입력 영상으로부터 검색에 상용되는 에지 특징정보 추출을 위해 라플라시 안마스크와 입력 영상을 컨벌루션하여 에지의 외곽선 데이타를 추출하였으며, 그리고 추출한 에지 특징정보와 메타데이타로 영상 데이타베이스를 생성하여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영상을 검색할 수 있도록 주석기반 및 내용기반 영상 검색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주석기반 및 내용기반 영상 검색 시스템은 영상의 하위 레벨에 표현된 내용기반 에지 특징정보와 특징정보 추출이 어려운 상위레벨에 표현된 주석기반 에지 특징 정보를 영상의 색인으로 구성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영상 컨텐츠 검색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에서 제시한 영상 검색 시스템은 메타데이타에 의해 영상 데이타베이스를 구축하므로 정확한 영상 컨텐츠 정보의 축적관리와 영상의 정보공유 및 재이용이 가능하다.

  • PDF

객체 분할과 HAQ 알고리즘을 이용한 내용 기반 영상 검색 특징 추출 (Feature Extraction Of Content-based image retrieval Using object Segmentation and HAQ algorithm)

  • 김대일;홍종선;장혜경;김영호;강대성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3년도 신호처리소사이어티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53-456
    • /
    • 2003
  • Compared with other features of the image, color features are less sensitive to noise and background complication. Besides, this adding to object segmentation has more accuracy of image retrieval. This paper presents object segmentation and HAQ(Histogram Analysis and Quantization) algorithm approach to extract features(the object information and the characteristic colors) of an image. The empirical results shows that this method presents exactly spatial and color information of an image as image retrieval's featu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