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age Signature

검색결과 143건 처리시간 0.032초

Classifying Forest Species Using Hyperspectral Data in Balah Forest Reserve, Kelantan, Peninsular Malaysia

  • Zain, Ruhasmizan Mat;Ismail, Mohd Hasmadi;Zaki, Pakhriazad Hassan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9권2호
    • /
    • pp.131-137
    • /
    • 2013
  • This study attempts to classify forest species using hyperspectral data for supporting resources management. The primary dataset used was AISA sensor. The sensor was mounted onboard the NOMAD GAF-27 aircraft at 2,000 m altitude creating a 2 m spatial resolution on the ground. Pre-processing was carried out with CALIGEO software, which automatically corrects for both geometric and radiometric distortions of the raw image data. The radiance data set was then converted to at-sensor reflectance derived from the FODIS sensor. Spectral Angle Mapper (SAM) technique was used for image classification. The spectra libraries for tree species were established after confirming the appropriate match between field spectra and pixel spectra. Results showed that the highest spectral signature in NIR range were Kembang Semangkok (Scaphium macropodum), followed by Meranti Sarang Punai (Shorea parvifolia) and Chengal (Neobalanocarpus hemii). Meanwhile, the lowest spectral response were Kasai (Pometia pinnata), Kelat (Eugenia spp.) and Merawan (Hopea beccariana), respectively. The overall accuracy obtained was 79%. Although the accuracy of SAM techniques is below the expectation level, SAM classifier was able to classify tropical tree species. In future it is believe that the most effective way of ground data collection is to use the ground object that has the strongest response to sensor for more significant tree signatures.

Reconstruction of Buildings from Satellite Image and LIDAR Data

  • Guo, T.;Yasuoka, Y.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 /
    • pp.519-521
    • /
    • 2003
  • Within the paper an approach for the automatic extraction and reconstruction of buildings in urban built-up areas base on fusion of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 and LIDAR data is presented. The presented data fusion scheme is essentially motivated by the fact that image and range data are quite complementary. Raised urban objects are first segmented from the terrain surface in the LIDAR data by making use of the spectral signature derived from satellite image, afterwards building potential regions are initially detected in a hierarchical scheme. A novel 3D building reconstruction model is also presented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most buildings can be approximately decomposed into polyhedral patches. With the constraints of presented building model, 3D edges are used to generate the hypothesis and follow the verification processes and a subsequent logical processing of the primitive geometric patches leads to 3D reconstruction of buildings with good details of shape. The approach is applied on the test sites and shows a good performance, an evaluation is described as well in the paper.

  • PDF

모양분류와 컬러정보를 이용한 내용기반 약 영상 검색 시스템 (A Contents-based Drug Image Retrieval System Using Shape Classification and Color Information)

  • 전준철;김동선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117-128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약 영상의 모양 분류와 컬러정보를 이용한 새로운 내용기반 약 영상 검색 시스템을 제안한다. 내용기반 약 영상검색 시스템의 구현에 있어 주요 문제점은 유사한 모양과 색상을 지닌 영상이 너무 많이 존재한다는 것이며, 단순히 약 영상의 한 가지 특성에 의해서는 특정한 약을 확인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이러한 약 영상 구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약 영상의 모양과 색상에 근거한 복합적인 영상검색 방법을 제시하였다. 제안된 방법의 첫 단계에서는 약 영상을 모양에 의해 분류한 후 두 번째 단계에서 분류된 영상들 가운데 약 영상의 색상 정보를 이용하여 약 영상을 검색하였다. 모양 분류를 위하여 대상 약의 경계선으로부터 추출된 고유의 모양신호를 추출하여 사용하였다. 모양신호에 의해 분류된 영상으로부터 색조(hue)와 채도(saturation)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 영상으로부터 질의 영상과 유사도 가 높은 영상을 검색 추출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은 약 영상의 시각적 특성에 의해 노인과 같은 특정한 사용자들이 영상을 쉽게 검색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실험을 통해 제안된 자동 시스템이 약 영상을 인식하고 검색하는데 신뢰성 있고 편리하다는 것을 입증 하였다.

고등어(Scomber japonicus), 불볼락(Sebastes thompsoni) 및 쥐노래미(Hexagrammos otakii)에 의한 광대역 음향산란신호의 시간-주파수 분석 (Time-Frequency Analysis of Broadband Acoustic Scattering from Chub Mackerel Scomber japonicus, Goldeye Rockfish Sebastes thompsoni, and Fat Greenling Hexagrammos otakii)

  • 이대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221-232
    • /
    • 2015
  • Broadband echoes measured in live chub mackerel Scomber japonicus, goldeye rockfish Sebastes thompsoni, and fat greenling Hexagrammos otakii with different morphologies and intern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in time and frequency domains to understand the species-specific echo feature characteristics for classifying fish species. The mean echo image for each time-frequency representation dataset obtained as a function of orientation angle was extracted to mitigate the effect of fish orientation on acoustic scattering. The joint time-frequency content of the broadband echo signals was obtained using the smoothed pseudo-Wigner-Ville distribution (SPWVD). The SPWVDs were analyzed for each echo signature of the three fish species. The results show that the time-frequency analysis provided species-specific echo structure patterns and metrics of the broadband acoustic signals to facilitate fish species classification.

웨이블릿 함수를 이용한 이미지 워터마킹 (Image Watermarking using Wavelet Function)

  • 황선기;김태우;차승주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권1호
    • /
    • pp.29-34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웨이블릿 기반의 이미지 워터마킹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한 방법은 원영상의 주파수 영역에 의사 잡음 코드를 첨가하여 워터마크 된 디지털 영상을 만드는 것이다. 또한, 원영상은 워터마킹 검출을 위해 사용되어지고, 부가되는 서명의 강도는 원영상에 따라 달라지므로, 적합한 신호를 제안된 방법에 의해 산출 할 수가 있었다. 실험 결과, 제안된 방법이 주파수 영역에서 기존의 사설 방식에 비해 우수한 변조방지와 낮은 가시성을 보임을 나타내었다.

  • PDF

도로시설물 모니터링을 위한 도로영상 내 위치정보 은닉 (A Position Information Hiding in Road Image for Road Furniture Monitoring)

  • 성택영;이석환;권기룡;문광석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430-443
    • /
    • 2013
  • 운전자에게 차량의 현재 위치 및 도로 주변 상황 인지는 안전하고 쾌적한 운전 환경 조성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정보들이다. 본 논문에서는 도로시설물 및 도로표지 등의 도로정보를 모니터링 하고 시각적으로 알리기 위해 도로주행영상 내 좌표정보 결합 및 시점변환 기법을 이용한 도로주행환경 자동인식 기술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차량 내 탑재된 카메라와 GPS를 이용하여 공간정보가 반영된 도로주행영상을 생성한 후, 생성 영상의 시점 변환 및 정합, 도로정보 검출을 수행하여 사용자에게 도로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제안한 방법을 도로 주행 영상에서 실험한 결과, 도로주행영상 내 GPS 좌표정보의 결합 시간은 66.5ms, 교통 표지판 검출율은 95.83%, 프레임당 표지판 검출 처리 시간은 평균 227.45ms 이었다. 따라서 15프레임/초 이하의 입력 동영상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도로주행환경을 자동으로 인식하는 것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스타일러스 펜을 활용한 금융 거래에서의 본인 인증 (Identity Verification in Financial Transactions Using a Stylus Pen)

  • 김현지;장경배;권혁동;김현준;서화정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30권3호
    • /
    • pp.379-388
    • /
    • 2020
  • 최근 신용카드의 사용 비중이 늘어나고 있으며 그에 따른 보안 위협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신용카드 부정사용, 명의 도용 등의 관련 범죄에 취약함에도 불구하고 카드 결제 시 이를 방지하기 위한 보안 장치가 없는 상황이다. 이러한 현재 신용카드 결제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기존 거래 방식에 가속도 센서가 내장된 스타일러스 펜을 활용하여 결제 서명을 하고, 합성곱 신경망을 통해 해당 서명의 이미지와 센서를 통해 측정한 서명 정보를 분류하여 상호 비교하는 과정을 추가한다. 이와 같이 스타일러스 펜의 소유 여부와 서명의 특징 값을 통해 본인 인증과정을 수행함으로써 금융 거래에서의 보안성을 증진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비디오 정합을 위한 오디널 특징의 유일성 및 강건성 분석 (Analysis of Uniqueness and Robustness Properties of Ordinal Signature for Video Matching)

  • 정광민;김정엽;현기호;하영호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576-584
    • /
    • 2006
  • 내용기반 비디오 정합은 원본의 클립에서 특징(signature)을 구한 후 복사본의 특징과 비교하여 유사도를 측정한다. 특히 정확한 위치의 프레임을 정합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원본과 복사본의 프레임율, 잡음, 해상도, 압축형식에 따라 정합 율이 달라질 수 있다. 비디오 특징 중 오디널(ordinal) 특징은 일반적으로 우수한 정합특징을 나타내고 있으나 비디오 특징의 구별 능력을 나타내는 유일성 실험(uniqueness test)과 잡음에 대한 내성을 나타내는 강건성 실험(robustness test)이 중요한 요소로 고려되지 않았다. Hua등은 유일성 실험에서 해상도, 압축형식 등을 고려하였지만 강건성 실험에서 영상에 잡음을 첨가하는 대신 압축 형식이 변환된 영상을 사용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오디널 특정의 유일성 분석과 함께 실질적인 잡음 모텔을 도입하여 오디널 특징의 강건성 실험 방법을 제안하고 성능을 분석하였다.

  • PDF

교사 자료의 분광 특징 분리에 의한 감독 분류 성능 향상 (Enhancing Classification Performance by Separating Spectral Signature of Training Data Set)

  • 김광은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369-376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공간 영상 자료의 감독 분류에 있어, 분석자에 의하여 선정된 분류 항목별 교사 자료를 분광 특징별로 다수의 군집으로 분리하고, 각각의 군집을 새로운 분류 항목의 교사 자료로서 설정함으로써 분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특징 분리를 통하여 생성된 교사 자료는 비교적 작은 값의 밴드별 분산값을 가질 뿐 아니라 정규분포 형태의 자료 분포를 보이게 되어 통계적 감독 분류 기법의 적용에 적합한 교사 자료로서의 성격을 가지게 된다. 제안된 기법은 부산 지역에 대한 Landsat TM 영상 자료를 이용하여 그 적용성이 시험되었으며, 기존의 통계적 분류 기법들에 의한 결과와 그 성능이 정성적으로 비교되었다. 시험 적용 결과, 본 기법은 분석자가 선정한 교사 자료의 분광적인 분포 형태에 관계없이 우수한 분류 성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되며, 따라서 분류 항목의 설정 및 항목별 교사 자료의 선정에 있어 교사 자료의 분광적 특징에 대한 동일성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을 줄여줄 것으로 기대된다.

유한 체상에서의 사전 비밀이미지 공유 기법 (A Proactive Secret Image Sharing Scheme over GF(28))

  • 현승일;신상호;유기영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577-590
    • /
    • 2013
  • Shamir의 (k,n)-threshold 비밀 공유(secret sharing) 기법은 참가자(participant)의 서명(signature)과정을 생략하기 때문에 악의적인 공격자에 의해 속임(cheating) 행위가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여러 가지 기법들이 제안되었다. 대표적인 기법으로는 사전 비밀 공유(proactive secret sharing)가 존재한다. 이 기법은 불규칙적인 주기로 참가자들에게 배포된 공유값(shadow value)을 새롭게 변경해준다. 본 논문에서는 사전 비밀 공유 기법을 기존의 비밀이미지 공유(secret image sharing)에 처음으로 적용시킨다. 제안하는 기법은 유한 체($GF(2^8)$)상에서 비밀이미지의 공유가 수행된다. 유한 체 연산은 효율적이고, 안전한 암호 연산을 수행하기 위해 지난 30년간 널리 사용되어 왔고, 제안하는 기법에서는 사전 비밀이미지 공유 과정 내의 비밀 이미지의 손실(lossy)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한다. 공유된 이미지(shadow image)를 생성하는 과정 내에서, 비밀이미지 공유 다항식(polynomial)을 이용하여 생성된 값은 삽입 용량(embedding capacity)과 PSNR의 상관관계(correlation)를 고려하여 LSB-2 방법을 이용해 커버 이미지(cover image)에 삽입된다. 실험에서는 비밀이미지의 삽입 용량과 공유된 이미지와 커버 이미지(cover image)간의 왜곡(distortion)의 비율(ratio)을 측정한다. 실험 결과에서는 기존의 제안되었던 기법들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제안하는 기법의 우수성을 검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