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T workforce

검색결과 381건 처리시간 0.026초

지역 기반 산업의 인력 수요 분석을 통한 공업 계열 특성화 고등학교의 교육과정 개편 사례 연구 (Case Study on Revising Curriculum of a Industrial High School through Analysis of Manufacturing Workforce demand focused on Chungnam Province in Korea)

  • 이상봉;최지연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221-238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bigcirc}{\bigcirc}$공업고등학교가 위치한 충청남도 금산 지역의 기반 산업인 제조업의 현황 및 인력 수요를 분석하여 이를 기초로 ${\bigcirc}{\bigcirc}$공업고등학교 교육과정을 개편하는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bigcirc}{\bigcirc}$공업고등학교의 현황 및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통계 자료 및 문헌을 조사 분석하였으며, ${\bigcirc}{\bigcirc}$공업고등학교의 교직원, 학생, 학부모, 학교운영위원, 지역사회 인사 등 학교 이해 당사자들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교육과정 개편 및 교명 변경에 대한 설문 조사 및 면담 등을 실시하였다. 또한 충남지역의 제조업 현황 및 인력 수요를 분석하기 위해 통계 자료 및 문헌을 조사 분석하였다. 그리고 분석한 자료를 토대로 ${\bigcirc}{\bigcirc}$공업고등학교의 교육과정 개편 및 교명 변경 방안을 도출하였다. 충청남도 금산지역은 제조 제어 분야의 중소기업이 밀집되어 있으며, 자동차 부품, 전자 정보기기, 첨단문화, 농축산 바이오, 4개 산업분야를 지역 전략 산업으로 육성하고 있다. 산업별 취업자수는 제조업이 33.6%를 차지하고, 서비스업 광업 및 제조업이 차지하는 비율이 전체의 80 %이상이 되어, 제조업과 서비스 분야에서 많은 인력 수요가 창출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bigcirc}{\bigcirc}$공업고등학교는 현재의 학교 체제와 교육과정을 전면적으로 개편하보다는 '컴퓨터응용기계과'는 '기계제어', '전기제어과'는 '자동화전기설비', '바이오식품공업과'는 '식품공정제어' 중심의 교육과정으로 재구성하고 학과를 개편하여, 금산군의 주력 산업 산업이자 충청남도 지역 전략 산업 분야인 친환경 농업 및 제조 제어 산업의 인력을 양성 공급함으로써 양질의 취업을 늘리고, 공업계열 특성화고등학교로서의 정체성을 살려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성관리자의 조직몰입을 높이기 위한 기업의 내부요인 탐색 (Exploring Internal Factors of Companies to Increase Oorganizational Commitment of Female Managers)

  • 신수영;박지성;옥지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9호
    • /
    • pp.296-307
    • /
    • 2020
  • 여성인력의 양적 증가에 비해 여성의 조직 내 지위는 여전히 열악한 수준이다. 다양한 관점과 유연한 환경대처능력이 필요한 시점에서 여성인력을 어떻게 관리하고 활용할 수 있는가는 기업이 시급히 풀어야 할 당면과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경력개발의 주체로서 여성관리자들이 보다 조직에 몰입하게 하는 조직의 내부요인을 탐색하고자 한다. 그동안 여성인력의 활용과 관련한 선행연구에서는 주로 일-가정 균형(work-life balance) 등 고용평등정책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조직의 외부적 지원책뿐만 아니라 멘토링, 교육훈련, 조직분위기 등 조직의 내부 지원요인을 고려함으로써 기존 연구의 범위를 확장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여성관리자패널 데이터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멘토링과 교육훈련 그리고 조직분위기는 모두 여성관리자의 조직몰입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성관리자의 주도적 영향력은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며, 조직의 내부요인과 조직몰입 사이를 매개하였다. 즉, 여성관리자들이 조직에 몰입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내부적 지원 뿐만 아니라 여성관리자들이 자신의 위치에서 주도적으로 자신의 영향력을 발휘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본 연구는 우수 여성 인력의 채용, 교육훈련, 보상 등 제반 투자 비용을 회수하지 못하고 향후 여성 인력 채용까지 제한하는 기업의 여성 인력 활용상의 딜레마를 조금이나마 해소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사업체 근로자의 연령구성이 생산성과 인건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workforce Age Structure on Productivity or Labor Costs)

  • 김기민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7권1호
    • /
    • pp.123-138
    • /
    • 2018
  • 본 연구는 한국노동연구원의 사업체패널조사 1-5차년도 자료와 행정자료인 "고용보험 DB"를 결합하여 구축한 "사업체-근로자 연계자료"를 활용하여 사업체 근로자의 연령구성과 생산성 및 인건비와의 관계를 실증분석 하였다. 사업체의 생산성은 1인당 부가가치로, 인건비는 1인당 노동비용으로, 사업체 근로자의 고령화 정도는 근로자의 연령구성으로 측정하였으며 동적패널모형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생산성과 인건비 모두 사업체의 35-39세 연령대 근로자의 비율을 중심으로 역U자의 모습을 보였다. 즉, 35-39세 연령대 근로자 대신 더 젊은층의 근로자 혹은 더 고령층의 근로자 비중이 증가하는 경우 생산성 및 인건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35-39세 연령대 근로자 대신 50세 이상 연령대 근로자가 증가할 때의 생산성 추정계수와 인건비 추정계수와의 차이가 30세 미만 연령대 근로자가 증가할 때의 생산성 및 인건비의 추정계수와의 차이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해 고령근로자의 생산성 저하에 대한 기업의 우려는 타당하나, 동시에 기업은 이미 인건비 조정 등의 방법을 통해 고령근로자를 효율적으로 활용해 왔음도 확인할 수 있다.

정보보호 직무 수행을 위해 필요한 지식 및 기술: 텍스트 마이닝을 이용한 구인광고와 NCS의 비교 (Information Security Job Skills Requirements: Text-mining to Compare Job Posting and NCS)

  • 전효정;박병조;김태성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25권3호
    • /
    • pp.179-197
    • /
    • 2023
  • 산업진흥 정책의 하나로 정보보호 인력양성 및 교육이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지만, 시장에는 여전히 중고급 이상의 숙련인력은 부족하다. 정보보안 공시제도의 시행 및 확대에 따라, 정보보호를 전담할 전문인력의 확보 및 유지의 필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하지만, 지능정보사회로의 진입에 따라 정보기술 업무와 정보보호 업무 간의 구분은 더욱 애매해지고 있어, 정보보호만의 전문성을 키우고 인정받기 위한 수단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업무수행에 필요한 지식 및 기술을 규명하여 정보보호 전문성 확보를 위한 수단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2014년, 2019년, 2022년 게시된 정보보호 인력 구인광고 데이터를 수집하여, 직무 키워드를 비교한 결과, 구축, 운영, 기술지원, 네트워크, 보안솔루션 등이 주요 키워드임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년도별로 차이가 없었다. 또한, 기업의 실제 수요를 파악하기 위해,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이용하여 구인광고 내용과 국가직무능력표준 정보보호 분야 지식기술 내용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실제 현업에서는 기술개발, 네트워크, 운영체제 등 기술적인 능력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직업훈련에서는 법제도, 인증제도 등 관리 능력이 우선시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Generic Attributes of the New Millennial Leaders

  • DAUD, Salina;WAN HANAFI, Wan Noordiana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12호
    • /
    • pp.455-464
    • /
    • 2020
  • As the millennials continue to mature and enter the workforce, it is important that employers understand what this generation expects from all aspects of their employment and leadership preferences in order to prepare them to be the next millennials leader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termine the generic attributes of the new millennial leaders in Malaysia. The survey is distributed among executives in the selected government-linked, multinational, and public-sector companies in Malaysia, with 237 (72%) of whom being millennials. Partial least square (PLS-SEM) via software SmartPLS 3.0 was applied to evaluate the measurement model and the structural model. Results from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attributes of the millennials leader are innovative (0.213), inspiration (0.128), and visionary (0.122). Thus, organization can focus on those attributes in preparing the millennials for being the next generation of leaders. This study offers important implications to researchers as well as practitioners, and highlights the leadership attributes that could help in enhancing millennials leadership. This study produces a new millennials leadership attributes model for millennials leaders in Malaysian companies; with millennials becoming the fastest-growing age groups in the organizations, this study will promote effective and efficient skills for the millennials.

가정전문간호 인력과 공급의 적정성 (Home Health Nurses and the Adequacy of their Supplies)

  • 백희정
    • 가정∙방문간호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37-145
    • /
    • 2020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training system and current status of home health nurses and to examine ways to retain sufficient number of advanced practice nurses (APNs) in the home health nursing field. Methods: This study analyzed the adequacy of the supply of home health nurse by reviewing the existing research literature and statistical data. Results: Discussions on how to revitalize the home care business have been ongoing since the beginning of 2001. However, despite home health nurses being oversupplied, discussions on the adequacy of supply have always been excluded from the focus of revitalization. The recent expansion of the home care business has resulted in a shortage of workforce, which can be inked not only to the continuous reduction of the designated quota of programs but also to the regional imbalance of educational institutions. The serious imbalance between supply and demand has caused fears that the home care business would drastically reduce.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not only increase designated quotas for APNs programs but also integrate those programs of the similar curricula, thus lowering supply shortages in home health nurses.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제공 병동의 운영현황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Operation Status of Comprehensive Nursing Care Ward)

  • 이경아;이선희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96-204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tribute to the activation of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working environment and operational status of comprehensive nursing care wards with general wards. Method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t hospitals operating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s. We collected data on patient characteristics, workforce, working environment, and work support facilities of 40 hospitals voluntarily participating in the surve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ividing it into an comprehensive nursing care ward and a general ward. Results: Compared with the general ward, the comprehensive nursing care ward had fewer hospitalized patients, but the severity of the patients and the need for nursing were high. The number of nurses, assistant nurses, and ward support workers per patient was higher in the comprehensive nursing care ward than in the general ward, and the implementation rate of night shift fixed system, the fixed shift system, and the preceptor system were higher. In terms of structural environment, comprehensive nursing care wards had more room for interviews. Conclusion: The comprehensive nursing care ward had more nursing staff and provided a better working environment than the general ward, but required additional support for the structural environment.

재난심리회복지원플랫폼 기술 연구 (Research on Disaster Psychological Recovery Support Platform Technology)

  • 오승훈;손동훈;유홍연;전은경;윤심권;양지원;임권섭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37권5호
    • /
    • pp.33-43
    • /
    • 2022
  • We evaluated the problems of the current disaster psychological recovery support system of the Ministry of Interior and Safety for periodic infectious disease disasters, including COVID-19 (coronavirus disease 2019). The current disaster psychological recovery support systems are challenging to preemptively respond to infectious disease disasters over a wide range and for a long period. These result from the workforce shortage according to the face-to-face consultation method and the limited real-time application of consultation contents. Additionally, due to the workforce shortage, it is difficult to track those who have experienced disasters in the long term. Furthermore, most disaster psychology evaluation tools are for adults, and there are few evaluation tool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This paper presents an advanced disaster psychological recovery support platform technology that can actively assist people in psychological recovery from disasters while mitigating these issues.

산업인력양성 체제로서 국내 직업교육의 변천 과정 고찰 (A Study on the Transition Process of Vocational Education as National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 Korea)

  • 김충환;문인영;박신희;김지현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21-45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국가인적자원개발 체제로서 산업인력양성을 위한 직업교육이 국가 경제 및 산업, 사회문화적 맥락과 어떤 관련성을 갖고 변천 과정을 거쳤는지를 파악하였다. 첫째, 우리나라의 경제 환경, 산업발달, 사회 변화에 따라 산업인력양성 체제로서의 직업교육이 어떻게 변해왔는지, 둘째, 직업교육의 역할과 비중에 영향을 준 주요 요인들은 무엇인지, 셋째, 산업인력양성 체제로서의 직업교육과 이공계 인력양성은 국가인적자원개발 모형 관점에서 어떻게 다르게 변화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학술지 논문, 연구보고서, 학위논문 등의 문헌을 조사하여 시대별로 구분하고 시대 별 경제, 산업, 사회적 이슈, 정책과 연관하여 직업교육의 주요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산업이 고도화되면서 직업교육의 수준은 높아지고 범위는 확장되는 양상을 보였다. 둘째, 직업교육은 제조업 산업 기반 이후 점점 축소되는 경향을 보였고 특히 중등직업교육은 경공업 중심의 국가 산업 이후 쇠퇴하는 경향을 보였다. 셋째, 1970년대 이후 산업의 고도화에 따른 국가인적자원개발의 다양화 및 직업의 다양화로 학력 수준에 따른 임금 격차가 생겼고 이는 대학교육에 대한 선호를 높여 중등직업교육을 기피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이공계 인력양성에 초점을 맞춘 국가인적자원개발 모형을 제안하여 직업교육 전반에 초점을 맞춘 기존 국가인적자원개발 모형을 비교하였고, 국가인적자원개발을 다양한 분야나 수준별로 세분화하여 모형을 도출하고 변화를 살펴볼 필요가 있음을 밝혔다. 연구 결과로부터 우리나라 직업교육, 특히 중등단계 직업교육은 경제 성장과 교육열, 외환위기와 같은 외부 충격에 의해 사회문화적 인식에 큰 영향을 받아 쇠퇴해 왔으며, 직업교육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인식을 바꾸려는 장기적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구강보건인력의 예방치과진료에 대한 인식 및 교육요구도 (Awareness and educational needs on preventive dental treatment among oral health workers)

  • 정재연;한수진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875-887
    • /
    • 2017
  •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needed in developing an educational program designed to upgrade capacity and awareness of preventive dental treatment among oral health workers, by analyzing levels of awareness of preventive dental treatment and educational needs among dentists and dental hygienists. Method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SPSS program ver. 19.0. The data was under t-test. Results: The frequency level of giving preventive dental treatment to patients among dentists and dental hygienists is below mid-point, 3 on the 5-point Likert scale. In terms of frequency level per item, scaling & polishing was ranked the highest, followed by periodontal maintenance, tooth-brushing instruction, and prescription and instruction of oral care product in descending order. On the questions asking how important preventive dental care they perceive to be, both dentists and dental hygienists perceived it to be highly important. When they were asked to rank those items by the importance of education, they considered periodontal maintenance as the most important one, followed by individual education of oral health, incremental oral health care, scaling& polishing, toothbrushing instruction, and prescription and instruction of oral care product. Respondents pointed out problems in running a preventive dental treatment program as follows: overwork, lack of dedicated workforce, un-fixed costs, and lack of necessary equipment. When they were asked to point out items needed to run such a program, the largest number of respondents indicated dedicated workforce placement, followed by improving awareness of the customer, and improving awareness of the dental workers. Conclusions: In order to effectively run a preventive dental treatment program, it is necessary for oral health workers to clearly understand the concept of it. It is also necessary to develop and operate an education program on preventive dental treatment targeting oral health profession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