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T competencies

검색결과 821건 처리시간 0.025초

북미 대학도서관 연구데이터 관리 교육 프로그램 내용 분석: 데이터 리터러시 세부 역량을 중심으로 (A Content Analysis of Research Data Management Training Programs at the University Libraries in North America: Focusing on Data Literacy Competencies)

  • 김지현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7-36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북미에서 연구데이터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121개 대학도서관 중 연구데이터 관리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51개 기관을 대상으로 제공되는 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을 12개 데이터 리터러시 세부 역량에 기반을 두어 분석하고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내용 분석을 위해 집합 교육 프로그램의 제목 317개와 온라인 튜토리얼의 상위 목차 제목 42개를 수집하였으며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12개 데이터 리터러시 세부 역량에 따라 코딩을 수행하였다. 집합 교육 프로그램 중에서는 데이터 처리 및 분석 역량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많은 수의 기관에서 데이터 관리 및 조직 역량에 대한 교육을 제공하고 있었다. 데이터 시각화 및 표현은 집합 교육 프로그램 중에서 세 번째로 많이 다루어지는 역량이었다. 그러나 나머지 9개 역량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은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나 교육 프로그램 내용이 특정 역량에 집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집합 교육 없이 자체 개발한 온라인 튜토리얼을 제공하는 기관은 5곳이었으며 목차 제목을 분석한 결과 데이터 보존, 윤리 및 데이터 인용, 데이터 관리 및 조직 역량에 대한 교육 내용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어 집합 교육 프로그램에서 강조되는 역량과 차이를 보였다. 효과적인 연구데이터 관리 교육 프로그램 운영을 위해서는 대학도서관 사서들이 전통적으로 교육하고 강조해왔던 역량뿐만 아니라 데이터 처리와 분석, 데이터 시각화와 표현 등 연구자들의 연구 결과 도출에 필요한 데이터 리터러시 세부 역량에 대한 이해와 지원이 요청된다. 또한 연구데이터 관리 서비스와 관련된 사서들의 계속 교육을 지원하는 교육 자원의 개발도 필요할 것이다.

OECD Education 2030에서 제안된 핵심역량의 2015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 반영 특성 분석 (Analysis on Reflection Characteristics of the Key Competencies Proposed by the OECD Education 2030 in the 2015 Revised Home Economics Curriculum)

  • 양지선;유태명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13-135
    • /
    • 2019
  • 본 연구는 OECD Education 2030 프로젝트에서 제시하고 있는 핵심역량의 반영 특성을 2015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에서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핵심역량 범주에서 일반적인 특징은 기능, 태도, 가치 영역은 46.5%로, 학습 개념 프레임워크 영역은 17%, 역량 개발 사이클 영역은 24.2%, 복합 역량 영역은 12.5%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교육과정 항목에서 성취기준(59%), 성격(16.1%), 교수·학습 평가 방향(9.4%), 내용체계(8%), 목표(7.6%) 순으로 반영되었으며 학습 개념 프레임워크의 역량은 성취기준에 가장 많이 반영되었다. 둘째, 핵심역량 항목은 중학교 교육과정에서 행동, 문제해결, 의사소통, 존중, 창의적 사고, 갈등해결, 공감, 비판적 사고, 자기관리, 학생 주체성 순으로 나타났다.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행동, 공감, 문제해결, 예측, 글로벌 역량, 자기관리, 학생 주체성, 지속가능 발전을 위한 리터러시, 반성, 비판적 사고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열지도를 통해 3, 4단계에 해당되는 역량의 반영 정도가 높게 나타나 핵심역량의 효과적인 실천을 계획하고 지원할 필요가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미래를 위한 학습 안내자의 역할로 OECD에서 강조하는 핵심역량과 가정교과 역량 간의 상호관련성을 파악하고 실천 교과로서 개인의 총체적인 역량 함양을 도울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외래간호사 역량 증진을 위한 간호역량 평가도구 개발 (Developing of a Tool for Ambulatory Care Nurse Competencies)

  • 민명진;유소영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90-100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tool to evaluate the nursing competency of ambulatory nurses and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developed tool for use in general hospitals. Methods: The evaluation tool for ambulatory nursing competency was develop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tests for validity and reliability. Results: Subsequent to a review of the literature on nursing performance of ambulatory nurses, a 12 item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hrough factor analysis, 12 items in a 2 factor solution were derived. Cronbach's ${\alpha}$ coefficient of the final instrument was .86. Conclusion: The assessment tool developed in this study allows for objective assessments of nursing competencies in relation to the competencies expected of ambulatory care nurses. It is hoped that the assessment tool can be used for empirical verification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the necessary policies to secure outstanding human resources.

구급대원의 재난대응역량에 관한 연구 (Study on disaster response competencies of 119 EMTs)

  • 이정혁;이경열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55-66
    • /
    • 2018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saster response competencies of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EMT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6 119 EMT's at the fire station located in G province.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5 sub-factors and 29 items for measuring disaster response competencie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program. Results: Disaster response competency comprising immediate response, patient triage, patient treatment, patient transport, and collaboration support were 3.48, 3.64, 3.52, 3.64, and 3.16, respectively. Advanced EMTs scored significantly higher in patient triage (p<.001), treatment (p<.001), and transport (p=.022) competency than basic EMTs. Conclusion: In order to improve disaster response competency, it is necessary not only to enhance individual ability but also to continue disaster management training with related organizations.

미국 보건간호사 핵심역량과 일 지역사회의 지역사회간호학 실습교육내용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between American Public Health Nurse Core Competency and Community Health Nursing Practicum in a Province)

  • 이한주;최정현;현사생;김춘미;진영란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34-346
    • /
    • 2017
  • Purpose: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extent to which competencies were identified in a Korean community nursing practice based on the 11 core competencies required by US health nurses. Methods: This wa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an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1 students who were in a four-year nursing course. Data were collected by means of a questionnaire from October 19 to November 22, 2016. Results: Core competencies in total were practiced in 60.0% to 98.5% of schools in Korea. Among these, competencies corresponding to the practice level of 'high' were identified as 'communicating effectively with community nursing subjects and colleagues, and accepting various personal characteristics without criticism or prejudice'. On the other hand, competencies corresponding to the practice level of 'low' were identified as 'to comply with social justice, public good, public health principles, and leadership in a community nursing practice'. Conclusion: This study can be used as a resource to categorize the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expected in the field of community nursing. Based on a careful review of core competencies with low practice, it is necessary to seek specific practical strategies to strengthen these competencies in the future.

자동차 생산 관리 분야 직업기초능력의 수준 평가 연구 (A Study on the Level Estimation of Key Competencies in Automobile Production Management Fields)

  • 박성종;박명호;한명석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55-170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수리능력, 조직이해력, 기술능력, 문제해결력, 대인관계능력, 의사소통능력, 자기관리 및 개발능력, 자원활용능력, 정보활용능력을 직업기초능력의 영역으로 설정하여 자동차 분야 학생과 자동차 생산 관리 분야 산업체 인사의 직업기초능력 수준을 평가하였다. 각 영역의 직업기초능력의 수준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자동차 분야 산업체와 대학의 직업기초능력의 수준을 설정할 수 있는 근거가 필요하므로 이를 위해 자동차 분야 산업체 인사가 보유하고 있는 직업기초능력의 수준을 조사하였다. 이를 토대로 자동차 분야의 2년제 대학 학생이 보유하고 있는 직업기초능력과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본 연구에서 정한 직업기초능력 수준 설정의 근거가 타당함을 검증하였고, 설정된 직업기초능력 수준을 적용시킬 때 자동차 분야 산업체와 대학 각각의 수준 평가가 가능하고 유효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간호학생의 재해관련 경험, 재해간호에 대한 인식 및 재해간호 핵심수행능력 (Disaster Experience, Perception and Core Competencies on Disaster Nursing of Nursing Students)

  • 안은경;김선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6호
    • /
    • pp.257-267
    • /
    • 2013
  • 본 연구는 간호학생의 재해관련 경험, 재해간호에 대한 인식과 재해간호 핵심 수행능력 정도를 파악함으로써 재해간호 교육과정의 개발 및 발전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다. 연구결과, 전체대상자 중 20.3%가 재해를 직접 경험하거나 목격한 경험이 있고, 75.6%의 대상자가 재해관련 교육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해간호 인식 정도는 25점 만점에 평균 18.16점이었고, 핵심 수행 능력은 75점 만점에 평균 41.56점으로 나타났다. 재해간호 인식 정도는 핵심 수행 능력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r=.155, p<.05).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볼 때, 재해현장에서 요구되는 핵심 수행능력을 반영한 교육내용의 표준화와 재해간호 영역에서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2015 개정 기술·가정과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역량 함양을 위한 의생활 수업 개발 - 교육과정-수업-평가의 일체화를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Clothing Life Education to Cultivate Subject Competencies based on 2015 Revised Technology & Home Economics Curriculum : Focusing on Integration of the Curriculum-Class-Evaluation)

  • 김서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15-128
    • /
    • 2018
  • 본 연구는 교과역량 함양을 위한 가정과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역량기반 가정과 수업의 현장 적용 방안을 탐색하고, 수업 사례를 개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역량 함양을 위해서는 교육과정-수업-평가의 일체화를 통해 학생을 교육과정, 수업, 평가의 중심에 두어 삶의 주체로 성장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교과역량 함양을 위해 교육과정-수업-평가 일체화를 중심으로 의생활 수업 사례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실제 가정과 수업에서 교과역량의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평가-수업의 일체화를 활성화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핵심역량에 기초한 A 통신사의 선발시스템 사례연구 (Telecommunication Company A's Selection System Case Based on the Core Competencies)

  • 구정호;이광희;이병진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9-25
    • /
    • 2014
  • It is very important to select the best employees who are suitable for their jobs and duties as considering the efficiency and productivity of the firms' performance. As a result, many kinds of selection methodologies and systems have been developed. Among them is the selection system based on the core competencies which is known as the superior selection systems that can increase the predictive validity who is the right people, compared to the traditional selection system based on the job analysis. Hence, the former has been focused in the complex business situation in recent years. In this case study, we examine the selection system case based on the core competencies of OSS team in Company A, which is one of the largest telecommunication firms and we suggest the implicat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case study, defining the core competencies of the job and selecting the right people who had the related competencies not only decreased the turnover rate of OSS team in Company A, but also increased the employees' loyalty and satisfaction for the organizations. This study will be a benchmark to other departments that don't use competency selection system of Company A as well as the firms that want to adapt the selection system based on the core competencies. Also, this case study has a contribution that shows us an alternative model how can the firms identify and select the best right employees.

과학중심 STEAM 수업을 통한 학습자가 인식하는 21세기 학습자 역량 변화 (A Study on Changes in Learners' Recognition of 21st Century Learner Competencies through Science-centered STEAM Class)

  • 심수민;신영준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6권2호
    • /
    • pp.143-154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ducational effects of STEAM class by focusing on $21^{st}$ century learner competencies based on burning and extinguishing unit. Two 6th grade classes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ison group to treat the experimental group with elementary science class using STEAM class. General class according to teacher manual was implemented for the comparison group. Elementary science class applying STEAM class was conducted for 9 lessons throughout the experimental period.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Elementary science class with STEAM class had significant effect on 21st century learner competencies compared to traditional instructor-led classroom. Looking specifically, it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hree domains of the seven domains (problem solving, collaboration, flexibility). The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STEAM class was effective in improving learners'recognition of 21st century learner competenc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