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T코딩 교육

검색결과 190건 처리시간 0.021초

소프트웨어 교육용 교구 활용 미래 교육을 위한 융합 콘텐츠 및 외부 확장장치 개발 (Development of External Expansion Devices and Convergence Contents for Future Education based on Software Teaching Tools)

  • 주영태;김종실;김응곤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1317-1322
    • /
    • 2021
  • 4차 산업 혁명 시대의 소프트웨어는 지능정보사회에서 핵심기반이 되고 있다. 이에 시대에 대응할 수 있는 인력양성과 교육의 새로운 방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교육부는 교육과정을 개편하고 일반 ICT 지식의 습득보다 컴퓨팅 사고력 기반의 논리적인 문제해결 과정을 기반으로 한 소프트웨어 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소프트웨어 교육을 위한 양질의 교육 콘텐츠 확보가 부족하고 첨단 IT 기술과 연계하여 교육할 수 있는 교구 또한 미비한 상황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본 논문은 소프트웨어 교육용 코딩 로봇을 활용하여 인공지능 등의 융합형 소프트웨어 교육이 가능한 교육 콘텐츠 및 기능확장을 위한 외부 확장장치 개발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기존의 단순 문제해결 방식의 교육과정을 개선하고 다양한 학습 자료를 개발하여 효과적인 소프트웨어 교육이 가능하다.

RDA 2020의 LRM 수용 방식 분석을 통한 LRM 적용시 고려사항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nsiderations for Acceptance of LRM Through Analysis of RDA 2020 to Reflect LRM)

  • 이미화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1-22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RDA의 LRM 수용방식을 분석하여 도서관 관련 다양한 표준 및 시스템에서 LRM 적용시 고려사항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LRM과 RDA 2020을 개체, 관계, 속성, 인코딩스킴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우선, 개체, 관계, 속성의 매핑을 위해 RDA의 개체별로 속성과 관계를 모두 추출하여, 각 속성과 관계별로 해당하는 LRM 요소를 찾아 매핑하였고, 추가적으로 인코딩스킴도 함께 비교하였다. 결과적으로 LRM을 적용하려는 표준 및 시스템에서 고려할 사항은 첫째, LRM의 계층구조를 고려한 개체 개발, 둘째, 새로운 관계나 지름길 관계 개발, 셋째, 계층구조를 고려하여 개체에 맞는 속성의 세분화, 넷째, 다양한 인코딩스킴의 개발이다. 본 연구는 LRM을 수용하려는 표준이나 시스템에서 자체적인 LRM 적용방안을 모색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SW 교육 훈련특성이 개인 특성과 교육 결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SW Education Training Characteristics on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Outcomes)

  • 박철훈;이신복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247-259
    • /
    • 2020
  • 최근에는 교육 훈련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시기이다. 그러나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따른 코딩이나 관련 교육들이 실제적으로 어떻게 적용되고, 활용되고 있는 지에 대한 의문 또는 실제 기업과의 연관성에 대한 부분들에 문제점은 사회 현실적인 문제에 봉착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육 훈련특성들을 세분화시켜 개개인의 특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교육 결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 보고자 한다. 그 결과 SW 교육 과정과 SW 교육 교수는 개인 특성 중 전공역량과 학습성과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SW 교육환경은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 특성은 교육 결과에 만족에는 모두 정(+)의 영향을 불만족에는 모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SW 교육 과정과 SW 교육 교수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는 결과이며, SW 교육환경에 대한 부분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하게 하는 결과로 보여진다.

국내 AI 교육 프로그램 연구동향 분석: 주제범위 문헌고찰 방법론을 적용하여 (Domestic Research Trend of AI Education Program: A Scoping Review)

  • 한정윤;허선영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5권6호
    • /
    • pp.879-890
    • /
    • 2021
  • 미래 사회에는 AI와 인간이 공존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는 가운데, 소양 교육의 성격으로 AI 교육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국내에서 이루어진 AI 교육 프로그램 연구동향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연구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주제범위 문헌고찰 방법을 적용하여, 2017년부터 2020년까지 국내에서 이루어진 AI 교육 프로그램 문헌 29개를 발행연도, 교육대상, 학습내용, 학습결과, 실습환경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국내 AI 교육 프로그램 연구는 2020년에 급증하였으며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교육 프로그램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AI 원리에 대한 교육내용을 주로 다루고 있으며, 인지와 정의적 측면의 학습결과를 측정한 연구의 비율이 높고, 블록코딩을 비롯한 다양한 실습환경이 비교적 골고루 사용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추후 연구의 방향성을 논의하고 제안하였다.

기초 프로그래밍 과목에서의 ChatGPT의 코딩 역량 분석 (Analysis of ChatGPT's Coding Capabilities in Foundational Programming Courses)

  • 나재호
    • 공학교육연구
    • /
    • 제26권6호
    • /
    • pp.71-78
    • /
    • 2023
  • ChatGPT significantly broadens the applic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services across various domains, with one of its primary functions being assistance in programming and coding. Nevertheless, due to the short history of ChatGPT, there have been few studies analyzing its coding capabilities in Korean higher education. In this paper, we evaluate it using exam questions from three foundational programming courses at S University.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results, ChatGPT successfully generated Python, C, and JAVA programs, and the code quality is on par with that of high-achieving students. The powerful coding capabilities of ChatGPT imply the need for a strict prohibition of its usage in coding tests; however, it also suggests significant potential for enhancing practical exercises in the educational aspect.

디자인 사고 기반 실생활 문제 해결을 위한 수업 설계 및 효과성 연구 (A Study on Instructional Design and Effectiveness for Solving Real Life Problems based on Design Thinking)

  • 박보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1호
    • /
    • pp.471-478
    • /
    • 2023
  • 4차 산업혁명 시대가 도래함으로써, 교육환경이 변화되고 있으며, 이를 대비하기 위한 교수 학습 연구는 필수적이다. 예비 교원의 창의적 교육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교원양성대학의 교육과정과 교수 학습 모델의 개선은 매우 중요하다. 미래의 교육은 의사소통과 협업을 기반으로 발현되는 창의적 사고 함양을 위한 교육이 되어야 한다[1]. 본 연구에서는 미래형 교수 학습 모델을 개선하여 실제 수업에 적용하였다. 또한 우리는 미래 창의교원 역량에 대한 사전 및 사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설문조사는 공통 만족도 문항과 미래 창의교원 역량에 대한 질문으로 구성되며, 분석결과 사전 평가에 비해 사후 평가에서 미래 창의교원 역량이 증가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Development of Python Education Program with Computational Thinking

  • Lee, Min-Ky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11호
    • /
    • pp.315-323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비전공자 및 프로그래밍 초보자들을 위한 컴퓨팅 사고력을 적용한 파이썬 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본 논문은 어려운 문법 위주, 암기 위주의 프로그래밍 교육에서 벗어나 프로그램 논리의 기본기에 충실하고 컴퓨팅 사고력의 문제 해결 절차를 적용하여 비전공자 및 프로그래밍 초보자들도 쉽게 프로그래밍 학습을 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하며, 텍스트 코딩 경험이 적은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8주간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였고 사후 만족도 설문 조사를 통해 프로그래밍에 대한 자신감이 높아졌으며 일상생활이나 다른 교과목에도 컴퓨팅 사고력을 적용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프로그래밍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지만 여전히 프로그래밍 학습에 어려움을 느끼는 학습자들을 위해 향후 비전공자 및 프로그래밍 초보자들을 위한 프로그램 교육을 구성할 때 유용한 교육 프로그램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코딩 교육을 위한 챗봇 모델 구현 (Implementation of Chatbot Models for Coding Education)

  • 안채은;전현인;한희일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1호
    • /
    • pp.29-35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챗봇 시스템을 활용하여 코딩 교육용 챗봇 학습 모델인 SW-EDU 봇을 제안한다. 대표적인 챗봇 빌더인 Dialogflow와 Kakao i Open Builer 기반으로 동일한 시나리오 기반 모델을 제작한 다음, 목적에 더 적합한 빌더를 선정하여 SW-EDU 봇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구현된 챗봇 시스템은 학습 유형 선택, 개념 학습, 난이도 별 문제풀이 등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자기 주도성을 고취하면서 효과적인 학습 방법 습득을 목표로 한다. 챗봇 빌더의 사용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5개 지표를 선정하고, 이에 근거하여 비교 우위의 빌더를 선택한 다음 이를 기반으로 SW-EDU 봇을 구현한다. 사용성 평가를 통하여 SW-EDU 봇의 학습 지원 도구로서의 타당성을 분석하고 새로운 SW 교육 학습 매체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한다.

R을 활용한 정보교육관련 논문 분석 (Analysis of Information Education Related Theses Using R Program)

  • 박선주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57-66
    • /
    • 2017
  • 최근 빅데이터 분석과 함께 사회연결망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연결망분석을 이용한 연구가 사회과학 영역뿐 아니라 자연과학 영역 등 여러 분야에서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정보교육 관련 석 박사 학위논문을 수집하여 텍스트분석과 사회연결망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모든 기간에서 출현빈도수가 높게 나오거나 지속적으로 나오는 단어가 있었으며, 기간별로 출현빈도가 갑자기 높아진 단어들도 있었다. 또한, 출현빈도수가 큰 단어가 대체적으로 매개중심성도 컸으며, 기간별 연구흐름의 특징이 있음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IT 기술발전과 초 중 고등학교 정보교육과정 변화에 민감하게 정보교육 석 박사학위 논문 주제가 변화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기간4에서 출현빈도가 높아진 스마트, 모바일, 스마트폰, SNS, 어플리케이션, 스토리텔링, 다문화, STEAM과 관련된 연구가 지속될 것으로 예측하며, 로봇, 프로그래밍, 코딩, 알고리즘, 창의성, 상호작용, 개인정보보호와 관련된 주제도 꾸준히 연구될 것으로 예측된다.

컴퓨터 비전공 대학생의 프로그래밍 지식에 대한 필요성 재조명 (Revisiting to the necessity of programming Knowledge for Non-Computer Major Undergraduates)

  • 정혜욱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1호
    • /
    • pp.185-190
    • /
    • 2020
  • 컴퓨터 비전공 대학생의 프로그래밍 교육은 학습자들의 문제해결 및 코딩 능력을 키워 전공분야에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게 하고, 지속적으로 컴퓨터 또는 프로그래밍과 연관된 학습을 할 수 있게 동기를 부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러나 컴퓨터 비전공 학습자들은 본인이 전공하고 있는 분야에서 프로그래밍 지식의 필요성과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활용방안을 모색하기 어려워한다. 따라서 교수자는 실제 컴퓨터 비전공자가 할 수 있는 역할에 대한 설명을 학생들에게 충분히 해줄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인문 사회 예체능 분야와 ICT 기술의 융합 사례를 살펴보고 개발자와의 원활한 협업을 위한 도메인 전문가의 역할을 분석함으로써 컴퓨터 비전공자의 프로그래밍 지식에 대한 필요성을 재조명하고, 컴퓨터 비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래밍 학습지도 방향에 대해 제언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