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SFET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31초

A proposal of new electronics device;micro-total analysis system for capillary electrophoresis

  • Oshige, Seisho;Aoyama, T.;Kambe, J.;Nagashima, U.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4년도 ICCAS
    • /
    • pp.579-581
    • /
    • 2004
  • We wish to develop micro-total analysis system (TAS) on a chip, and to make a trial approach to solve the important problem that is to detect ions separated by the electric field. We propose an idea, which is as for rotational motions of dipolar ions, which are affected by the ion atmosphere in outer regions. This is a new kind of the ion-sensitive field effect transistor (ISFET). We wish to develop the ISFET chips, and give more effective, fast and sensitive, capillary electrophoresis is designed in near future.

  • PDF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다중채널 FET형 전해질 센서의 신호처리 (Signal processing of multichannel FET type electrolyte sensors using neural network)

  • 이정민;이창수;손병기;이은석;이흥락
    • 전자공학회논문지S
    • /
    • 제34S권11호
    • /
    • pp.148-155
    • /
    • 1997
  • Ths signal processing technqiue of FET type electrolyte sensors using the back propagation neural network was studied to reduce the interference effects of the different electrolytes. The FET-type electrolyte sensors, pH-ISFET, K-ISFET, and Ca-ISFET, were prepared to measure the pH, K, and Ca electrolytes. Neural network consisted of three layers was learned with 8 patterns and 9 patterns. The sensor output obtained with arbitrary concentrations was processed by the learned neural network. The errors obtained from calibration curve for pH, K, and Ca were .+-.0.039 pH, .+-.2.508 mmol/l, and .+-.1.807 mmol/l, respectively, without considering the interference effects. The errors of the network output for pH, K, and Ca were reduced to .+-.0.005 pH, .+-.0.436 mmol/l, and .+-.0.381 mmol/l in case of 9 patterns, respectively. the signal processing using the neural network can reduce the errors ofthe electrolyte sensor outputs caused by the interference effect, thereby providing effectiveness in the improvement of the sensor selectivity.

  • PDF

감이온 전양효과 트랜지스트 (Ion Sensitive Field Effect Transistor)

  • 손병기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22-29
    • /
    • 1981
  • 게이트절연층을 위한 HCI 열처리법 텅그스텐 metallization 및 fumed silica epoxy를 쓴 다중층 encapsulation 기술을 감이온 전장효과 트랜지스터(ISFET) 제조에 활용하고 이의 동작특성을 조사하였다. 또 ISFET를 위한 이론적 모형을 제시하고 이 것이 실험사실과 잘 일치함을 보였다. 제조된 ISFET는 빠른 반응, 긴 수명 및 작은 이압특성을 나타내었는데, 특히 안정부는 크게 개선되었다.

  • PDF

ISFET 및 pt 기준전극과 차동증폭법을 이용한 요소감지소자 개발 (Development of urea sensor using the ISFET and Platinum reference electrode and by employing the differential amplification)

  • 김성진;권대혁;이종현;손병기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88년도 전기.전자공학 학술대회 논문집
    • /
    • pp.356-359
    • /
    • 1988
  • An FET type urea sensing device has been developed using the ISFET and platinum reference electrode and by employing the differential amplification.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the fabricated sensor show a good linearity in the urea concentration range of $5{\times}10^{-5}$ to $10^{-3}$g/ml and a stable response.

  • PDF

ISFET Glucose Sensor with Palladium Hydrogen Selective Membrane

  • Chung, Mi-Kyung;Kim, Seong-Wan;Lee, Sang-Sik;Park, Chong-Ook
    • 센서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90-95
    • /
    • 2012
  • This paper describes the development of a glucose biosensor based on ion sensitive field effect transistor(ISFET) with a palladium(Pd) modified ion sensing membrane. By adopting Pd as a hydrogen sensitive layer and integrating a screen-printed reference electrode, the sensitivity and stability were considerably improved due to the high permeability and selectivity of the Pd hydrogen selective membrane. This paper suggests a new approach for realizing portable and highly sensitive glucose sensors for diagnosing and treating diabetes mellitus.

알츠하이머 진단을 위한 당성분에 민감한 초파리 세포기반 ISFET센서개발 (Development of Sugar Sensitive Drosophila Cell based ISFET Sensor for Alzheimer's Disease Diagnosis)

  • 임정옥;유준부;권재영;변형기;허증수;조원주
    • 센서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81-285
    • /
    • 2013
  • In this study a biosensor was developed by using Drosophila cells expressing a gustatory receptor Gr5a and an ion sensitive field effect transistors (ISFETs) sensor device, which demonstrated significant compatibility with the Drosophila cells expressing Gr5a and their response to sugar.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newly developed cell based biosensor has a potential as a simple and easy screening device for Alzheimer's disease in the future.

산소분자의 전기분해법을 도입한 ISFET 포도당센서의 회복특성 개선 (An Improvement of Recovery Characteristics of ISFET Glucose Sensor by Employing Oxygen Electrolysis)

  • 박근용;최상복;이영철;이민호;손병기
    • 센서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03-207
    • /
    • 2000
  • ISFET 포도당센서는 전류법적인 엑츄에이션(amperometric actuation)기법을 도입하여 감도 향상에 큰 이점을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측정법은 측정 후, 감지막 내부와 외부사이에 화학적 평형상태를 유지하려는 수소이온의 이동 때문에 초기 출력 값을 회복하는 데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회복시간 지연문제는 센서의 실용화 장애 요인 중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백금작업전극에 환원전위를 인가하여 수산화($OH^-$)이온을 인위적으로 발생시킴으로써 감지막 내의 수소이온 농도를 조절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으로 실험한 결과, 기존에 수십 분 소요되었던 회복시간을 2분 이내로 단축하였다.

  • PDF

고분자 이중층의 이온 방해막을 이용한 FET형 기준전극 제작 (The Fabrication of FET-Type Reference Electrode Using Ion-Blocking Membrane of Polymer Double Layer)

  • 이영철;김영진;정훈;권대혁;손병기
    • 센서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06-112
    • /
    • 2000
  • REFET(reference electrode field-effect transistor)의 사용은 기준전각의 집적화 및 FET형 전해질 센서가 가지고 있는 온도와 빛의 의존성, 드리프트와 같은 전형적인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그러나 언급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신뢰성 높은 REFET의 제작은 매우 어렵고 까다롭다. 본 논문에서는 고분자 이중층을 이용한 이온 방해막을 형성하여 고신뢰성의 REFET를 제작하여 FET형 전해질 센서에 적용하였다. 제작된 REFET를 pH, pNa-ISFET에 적용하여 측정한 결과, 정상적인 감도(55.4mV/pH, 53.5mV/decade)와 안정도를 보였으며, 드리프트 감소도 향상되었다.

  • PDF

백금전극과 감광성 고분자를 이용한 ISFET 포도당 및 자당센서의 감지성능 개선 (The Improvement of Sensing Performance of ISFET Glucose and Sucrose Sensors by Using Platinum Electrode and Photo-crosslinkable Polymers)

  • 조병욱;장원덕;김창수;박이순;손병기
    • 센서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23-28
    • /
    • 1995
  • 백금작업전극과 광가교화된 효소고정화막을 가진 ISFET 포도당 및 자당센서가 제조되었다. 효소반응의 부산물인 과산화수소수($H_{2}O_{2}$)는 백금전극표면에서 분해되어 센서의 감지특성을 개선시키고, 광가교화 고분자(PVA-SbQ)가 효소고정화막으로 이용되어 센서의 응답시간을 단축하였다. 그리고 백금전극의 면적변화에 따라 센서의 응답크기는 증가하였다. 센서의 응답시간은 $3{\sim}5$분이었으며, $30{\sim}300mg/dl$의 포도당 및 자당농도에서 센서의 선형적인 응답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