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Improvement of Recovery Characteristics of ISFET Glucose Sensor by Employing Oxygen Electrolysis

산소분자의 전기분해법을 도입한 ISFET 포도당센서의 회복특성 개선

  • Park, Keun-Yong (School of Electronic and Electrical Eng., Kyungpook National Univ.) ;
  • Choi, Sang-Bok (Dept. of Sensor Eng., Kyungpook National Univ.) ;
  • Lee, Young-Chul (School of Electronic and Electrical Eng., Kyungpook National Univ.) ;
  • Lee, Min-Ho (Dept. of Sensor Eng., Kyungpook National Univ.) ;
  • Sohn, Byung-Ki (School of Electronic and Electrical Eng., Kyungpook National Univ.)
  • 박근용 (경북대학교 전자전기공학부) ;
  • 최상복 (경북대학교 센서공학과) ;
  • 이영철 (경북대학교 전자전기공학부) ;
  • 이민호 (경북대학교 센서공학과) ;
  • 손병기 (경북대학교 전자전기공학부)
  • Published : 2000.05.31

Abstract

The sensitivity of ISFET glucose sensor is improved by employing amperometric actuation method. However, this method takes long time to recover the primary output voltage after measurement because of slow migration of the hydrogen ion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sensing membranes. Consequently, such a recovery-time delaying problem is one of obstacles to a practical use. In this paper, a new method is proposed to control the concentration of hydrogen ion in internal membrane, which applies a reduction potential to the working electrode for supplying hydroxide ion.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recovery-time was reduced within 2 minute against decades minute of conventional method.

ISFET 포도당센서는 전류법적인 엑츄에이션(amperometric actuation)기법을 도입하여 감도 향상에 큰 이점을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측정법은 측정 후, 감지막 내부와 외부사이에 화학적 평형상태를 유지하려는 수소이온의 이동 때문에 초기 출력 값을 회복하는 데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회복시간 지연문제는 센서의 실용화 장애 요인 중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백금작업전극에 환원전위를 인가하여 수산화($OH^-$)이온을 인위적으로 발생시킴으로써 감지막 내의 수소이온 농도를 조절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으로 실험한 결과, 기존에 수십 분 소요되었던 회복시간을 2분 이내로 단축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