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S Core Competency

검색결과 403건 처리시간 0.026초

방사선사 핵심 직무역량 모델의 적합성 및 타당성 검증 (A Goodness of Fit and Validity Study of the Korean Radiological Technologists' Core Job Com petency Model)

  • 임창선;조아라;허예라;최성열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0권3호
    • /
    • pp.469-484
    • /
    • 2017
  • 방사선사는 사람의 생명을 대상으로 하므로 전문적인 직무역량(job competency)이 요구된다. 그럼에도 현재 한국에서는 방사선사의 직무역량을 밝히고 있는 연구가 이루어진 바 없다. 이에 한국 방사선사의 핵심 직무역량 지표를 정의하고 역량군별 요인모델을 제시하고자 방사선사 직무역량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여 최종 147명의 응답내용을 취합하였다. 응답 내용은 PASW Statistics Version 18.0와 AMOS Version 18.0을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전문직업성', '환자관리', '건강 및 안전', '장비의 운영', '절차와 관리'의 5개 핵심 직무역량군과 17개의 하위 역량으로 구성된 모델을 구성하였다. 5개 핵심 직무역량군의 측정 모델 RMSEA 값은 0.1, CFI와 TLI 값이 0.9에 근사하게 나타나 양호한 적합도를 보였으며, 타당도 분석 결과 평균분산추출 값 0.5이상, 개념신뢰도 값 0.7이상으로 각 하위 역량에 포함된 세부 항목 간에 상관관계도 높게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한국의 의료 환경에서 방사선사에게 요구되는 직무역량을 명확히 제시하여 역량 중심의 인적 자원 양성과 관리에 필요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채용에서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취업준비생의 인식 분석 (An Educational Needs Analysis for Job Applicants Relating to the Core Competency Used i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Based) Recruitment)

  • 김혜영;백송이;윤재희;박인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133-144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채용 환경에서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취업준비생의 인식 차이를 분석하고, 진로 및 취업교육 설계를 위한 정보를 얻는 것이다. 연구 수행을 위해 전문대, 4년제 대학의 취업준비생 35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직업기초능력의 영역별 중요도와 현재 수준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또 IPA분석을 활용하여 교육 요구도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직업기초능력 10개 영역 모두 중요도와 현재 수준 사이의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IPA분석 결과, 두 집단에서 공통적으로 강화해야 하는 영역은 대인관계능력, 의사소통능력, 수리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개발능력으로 나타났으며, 현재 과잉상태로 인식되는 영역은 자원관리능력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별 요구도를 확인한 결과, 전문대 취업준비생은 문제해결능력을, 4년제 대학 취업준비생은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능력, 정보능력을 집중적으로 강화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에 관한 데이터 활용 e-PBL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생명과학 동아리 학생의 과학과 핵심역량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e-PBL Program Using COVID-19 Related Data on Science Core Competence of High School Students in Biology Clubs)

  • 신길우;차희영;박지수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583-594
    • /
    • 2023
  • 본 연구는 코로나19 관련 데이터를 활용한 고등학생을 위한 e-PBL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된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과학과 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학습자와 e-PBL의 특성을 고려한 e-PBL 프로그램과 과학과 핵심역량 분석틀을 개발하여, 일반고 생명과학동아리 학생 26명에게 적용했다. 질문지를 통한 과학과 핵심역량 검사가 수업 전·후로 실시되었고, 수업 중 담화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틀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개발된 프로그램은 다섯가지 과학과 핵심역량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과학과 핵심역량 설문지 분석 결과에서는 과학적 사고력, 과학적 탐구능력, 과학적 문제해결능력에서만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과 과학적 참여 및 평생학습 능력은 질문지에서는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담화 분석 결과에서는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과 과학적 참여 및 평생 학습 능력은 프로그램 단계를 통해 가장 고르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한 코로나19 관련 데이터를 활용한 고등학생용 e-PBL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과학과 핵심역량 향상에 효과적임을 확인했으므로 과학교육 현장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MIS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실무자들의 인식 조사 연구: 정보시스템 전문가의 핵심 직무역량 중심으로 (Perception of Practitioners for MIS Curriculum, Development: Focused on the IS Professional's Core Competencies)

  • 장윤희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5권2호
    • /
    • pp.219-239
    • /
    • 2003
  • 본 연구는 국내 4년제 대학 MIS 교육과정을 실무자 관점에서 평가하고, IS 인력의 업무내용과 수행비중, 그리고 그에 요구되는 핵심 직무 역량을 현업 부서원들과 IS 전문가 관점에서 비교 분석함으로써 4년제 대학 및 IT 전문기관의 교육 프로그램 방향과 교수법에 관해 논의하고자 하는 것이다. 실무자들의 인식에 따르면 향후 NIS 전공자에게 가장 적합한 직무는 IS 기획 및 전략 수립, 어플리케이션 시스템 개발, IT 컨설팅 등으로 나타났고, IS 전문가에게 요구되는 핵심 직무 기술로는 인간관계 기술군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인식되었으며, 경영활동의 흐름과 프로세스에 대한 이해, 경영기능에 대한 지식, 그리고 최신 IT에 대한 지식과 평가 능력, IT 요소기술군 순으로 나타났다.

Developing a Competency-based Dental Curriculum in Korea

  • Ji, Young-A;Lee, Jaeil;Baek, Seungho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7권8호
    • /
    • pp.437-447
    • /
    • 2019
  • Purpose: In recent years, efforts to improve the dental curriculum in South Korea have focused on a shift to outcome-based dental education based on core competencies in dentistry. So far, the field has seen various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competencies, performance evaluation, and the importance of outcome-based education, but few studies have documented the development of such an education model. Therefore, this study develops an OBE curriculum for dentistry education and describes the development procedures and then finally this study intends to share our experience to other dental schools. Methods: This study introduces the development procedure and details of an outcome-based education model for dental education and presents the five stages of an outcome-based education model. In this study, 3 educational experts and 2 dental professor composed the TFT and developed the research method according to the ADDIE model. Step 1 is to conduct quantitative / qualitative research analysis through some survey and interview, Step 2 is to do a survey to revise competency, Step 3 is to develop a materials through consensus and participation of our professors of the dental school, Step 4 is to do some workshops, Step 5 is to prepare and conduct a outcome evaluation. Results: Step 1 is a required process for developing an educational model: the Job Analysis & Need Analysis stage. Step 2 is the Development of Outcome and Competency stage, which involves revising the competencies that are the basis of the curriculum. Step 3 is developing competency descriptions, competency levels, and evaluation criteria?the Development of Outcomes and Evaluation Standards. Step 4 is the Development of Milestones for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Strategy, which examines the curriculum's problems and analyzes the improvements of each course. Step 5 is the Evaluating Outcomes stage, conducted based on the competencies specified by the target dental school. Conclustion: The model presented here can serve as a foundation for outcome-based education in other dental schools.

  • PDF

역량기반 학습성과 평가 시스템 구현을 위한 데이터 모델링 및 알고리즘 설계 (Data modeling and algorithms design for implementing Competency-based Learning Outcomes Assessment System)

  • 정현숙;김정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335-344
    • /
    • 2021
  • 본 논문의 목적은 교과기반 학습성취평가 시스템 구현을 위한 교과 데이터 모델 및 학습 성취도 산출 알고리즘 개발이다. 현재 대학 교육의 방향인 역량기반 교육을 위해서는 교과기반 학습성취 평가가 필수적이지만 기존 연구들은 교육학적 관점으로서 컴퓨터 시스템 관점의 해결책이 매우 부족하다. 본 논문에서는 코스맵 데이터 구조 분석을 통해 계층 구조의 학습성과 모델, 학습모듈 및 학습활동 모델, 학습성과와 학습활동 연계 매트릭스 모델 및 자동화된 성취도 산출 및 성취수준 평가를 위한 성취도 계산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교과기반 학습성취 평가 시스템을 개발할 수 있으며 시스템 활용을 통해 학습자의 역량 성취를 효과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제안된 모델과 알고리즘의 평가를 위해 실제 운영중인 자바프로그래밍 교과목에 적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교과기반 학습성과 성취평가 시스템 구현의 핵심요소로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향후 연구는 학습성과 성취도 산출을 기반으로 적응형 학습 피드백과 개인화된 학습 추천 알고리즘 개발 및 시스템 구현이다.

직업기초능력의 교육 강화 필요도에 대한 공업계고교 교장의 인식 (A study on the need for the consolidation of education that principals of technical highschool perceive regarding the occupational core competencies)

  • 최완식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21
    • /
    • 2015
  • 이 연구는 공업계고교 교장 선생님이 인식하는 직업기초능력의 핵심역량에 대하여 교육강화 필요도를 알아보고 그 결과를 통하여 공업계고교 교육과정 상의 보다 향상된 직업기초능력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을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연구와 산업체 현장 전문가의 검토를 통하여 자기관리능력, 대인관계능력, 기술활용능력,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농력, 조직이해능력, 정보활용능력, 외국어능력, 수리능력과 같은 9개의 직업기초능력 핵심 역량 요소를 도출하였으며 이들 도구에 대하여 Borich의 공식을 이용하여 교육강화 필요도를 알아보기 위한 설문지 문항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조사도구를 통한 공업계고교 교장 선생님의 응답 결과는 직업기초능력의 핵심 역량에 대한 모든 문항에서 교육적 강화의 필요성이 있다는 인식을 하였다. 하지만 공업계 마이스터고교 교장 선생님의 경우 소속 학생들의 조직이해능력에 대한 교육적 강화 필요성은 비교적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수리능력에 대해서도 다른 직업기초능력에 비하여 상당한 수준의 교육적 강화의 필요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보긴 어려웠다.

대학특성과 전공을 고려한 대학생 핵심역량에 관한 연구: 호텔관광경영전공을 중심으로 (The Study on Essential Competencies for University Students in consideration of University Specialization and Major: Focusing on Hotel and Tourism Management)

  • 정해용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0호
    • /
    • pp.19-32
    • /
    • 2015
  • 본 연구는 대학의 특성을 반영한 전체 대학생 및 호텔관광경영 전공에 요구되는 역량범주를 확인함으로써 역량기반 대학 및 호텔관광경영 전공의 교육과정 프레임워크 재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본 연구는 첫째, 핵심역량에 대한 이론적 실무적 선행연구의 검토에 기반하여 대학생의 핵심역량을 공통역량, 전공역량, 인성역량, 대학특성역량 등 4가지로 설정하고 둘째, 대학생을 대상으로 역량별 중요도와 성취도에 대한 설문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여 본 연구에서 설정한 4가지 역량을 검증하였다. 셋째, 호텔관광경영 계열 진공과 기타 전공간 역량별 차이를 검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본 연구에서 설정한 4가지 역량범주가 타당하게 설정되었으며, 전공계열간 중요도, 역량수준, 교육적 요구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호텔관광계열 전공이 기타 전공들에 비해 공통역량 및 인성역량의 중요도와 공통역량의 현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Perceived Competency, Frequency, Training Needs in Physical Assessment among Registered Nurses

  • Oh, Heeyoung;Lee, Jiyeon;Kim, Eun Kyung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627-634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registered nurses learning needs about physical assessment. Specifically, what are the perceived competency, frequency of skill use and the unmet training needs. Methods: The study was an exploratory survey study. The sample was 104 registered nurse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ree instruments: The Perceived Competency in Physical Assessment Scale, the Frequency of Physical Assessment Scale, and the Training Needs of Physical Assessment Scale which incorporated 30 core Physical Assessment skill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Auscultation of heart and lung sounds and inspection of the spine were rated by the subjects as physical assessment skills they feel least competent and also were less frequently performed. The most competent area for physical assessment was neurological system. The respiratory and abdominal system was identified as two systems that more education would be needed. Nurses with less than one year of working experience reported needing more training. Nurses with more than five years of clinical work experience performed physical assessment more frequently than nurses with less than five year of work experience. The perceived competency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frequency of physical assessment. Conclusion: Continuing education is necessary to further train registered nurses regarding physical assessment skills and the program needs to be focused on the area which nurses are less competent for and have high training need.

Education satisfaction and self-assessment of competency among new general dentists in Korea

  • Ji, Young-A;Kwon, Ho-Beom;Kim, Ryan JinYoung;Baek, Seungho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7권9호
    • /
    • pp.504-513
    • /
    • 2019
  • Dental education is gradually transitioning to competency-based education system, which aims to help dentists achieve certain core competencies by means of various systems, such as curriculum accreditation. This study examined satisfaction with dental school education and the differences in the perceived importance and self-assessment of competencies among general dentists, in an attempt to propose a desirable direction for dental education.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new general dentists who graduated from a dental school within the past 10 years.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analyzed using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to understand differences in dentists' perceptions. Overall satisfaction with education was low in terms of the curriculum's relevance to actual practice and its capacity for cultivating required competencies. Furthermore, many of the respondents strongly perceived the need to improve dental education. Additional investigations into the satisfaction with education showed no difference. Among the seven key competency domains, dentists perceived Health Promotion to be important and also assessed themselves as having high competence. However, regarding the perceived importance of the remaining domains, self-assessment of competence was low for Professionalism, Communication & Interpersonal Skills, Knowledge Base, Information Handling & Critical Thinking, Clinical Information Gathering, Diagnosis & Treatment Planning, and Establishment & Maintenance of Oral Health.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 competency-based education model should be developed and incorporated into dental education to set performance standards and to promote systematic self-assessment in order to foster the development of competence in dental stude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