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need for the consolidation of education that principals of technical highschool perceive regarding the occupational core competencies

직업기초능력의 교육 강화 필요도에 대한 공업계고교 교장의 인식

  • Received : 2015.08.10
  • Accepted : 2015.09.25
  • Published : 2015.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e line data to the educational settings so that more improved occupational core competencies could be taught under the formal curriculum of the technical highschool than before through the inquiry into 'the need for the consolidation of education that principals of technical highschool perceive'. Initial occupational key competencies had been prepared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on the occupational core competencies and the review on the key competencies by the experts in the field of technical industry had been performe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survey instrument consisting of final 9 occupational key competencies had been developed with the careful consideration for the calculation of the need for the consolidation of education using the Borich's model. The results show that principals for the technical highschool perceive the strong need for the educational consolidation regarding the all 9 occupational core competencies in the whole. However, for the specific key competency of understanding the organization and the mathematical competency, the principals of the technical meister highschool perceive somewhat differently from the principals of the specialized technical highschool. The principals in the meister highschool perceive not much need for the consolidation of education regarding the competency of understanding the organization and the mathematical competency.

이 연구는 공업계고교 교장 선생님이 인식하는 직업기초능력의 핵심역량에 대하여 교육강화 필요도를 알아보고 그 결과를 통하여 공업계고교 교육과정 상의 보다 향상된 직업기초능력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을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연구와 산업체 현장 전문가의 검토를 통하여 자기관리능력, 대인관계능력, 기술활용능력,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농력, 조직이해능력, 정보활용능력, 외국어능력, 수리능력과 같은 9개의 직업기초능력 핵심 역량 요소를 도출하였으며 이들 도구에 대하여 Borich의 공식을 이용하여 교육강화 필요도를 알아보기 위한 설문지 문항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조사도구를 통한 공업계고교 교장 선생님의 응답 결과는 직업기초능력의 핵심 역량에 대한 모든 문항에서 교육적 강화의 필요성이 있다는 인식을 하였다. 하지만 공업계 마이스터고교 교장 선생님의 경우 소속 학생들의 조직이해능력에 대한 교육적 강화 필요성은 비교적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수리능력에 대해서도 다른 직업기초능력에 비하여 상당한 수준의 교육적 강화의 필요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보긴 어려웠다.

Keywords

References

  1. 나승일 외(2003). 기초직업능력 영역 설정 및 표준 개발. 한국산업인력공단.
  2. 박동열 외(2008). 전문계 고등학생의 직업기초능력진단 도구 개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3. 박주호 외(2013). 한국폴리텍대학 졸업생의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산업체의 교육 요구도 분석, 직업교육연구. 32(1), 83-105.
  4. 서정화(2003). 교장론. 서울 : 한국교육행정학회.
  5. 이동임․외(2000). 직업능력인증제 운영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6. 이종범 외(2008). 직업기초능력 수준별 성취기준 개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7. 정철영 외(1998). 직업기초능력에 관한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 분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8. 정철영 외(2000). 초․중등학교에서의 직업기초능력강화방안. 직업교육연구, 19(2), 1-22.
  9. 조정윤 외(2004).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사업(2003)(IV)-국가직무능력표준의 직업기초능력 운영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0. 주삼환(2007). 교육행정사례 연구. 서울: 학지사.
  11. 주인중 외(2010). 직업기초능력 영역 및 성취기준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2. Borich G(1980) A needs assessment model for conducting follow-up studies. J. Teach. Educ. 31(1): 39-42.
  13. DuFour, R. & R. Eaker(1998).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at Work: Best Practices for Enhancing Student Achievement. Bloomington: National Educational Service.
  14. Hossein, A. et. al.(2012). Training needs assessment of fish farmers in Dalaho Township in Kermansha Province. International Journal of Agriculture: Research and Review. Vol., 2(S): 991-997.
  15. Hughes, R. L., R. C. Ginnett, & G. J. Curphy(2006). Leadership: Enhancing the Lessons of Experience, 5th edition. New York: McGraw Hill.
  16. Lunenburg, F. C., & Irby, B. J.(2006). The Principalship: Vision to Action. Belmont, CA: Thomson Wadswor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