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S Core Competency

검색결과 403건 처리시간 0.033초

이공계열 대학원생 핵심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A연구중심대학 사례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Core Competency Scale For Graduate Students in the Field of Science and Engineering)

  • 배상훈;조은원;한송이;정유지;김경언
    • 공학교육연구
    • /
    • 제27권2호
    • /
    • pp.35-50
    • /
    • 202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ore competencies of graduate students at A research university in the context of graduate education in science and engineering, and to develop and validate a diagnostic tool to measure them.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first, 6 factors and 18 sub-competencies of core competencies were derived based on a review of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cases of excellent research-centered overseas universities, and interviews with members of A University. Second, a theoretical model was constructed by deriving behavioral indicators based on the core competencies and sub-competencies, and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on 188 graduate students of University A to verify the statistical validity of the theoretical model. Results of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core competencies of graduate students at A research university consisted of 6 factors, 16 sub-competencies, and 77 items. Specifically, it included "Independent research capability(13 items)", "Social Entrepreneurship(10 items)", "Academic agility(15 items)", "Ingenious Challenges(15 items)", "Collegial Collaboration(9 items)", and "Mueunjae leadership(15 item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theories related to core competencies of graduate students in science and engineering, and has practical significance as a basis for a data-driven competency-based graduate education system.

A Study on the Global Competitiveness and Way of Coexistence of Korean ICT Industries

  • Chang, Young-Hyu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4권2호
    • /
    • pp.124-130
    • /
    • 2015
  • Infinite competition on ICT industries is starting again. The basis of competence over global dominance will be human resource, a global ecosystem for products and national agenda for science and technology, etc.. This paper presents the six solution for the Global Competitiveness and Coexistence of Korean ICT Industries. Korea should nurture the brand of "World Best Korean ICT Forever" to secure technical competency of ICT related fields in global market. All ICT technologies should be aligned to global standard and market demand from beginning and the ecosystem around product needs to be established. System framework for utilizing the resource of core SW experts must be established. Through global partnership with China as manufacturing base for Korea-developed products, technical competency can be maintained including product planning. Security measure for technical assets is mandatory. Finally, core technology that will drive the future of ICT industries in Korea should be regarded as core subjects.

Strategic Model Design based on Core Competencies for Innovation in Engineering Education

  • Seung-Woo LEE;Sangwon LEE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2권3호
    • /
    • pp.141-148
    • /
    • 2023
  • As the direction of education in the fourth industry in the 21st century, convergence talent education that emphasizes the connection and convergence between core competency-based education and academia is emerging to foster creative talen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the criteria for evaluating the competency of learning outcomes in order to develop a strategic model for innovation in engineering teaching-learning. In this paper, as a study to establish the direction of implementation of convergence talent education, a creative innovation teaching method support system was established to improve the quality of convergence talent education. Firstly, a plan to develop a teaching-learning model based on computing thinking. Secondly, it presented the development of a teaching-learning model based on linkage and convergence learning. Thirdly, we would like to present educational appropriateness and ease based on convergence learning in connection with curriculum improvement strategies based on computing thinking skills. Finally, we would like to present a strategic model development plan for innovation in engineering teaching-learning that applies the convergence talent education program.

퍼지이론을 이용한 항공기 정비사 핵심역량 구조 및 업무분석 (Structural and Job Analysis for Core Competency of Aircraft Maintenance Crew Using Fuzzy Theory)

  • 최쌍용;황승국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5권6호
    • /
    • pp.607-614
    • /
    • 2015
  • 본 논문은 항공기 정비사의 핵심역량 16개에 대하여 정비능력향상을 목적으로 FSM을 이용하여 구조분석을 실시하여 최상층 3개, 중간층 3개, 하위층 10개로 분류되는 계층별 구조를 핵심역량간의 연결상태와 중요도를 파악하였다. 또한 항공기 정비사의 핵심역량은 업무를 통해서 정비품질 및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는 관점에서 핵심역량과 업무를 퍼지관계를 이용하여 100명의 항공기 정비사의 설문을 통하여 퍼지관계행렬을 구하여 업무를 평가하는 기준으로 사용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모델링데이터 100개와 체킹데이터 67개를 사용하여 모델의 유효성을 보였다.

카드소팅을 활용한 디지털 신기술 과정 핵심역량 군집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lustering of Core Competencies to Deploy in and Develop Courseworks for New Digital Technology)

  • 이지운;이호;권정흠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565-572
    • /
    • 2022
  • 카드소팅(Card sorting)은 항목 간의 관계에 대한 사용자의 인식을 이해하는 데 유용한 데이터 수집 방법으로서, 일반적으로 카드소팅은 사용자 조사 및 평가에 매우 유용한 직관적이고 비용 효율적인 기술이다. 본 연구에서는 각 분야 직업별 핵심역량들은 코스 개발을 위하여 다음 단계인 카드소팅 단계에서 활용되는 역량카드로 사용하고, 결과를 군집화 하기 위해 K-평균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군집화 결과를 도출하였다. 카드소팅 결과 각 분야 직업별 핵심역량들에 대한 역량 군집화는 Participant-Centric Analysis (PCA)를 바탕으로 검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역량에 따른 직업별 코스 및 역량 분류 결과와 클러스터링에 의한 카드 유사성 정도는 각 직업별 핵심 역량 카드수에 대해 소팅 참여자 수 대비 군집화에 적합하게 동의한 참여자의 수와 카드 유사성 정도를 도출하였다.

Competencies for Entry into the Profession of Dental Hygiene

  • Bae, Soo-Myoung;Chung, Won-Gyun;Jang, Jong-Hwa;Mun, So-Jung;Shin, Bo-Mi;Shin, Sun-Jung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93-201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rive core and detailed competencies of dental hygienists to be utilized as educational targets to be reached by graduation as well as basic data that can be reflected in the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dental hygiene curricula. This study analyzed publication reports from the Korean Dental Hygienists Association, the International Federation of Dental Hygienists, the Commission on Dental Accreditation, and the American Dental Education Association. Based on the academic classification system for dental hygiene studies, the components of core and detailed competencies of dental hygiene school at the time of graduation were extracted and developed through expert panel discussions. This study defined competencies at the graduation level of dental hygiene school and derived eight core competencies and their 52 detailed competencies to serve as educational objectives from four areas: professionalism, communication, clinical practice, and community and health promotion.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conduct self-assessments of competencies based on those developed in this study, at time of the graduation from dental hygiene school, as well as to continuously develop competency-based curricula according to entry level, knowledge level, and graduation level. Thus, it is urgently necessary to develop a system that can evaluate the competencies of dental hygienists after graduation and put this system into practical use.

온라인 콘텐츠를 활용한 미술관 교육 프로그램 사례 분석 -젠킨스의 뉴미디어리터러시로- (Case analysis of educational program of museum using online contents -Focusing on Jenkin's new media literacy-)

  • 백근아;허윤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125-134
    • /
    • 2020
  • 본 연구는 온라인 콘텐츠를 활용한 미술관 교육 프로그램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온라인 미술관 교육 사례들을 젠킨스의 뉴미디어리터러시 핵심 역량을 토대로 분석하였다. 젠킨스가 제시한 체계적인 미디어 교육의 핵심 역량은 미디어를 활용하여 콘텐츠를 개발해야하는 온라인 미술관의 향후 방향성에 대한 기준점이 될 수 있다. 사례 분석을 위해 국내 미술관으로는 국립현대미술관, 국립중앙박물관, 사비나 미술관, 보름산미술관을 선택했고 국외 미술관으로는 클리블랜드미술관, 메트로폴리탄미술관, 게티미술관, 테이트모던미술관을 선택했다. 젠킨스의 뉴미디어리터러시 핵심 역량에 따라 분석한 결과로 국외 미술관의 경우에는 화상회의, 사이트 페이지 하단의 댓글 달기 등 상호 소통을 위한 콘텐츠를 구성하고 있었지만 국내 온라인 미술관은 이러한 요소가 부족하였기 때문에 커뮤니케이션 콘텐츠를 구성하여 전용, 네트워킹, 협상력, 분산된 인지, 집단지성의 역량을 향상시켜야 할 필요가 있었다.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과학 교과 역량에 대한 인식 (Eighth Grade Students' Perception of the Science Core Competencies)

  • 김갑영;김재현;장낙한;김현정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4권2호
    • /
    • pp.157-166
    • /
    • 2020
  • 이 연구에서는 중학교 2학년 과학 교과서에서 제시하고 있는 과학 교과 역량의 반영 정도와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과학 교과 역량에 대한 인식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중학교 2학년 과학 교과서에서 명시적으로 과학 교과 역량을 제시한 빈도를 분석하였으며, 충남 지역의 3개 학교 400명을 대상으로 과학 교과 역량에 대한 인식을 설문 조사를 통해 알아보았다. 설문 조사는 5단계 리커트 척도로 구성된 15개 문항과 5개의 자율 서열형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설문은 성실하게 응답한 327명의 응답을 분석하였으며, 설문 결과의 해석을 위하여 사후 면담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2학년 과학 교과서에서는 과학 교과 역량 중 '과학적 사고력', '과학적 탐구 능력',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의 비중이 크며, 학생들은 교과서에 '과학적 사고력', '과학적 탐구 능력', '과학적 문제 해결력'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학생들은 학교에서 이루어 지는 평가에서 '과학적 탐구 능력'과 '과학적 문제 해결력'의 비중이 높고,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과 '과학적 참여와 평생 학습 능력'의 비중이 매우 낮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학생들이 인식하는 과학에서 가장 중요한 교과 역량은 '과학적 문제 해결력'이고, 과학에서 가장 얻고 싶은 역량은 '과학적 탐구 능력'이었으며, 미래사회를 살아가는 데 가장 필요한 역량은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으로 나타났다. 넷째, '과학적 참여와 평생 학습 능력'의 경우 과학 소양의 중요한 요소이나 과학 교과서를 구성하는 비율이 낮고 학생들도 과학에서의 중요성이나 필요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었다.

작업치료사의 직업기초능력 우선순위 조사연구 (Survey Study about the Priority of Vocational Core Competence for the Occupational Therapist)

  • 박아름;손성민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208-216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작업치료사의 직업기초능력 우선순위를 조사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작업치료사 138명과 작업치료과 재학생 95명이다. 대상자들에게 직업기초능력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작업기초능력에 대한 요소들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작업치료사와 재학생 두 집단 모두에서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필요성을 느낀다고 나타났으며,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능력, 문제해결능력을 중요하다고 나타났고, 자신 또한 소유하고 있다고 나타났다. 하지만, 작업치료과 재학생 집단에서 기술능력을 중요하게 생각한다고 나타났지만 가장 소유하고 있지 않다고 나타났다. 이에 따라서, 작업치료사로써 실제 직무수행에 필요한 다양한 기술에 관한 지식과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교육과정을 고려해봐야 할 것이다.

핵심간호능력 중심 간호학실습교육목표 개발 (Development of Objectives in Nursing Clinical Education based on the Nursing Core Competencies)

  • 김미원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389-402
    • /
    • 200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t up a Nursing Core Competencies required for staff nurses and to set up Objectives for Nursing Clinical Education based on the Nursing Core Competencies. The objectives in this study are to be achieved ultimately through clinical practice because it is a common avenue of work and the basic objective regardless of the education system and curriculum. Method: A nursing Core Competencies were established by literature review and verified by 15 experts. Nursing Clinical Education Objectives were established by literature review and analysis, and a survey for validity using a five point Likert scale was given to 257 nursing professors, 503 head-nurses, 509 staff nurses who had less than 3 years clinical experience in 34 general hospitals and 738 senior student nurses from 81 nursing colleges. Result: Nine nursing core competencies were set up. In addition 39 Objectives for each of the nursing clinical core competencies were set up. Conclusion: In conclusion,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professional nursing education to provide comprehensive nursing care by applying knowledge to nursing practice to achieve the Nursing Pore Competency as a professional nur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