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VASIVE ALIEN PLANTS

검색결과 142건 처리시간 0.022초

경주국립공원 단석산지구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 (Vascular Plants Distributed in Mt. Danseok District, Gyeongju National Park)

  • 유주한;권순영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507-521
    • /
    • 2017
  • 본 연구는 경주국립공원 단석산지구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을 조사함과 아울러 자연자원의 보전과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단석산지구를 대상으로 2011년 5월부터 2016년 10월까지 식물상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증거표본을 바탕으로 식물상 목록을 작성한 결과, 97과 331속 489종 4아종 48변종 11품종으로 총 55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희귀식물은 11분류군, 한국특산식물은 14분류군이 조사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V등급은 1분류군, IV등급은 5분류군, III등급은 8분류군, II등급은 12분류군, I등급은 24분류군 등 총 50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37분류군, 생태계교란식물은 2분류군이 조사되었다.

경주국립공원 화랑지구의 관속식물상과 관리방안 (Management Plan and Vascular Plants of the Hwarang District in Gyeongju National Park)

  • 유주한;문성주;이우성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17-35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the raw data for management and conservation of national park by systematic and objective surveying and analysing the flora distributed in the Hwarang district, Gyeongju national park.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vascular plants in this site were summarized as 396 taxa: 95 families, 272 genera, 351 species, 2 subspecies, 38 varieties and 5 forma. The rare plants designated by Korea Forest Service were 5 taxa: Exochorda serratifolia S.Moore, Potentilla discolor Bunge, Prunus yedoensis Matsum, Lysimachia coreana Nakai and Inula salicina var. asiatica Kitam.. The korean endemic plants were 6 taxa: Populus tomentiglandulosa T.B.Lee, Clematis trichotoma Nakai, Lespedeza maritima Nakai, Lysimachia coreana Nakai, Forsythia koreana (Rehder) Nakai and Weigela subsessilis (Nakai) L.H.Bailey.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were 30 taxa: Asplenium sarelii Hk., Salix chaenomeloides Kimura, Lysimachia barystachys Bunge, Achillea alpina L., Celtis aurantiaca Nakai, Vitex negundo var. incisa (Lam.) C.B.Clarke and so forth. The plants with approval for delivering oversea were 6 taxa: Clematis trichotoma Nakai, Exochorda serratifolia S.Moore, Glycine soja Siebold & Zucc., Lespedeza maritima Nakai, Lysimachia coreana Nakai and Weigela subsessilis (Nakai) L.H.Bailey. The naturalized plants were 49 taxa: Bilderdykia dumetora (L.) Holub, Descurainia pinnata Britton, Oxalis corymbosa DC., Bidens frondosa L., Panicum dichotomiflorum Michx. and so forth. The invasive alien plants were 2 taxa: Ambrosia artemisiifolia L. and Aster pilosus Willd. In future, if we will survey the flora of whole Gyeongju national park, we will offer the help to establishing the conservation plan of ecosystem in Gyeongju national park.

경주시 주요 사적지 및 도시공원의 귀화식물 분포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historic sites and urban park of Gyeongju-si, South Korea)

  • 송임근;박선주
    • 환경생물
    • /
    • 제37권2호
    • /
    • pp.144-154
    • /
    • 2019
  • 경주시 사적지, 도시공원지역, 그리고 하천 86개소의 현지조사를 통하여 귀화식물을 조사한 결과 21과 59속 78종 1아종 5변종으로 총 84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이중 사적지는 68분류군, 근린공원 43분류군, 하천 59분류군, 소공원 42분류군 등으로 나타났다. 출현식물 중 널리 분포하나 개체수는 많지 않은 귀화도 3등급 분류군이 31.0%, 널리 분포하고 개체수도 많은 5등급이 29.8%, 국지적으로 분포하고 개체수도 많지 않은 분류군인 2등급이 20.2% 등으로 나타났다. 생태계교란식물은 미국쑥부쟁이, 가시상추, 애기수영 등 7분류군으로 가시상추는 41.9%로 가장 빈번하게 출현하였고, 미국쑥부쟁이는 34.9%로 하천변에서, 애기수영은 25.6%로 사적지나 소공원 일원에서 빈번하게 출현하였다. 생태계교란식물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며, 특히, 정착초기에 물리적 제거나 토양의 대체 등 관리 계획이 필요하다.

Distribution and current vegetation of Cakile edentula, an invasive alien species in Korea

  • Ryu, Tae-Bok;Choi, Dong-Hui;Kim, Deokki;Lee, Jung-Hyo;Lee, Do-Hun;Kim, Nam-Young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2권3호
    • /
    • pp.120-127
    • /
    • 2018
  • Background: Cakile edentula (Bigelow) Hook. is a successful invader that has been propagating globally. In Korea, Cakile edentula was found in 2008 for the first time, in the east coast of Korean peninsula. Based on site surveys conducted thereafter, Cakile edentula has propagated in the east coast from Goseong to Jeongdongjin, Gangneung and in the west coast of city of Hwaseong of Gyeonggi-do Province, and Taeangun County of Chungcheongnam-do Province. Results: Cakile edentula has infiltrated into four different vegetation communities (syntaxa) (Calystegio soldanellaeSalsoletum komarovii Ohba, Miyawakiet Tx.1967; Elymo-caricetum Kobomugi Miyawaki 1967; Carex pumila; and Calystegia soldanella) belonging to phytosociological classes of saltwort (barilla) and coastal glehnia. Cakile edentula competes with dominant species such as the saltwort (barilla) and beach morning glory, causing qualitative changes in species composition. It also affects local ecosystems through its competition with indigenous species, causing destruction of the traditional landscape. Conclusions: However, competition of Cakile edentula with indigenous species and the resulting replacement of such species are limitedly reported. Potential competitors with Cakile edentula have not been found yet. In Northeast Asia, qualitative changes realized in local ecosystems due to invasion of Cakile edentula are significantly noticeable. These necessitate proper controls for this invasive alien species to protect and preserve coastal dune areas.

생태하천조성사업 예정지인 신당천(경상북도 경주시)의 관속식물상 (Vascular Plants of Construct-Reserved Site of Ecological Stream, Shindangcheon Stream(Gyeongju-si, Gyeongsangbuk-do))

  • 유주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41-61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esent the basic data for constructing a ecological stream, Shindangcheon stream located in Gyeongju-si, Gyeongsangbuk-do, South Korea. From August 2017 to June 2019, a total of 7 surveys were conducted. The numbers of vascular plants were summarized as 388 taxa including 75 families, 246 genera, 360 species, 4 subspecies, 19 varieties, 2 forms and 3 hybrids. The most families of taxa were Poaceae (59 taxa), Asteraceae (47 taxa), Fabaceae (27 taxa), Rosaceae and Cyperaceae (20 taxa, respectively), and Polygonaceae and Brassicaceae (15 taxa, respectively). The rare plant was Aristolochia contorta Bunge, and the Korean endemic plants were 4 taxa, such as Populus × tomentiglandulosa T.B.Lee, Salix koriyanagi Kimura ex Goerz, Lespedeza maritima Nakai, and Weigela subsessilis (Nakai) L.H.Bailey.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found in this site were 13 taxa comprising 8 taxa of grade I, 4 taxa of grade III, and 1 taxon of grade IV. The naturalized plants were 73 taxa, such as Fallopia dumetorum (L.) Holub, Persicaria orientalis (L.) Spach., Potentilla supina L. var. ternata Pterm., and so forth. The invasive alien plants were 6 taxa, such as Rumex acetosella L., Sicyos angulatus L., Solanum carolinense L., Ambrosia artemisiifolia L., Lactuca serriola L., and Symphyotrichum pilosum (Willd.) G.L.Nesom..

한반도에서 기후변화에 따른 수변 외래식물인 털물참새피의 분포 변화 예측 (Prediction of Changes in the Potential Distribution of a Waterfront Alien Plant, Paspalum distichum var. indutum, under Climate Change in the Korean Peninsula)

  • 조강현;이승현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2권3호
    • /
    • pp.206-215
    • /
    • 2015
  • 기후변화에 따른 침입외래식물의 잠재적 분포지를 예측하는 것은 하천과 저수지에서 생물다양성 보전과 생태적 관리를 위하여 중요하고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에서 털물참새피 (Paspalum distichum var. indutum)의 잠재적 미래 분포에 미치는 기후변화의 영향을 파악하였다. 털물참새피는 담수생태계의 수변에서 심각한 경제적, 환경적 영향을 미치는 침입 초본식물이다. 현재와 미래의 기후에서 털물참새피의 잠재적 분포를 추정하기 위하여 Maxent 모델을 적용하였다. 기후변화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현재 기후 자료로서 Worldclim 1.4의 19개 기후 변수를 사용하였고, 미래의 기후 자료로서 RCP 2.6와 RCP 8.5 시나리오에 따라서 HadGEM2- AO에 의하여 예측된 기후 변수를 사용하였다. 예측된 털물참새피의 현재 잠재분포지는 실제 위치 자료와 거의 일치하였다. 이 식물의 잠재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변수는 가장 따뜻한 분기의 강수량, 연평균기온 및 가장 추운 분기의 평균기온이었다. 2050년에 기후변화에 따른 털물참새피의 분포 예측에 의하면 이 식물의 현재 분포지에서는 기후 적합성이 대체로 감소하였고, 이 식물이 보다 내륙과 북쪽으로 분포지가 확대되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예측 모델은 잠재적 분포를 이해하고 분포 변화에 미치는 기후변화의 영향을 파악하며 외래식물에 의한 생물적 침입의 위해성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해명산(인천광역시 석모도) 일대의 관속식물 분포 및 주변 산림의 침입외래식물 비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around Haemyeong Mt. (Seokmodo, Incheon) and the Comparison of Invasive Alien Plants in Surrounding Forests)

  • 이종원;이진동;백원기;윤호근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01-241
    • /
    • 2022
  •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 석모도에 위치한 해명산 일대의 관속식물상과 해명산 일대 및 주변 산림 지역 14곳의 침입외래식물을 비교하여, 조사된 식물들의 모니터링 체계구축과 생물다양성의 증진 및 보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조사는 2019년 4월부터 2020년 10월까지 총 19회에 걸쳐 수행되었다. 해명산 일대의 관속식물상은 총 107과 382속 616종 15아종 55변종 8품종 694분류군으로 파악되었다. 이는 우리나라 관속식물 총 4,641분류군의 약 14.95%가 해당된다. 석모도 해명산 일대에서 조사된 한반도북방계식물은 81분류군, 한반도 특산식물은 총 17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이중에서 해명산에서는 애기닭의장풀 등 6분류군, 낙가산에서 은사시나무 등 4분류군, 상봉산에서 닥나무 등 7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1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I~V은 총 79분류군으로 파악되었다. V등급은 솔붓꽃 1분류군, IV등급은 큰쐐기풀, 돌갈매나무 등 5분류군, III등급은 노랑하늘타리, 선갈퀴 등 17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염생식물은 총 37분류군으로 해안·사구식물이 19분류군, 암반식물 2분류군, 비염생식물이 3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해명산 일대에서 관찰된 침입외래식물은 소리쟁이, 달맞이꽃 등 66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석모도 및 주변지역 14곳에서 출현한 침입외래식물은 126분류군이고, 전체 126분류군 중에서 14곳 전체에서 출현한 식물은 개망초, 돼지풀, 망초, 미국쑥부쟁이 등 7분류군으로 파악되었다. 하지만 40%에 육박하는 48분류군이 일부 지역에서만 출현하였으나, 향후 확산이 불가피해 보인다. 따라서 석모도 해명산 일대의 특기할만한 식물 등 자생식물에 대한 중장기적인 보전방안을 마련하고 체계적인 관리 대책을 조속하게 수립해야 할 것이다.

Characteristics of Vascular Plants in Yongyangbo Wetlands

  • Cho, Kwang-Jin;Paik, Weon-Ki;Lee, Jeonga;Lim, Jeongcheol;Lee, Changsu;Chu, Yeounsu
    • Proceedings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of the Republic of Korea
    • /
    • 제2권3호
    • /
    • pp.153-165
    • /
    • 2021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conservation of wetland ecosystems in the Civilian Control Zone and the management of Yongyangbo wetlands in South Korea. Yongyangbo wetlands have been designated as protected areas. A field survey was conducted across five sessions between April 2019 and August of 2019. A total of 248 taxa were identified during the survey, including 72 families, 163 genera, 230 species, 4 subspecies, and 14 varieties. Their life-forms were Th (therophytes) - R5 (non-clonal form) - D4 (clitochores) - e (erect form), with a disturbance index of 33.8%. Three taxa of rare plants were detected: Silene capitata Kom. and Polygonatum stenophyllum Maxim. known to be endangered species, and Aristolochia contorta Bunge, a least-concern species. S. capitata is a legally protected species designated as a Class II endangered species in South Korea. A total of 26 taxa of naturalized plants were observed, with a naturalization index of 10.5%. There was one endemic plant taxon (Salix koriyanagi Kimura ex Goerz). In terms of floristic target species, there was one taxon in class V, one taxon in Class IV, three taxa in Class III, five taxa in Class II, and seven taxa in Class I. Three invasive alien species (Ambrosia trifida L., Ambrosia artemisiifolia L., and Humulus japonicus Siebold & Zucc) were observed. For continuous conservation of Yongyangbo Wetlands, it is necessary to remove invasive alien plants and block the inflow of non-point pollutants.

농경지 내 생태계교란식물의 분포 (Distribution of Invasive Alien Species in Korean Croplands)

  • 김진원;이인용;이정란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6권2호
    • /
    • pp.117-123
    • /
    • 2017
  • 본 연구에서 국내의 농경지 내 생태계교란식물의 분포를 알아보고자 한다. 생태계교란식물 9종의 지역적 분포를 알아보기 위해 분포지도를 작성하였다. 단풍잎돼지풀과 돼지풀은 전국적인 분포를 보였으나 단풍잎돼지풀은 경기북부에 집중적으로 발생하고 있었고, 돼지풀은 경우에는 강원 및 전라 지역을 제외한 전국에 고르게 분포하고 있었다. 미국쑥부쟁이는 경기도 및 강원도 지역에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있었으며, 가시상추의 경우 서북-동남 방향으로 분포하고 있었다. 서양금혼초는 제주도에 집중적으로 발생하고 있었고, 도깨비가지는 주로 경기 동부 지역에 분포하고 있었다. 애기수영과 가시박의 경우 전국에 산발적으로 발생하고 있었으나 경기도 지역에 상대적으로 많은 비율로 발생하고 있었으며, 서양등골나물은 경기도 연천군의 과수원 및 밭작물 재배지에만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경지 내 생태계교란식물의 분포는 비농경지와 거의 같은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농경지의 생태적 지위가 비농경지와 다르지 않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작물의 수량 및 품질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잡초를 관리해야한다는 인식에서 더 나아가 주변 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제거해야 한다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또한, 각 생태계 교란식물의 효율적인 방제를 위해 제초제 약효/약해 연구나 발아생리 연구와 같은 다양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한반도에서 종 분포 모델을 이용한 두 침입외래식물, 돼지풀과 물참새피의 잠재적 분포 예측 (Prediction of Potential Distributions of Two Invasive Alien Plants, Paspalum distichum and Ambrosia artemisiifolia, Using Species Distribution Model in Korean Peninsula)

  • 이승현;조강현;이우주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3권3호
    • /
    • pp.189-200
    • /
    • 2016
  • 종분포 모델은 어떤 지역에서 침입외래종이 어떻게 확장되고 어떤 환경 요인이 이들의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이해하는데 매우 유용한 도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에서 두 침입외래종인 돼지풀 (Ambrosia artemisiifolia)과 물참새피 (Paspalum distichum)의 분포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 두 종의 현재의 분포지에서 기후환경 요인을 분석하고 이 두 종의 분포를 예측하기 위하여 Maxent (the maximum entropy) 모델을 이용하였다. 이 두 종의 출현 자료는 Global Biodiversity Information Facility와 우리나라의 식물종 데이터베이스에서, 생물기후 자료는 WorldClim 자료로부터 얻었다. 모델을 수행한 결과, 자생지 위치자료를 이용한 예측 결과보다 전지구 위치자료를 이용한 예측이 연구 대상종의 잠재적 분포지를 잘 설명하였다. 이들 종의 분포에 기여한 기후환경 요인으로서 돼지풀에서는 최건월의 강수량과 연평균온도가, 물참새피에서는 연평균온도와 최한사분기의 평균온도가 선정되었다. Maxent 종분포 모델은 외래종의 침입을 예측하고 이들의 확산을 관리하는데 유용한 도구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