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3087/kosert.2011.14.5.017

Management Plan and Vascular Plants of the Hwarang District in Gyeongju National Park  

You, Ju-Han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Dongguk University)
Mun, Sung-Ju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of Dongguk University)
Lee, Woo-Sung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 Urban Planning, Texas A&M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 v.14, no.5, 2011 , pp. 17-35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the raw data for management and conservation of national park by systematic and objective surveying and analysing the flora distributed in the Hwarang district, Gyeongju national park.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vascular plants in this site were summarized as 396 taxa: 95 families, 272 genera, 351 species, 2 subspecies, 38 varieties and 5 forma. The rare plants designated by Korea Forest Service were 5 taxa: Exochorda serratifolia S.Moore, Potentilla discolor Bunge, Prunus yedoensis Matsum, Lysimachia coreana Nakai and Inula salicina var. asiatica Kitam.. The korean endemic plants were 6 taxa: Populus tomentiglandulosa T.B.Lee, Clematis trichotoma Nakai, Lespedeza maritima Nakai, Lysimachia coreana Nakai, Forsythia koreana (Rehder) Nakai and Weigela subsessilis (Nakai) L.H.Bailey.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were 30 taxa: Asplenium sarelii Hk., Salix chaenomeloides Kimura, Lysimachia barystachys Bunge, Achillea alpina L., Celtis aurantiaca Nakai, Vitex negundo var. incisa (Lam.) C.B.Clarke and so forth. The plants with approval for delivering oversea were 6 taxa: Clematis trichotoma Nakai, Exochorda serratifolia S.Moore, Glycine soja Siebold & Zucc., Lespedeza maritima Nakai, Lysimachia coreana Nakai and Weigela subsessilis (Nakai) L.H.Bailey. The naturalized plants were 49 taxa: Bilderdykia dumetora (L.) Holub, Descurainia pinnata Britton, Oxalis corymbosa DC., Bidens frondosa L., Panicum dichotomiflorum Michx. and so forth. The invasive alien plants were 2 taxa: Ambrosia artemisiifolia L. and Aster pilosus Willd. In future, if we will survey the flora of whole Gyeongju national park, we will offer the help to establishing the conservation plan of ecosystem in Gyeongju national park.
Keywords
Rare Plant; Endemic Plant; Naturalized Plant; Invasive Alien Plant;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0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강호양. 2003. 은사시나무 판재의 열기건조, 고온건조. 마이크로파-진공건조. 목재공학 31 (4):31-37.
2 경주시. 2005. 경주국립공원관리계획. 경주시 보고서.
3 경주시. 2008. 경주국립공원 관리이관을 위한 조사용역 보고서. 경주시 보고서.
4 경주시. 2010. 경주시통계연보. 경주시.
5 고성덕. 2006. 가침박달(Exochorda serratifolia) 군락의 생태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과학교육연구논총 22(2):1-24.
6 국립공원관리공단․국립공원연구원. 2008. 경주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 국립공원관리공단 보고서.
7 국립수목원. 2005. 한반도 특산 관속식물. 국립수목원 보고서.
8 국립수목원․한국식물분류학회. 2007. 국가표준식물목록. 국립수목원․한국식물분류학회 보고서.
9 국립중앙과학관. 1997. 경주국립공원 생태계 연구. 국립중앙과학관 보고서.
10 김상웅. 2007. 경주 남산과 토함산의 식생분류.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영화. 2010. 한반도 식물구계에 따른 자생 병풍쌈과 어리병풍의 분포와 개체군의 생태학적 특성.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김준민․임양재․전의식. 2000. 한국의 귀화식물. 서울:사이언스북스.
13 김중현․김용현․윤창영․김주환. 대구광역시 비슬산 일대의 식물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2(5):481-504.
14 김창호. 2005. 돌콩 종자 함유 Galactomannan 조성의 지리적 변이. 한국생태학회지 28(3):157-161.
15 김철환. 2000. 자연환경 평가-I. 식물군의 선정-. 환경생물 18(1):163-198.
16 김통일. 2008. 산악형 국립공원과 해상형 국립공원의 경제적 가치비교-주왕산국립공원과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을 중심으로-. 한국산림휴양학회지 12(4):9-18.
17 김통일. 2009. 경제적 가치 평가에 기반한 경주국립공원 관리 방안. 한국산림휴양학회지 13 (1):7-17.
18 박경욱. 2011. 임실 신평면 병아리꽃나무(Rhodotypos scandens) 군락의 생태적 특성.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박선홍. 2003. 조계산 식물상에 관한 구계학적 조사 분석. 순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박수현. 2009. 세밀화와 사진으로 보는 한국의 귀화식물. 서울:일조각.
21 유주한․나정화․조현주․구지나. 2009. 백두대간 생태숲 조성예정지의 관속식물상과 활용방안.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12(5):42- 58.
22 유주한․문성주. 2010. 동대 습지 주변의 식물상과 특성. 산업기술논문집 20(1):1-11.
23 유주한․박경훈․윤영철. 2010. 창원시 내동천의 귀화식물 분포특성과 관리방안. 한국조경학회지 38(4):96-105.
24 윤성일. 2007. 한국 국립공원 내 야생동물과 농작물 피해. 환경생물 25(3):223-227.
25 이영경․최송현. 2000. 도시림의 식생구조 분석-경주 남산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28 (3):13-24.
26 이유미․박수현․정수영․오승환․양종철. 2011. 한국내 귀화식물의 현황과 고찰. 한국식물분류학회지 41(1):87-101.
27 이정미. 1991. 경주국립공원 남산일대의 현존삼림식생과 식물상.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이창복. 2003. 원색 대한식물도감(상, 하). 서울:향문사.
29 임동옥․김하송․박문수. 2009. 전남 북부지역의 귀화식물 분포 및 관리방안.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3(6):506-515.
30 임원현․강기호․김두찬. 2000. 경주 남산의 식물군집구조. 건설환경논총 3:1-14.
31 임원현. 2002. 경주 남산의 생태학적 식생관리 방안. 경주연구 11:13-30.
32 정태영․박철하․윤희빈․이귀용․안찬기․이경수․김경태․이우성․유주한. 2007. 충청북도 청주시 것대산 일대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 한국자원식물학회지 20(5):451- 460.
33 조태동. 2004. 보전적 측면에서 바라본 한국과 일본의 국립공원제도 비교. 한국환경과학회지 13(10):871-882.
34 환경부. 2009. 생태계교란야생동․식물자료집. 환경부 보고서.
35 최재영. 2002. 경주국립공원 남산지구 유적 주변의 식생보존 방안에 관한 연구. 건설환경연구 1(4):157-169.
36 환경부. 2006.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지침. 환경부 보고서.
37 환경부. 2008. 국외반출 승인대상 생물자원 선정을 위한 연구-3차년도-. 환경부 보고서.
38 http://www.nature.go.kr
39 Huang, Y., K. Ji, Z. Jiang and G. Tang. 2008. Genetic structure of Buxus sinica var. parvifolia, a rare and endangered plant. Scientia Horticulturae 116:324-329.   DOI   ScienceOn
40 Marchand, P., and G. Houle. 2006. Spatial patterns of plant species richness along a forest edge:what are their determinants?.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223:113-124.   DOI   ScienceOn
41 Melchior, H. 1964.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 II. Gebruder Borntraeger:Berlin.
42 Walck, J. L., J. M. Baskin and C. C. Baskin. 1999. Effects of competition from introduced plants on establishment, survival, growth and reproduction of the rare plant Solidago shortii (Asteraceae). Biological Conservation 88:213-219.   DOI   ScienceOn